$\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환연구와 탈추격론의 확장
Transition Studies and Post Catch-up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6 no.1, 2016년, pp.63 - 89  

송위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에서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전환연구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혁신정책담론 중의 하나인 탈추격론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탈추격론의 지향점, 주요 연구 대상, 시스템 혁신에 대한 논의를 전환연구의 관점에서 확장하여 지속가능성, 산업과 사회의 공진화, 전환관리 등의 개념을 탈추격론에 도입했다. 이를 통해 탈추격 혁신과 정책은, 기존 시스템의 개선과 최적화가 아니라 탈추격 지속가능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지향하고, 사회 환경문제의 해결을 수반하는 탈추격 혁신을 진행해야 하며, 탈추격과 지속가능성의 맹아를 담고 있는 니치를 전환의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ate 'Post Catch-up Studies' on the Korean innovation system with the framework of 'Transition Studies'. The viewpoints of the vision, research area and system innovation process of Post Catch-up studies are reviewed and reconfigurated. The Transition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전예방전략은 새로운 공정과 제품을 개발해서 위해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사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적으로 환경파괴와 위해요인이 적은 공정과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개별 제품과 공정을 대상으로 사전예방이 이루어지더라도, 환경파괴나 위해 가능성이 있는 제품·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고, 사전예방형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과정과 지원시스템, 문화 등의 사회·기술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으면 근원적 문제 해결은 어려워진다.
  • 이 글에서는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전환연구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혁신정책 담론 중의 하나인 탈추격론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탈추격론의 지향점, 주요 연구 대상, 시스템 전환에 대한 논의를 전환연구의 관점에서 확장하여 지속가 능성, 산업과 사회의 공진화, 전환관리 등의 개념을 새롭게 도입할 수 있었다.
  • 이런 작업은 사회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저성장 국면에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기술시스템을 새로운 관점에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줄 것이다.
  • 또 탈추격론은 경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혁신을 통한 성장과 분배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여기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 주거, 에너지 사용, 농식품 생산·소비 등 사회적 수요와 관련된 논의는 부족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추격론은 어디에 초점을 맞추는가? 탈추격론은 기업, 산업, 산학연을 포함한 시스템 전체, 지역의 혁신시스템에 초점을 맞춘다. 기업과 산업, 연구기관에서 수행되는 탈추격형 혁신 활동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 시스템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한다(성지은, 2012; 황혜란, 2011; 성지은·고영주, 2013; 송위진, 2004; 조성재, 2014; 송성수·송위진, 2010; 송위진·황혜란, 2006).
사후처리란 무엇인가? 사후처리는 기존의 공정이나 제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새로운 오염처리 기술이나 규제방안을 도입하여 결과물을 관리하는 방안이다. 공정이나 제품생산은 그대로 진행되고 위해요인만 규제나 기술개발을 통해 대응하는 것이다.
탈추격론이 전망하는 혁신체제는 무엇인가? 탈추격론은 이런 불균형과 양극화, 위계구조·폐쇄성을 심화시키는 혁신체제를 넘어서 균형과 사회통합, 수평성·개방성을 지향하는 혁신체제를 지향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수출기업과 내수기업,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노동자의 소득과 고용을 증대시키는 혁신체제를 전망한다. 혁신주체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불확실한 미래의 궤적을 탐색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선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김종선 외 (2014), 과학기술.ICT와 함께하는 행복한 농촌만들기 : 지속가능한 농촌사회 구현을 위한 혁신전략, 미래창조과학부. 

  2. 김종선.성지은.송위진 (2015), 농촌 활성화를 위한 혁신연계조직 육성방안, STEPI Insight, 163호. 

  3. 김태연 (2015) 농촌개발정책의 패러다임은 변화하고 있는가: 신내생적 발전론 관점의 적용, 동향과 전망, 93호, pp. 86-131. 

  4. 박미영.김왕동.장영배 (2014), 전환 연구와 지속가능한 발전: 벨기에 플랑드르 기술연구소(VITO) 사례, 동향과 이슈, 제18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 박정연.송성수 (2014),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수명은 어떻게 연장되었는가?,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6권 제3호, pp. 329-356. 

  6. 사회혁신팀 편역 (2014),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이론과 실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rrenberg L. et al. (2013), "Low-carbon transition through system innovation Theoretical notions and application", Pioneers into Practice Mentoring Programme 2013 

  7. 선유정 (2008), 과학이 정치를 만나다: 허문회의 "IR667"에서 박정희의 "통일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0권 제2호, pp. 417-439. 

  8. 성지은 외 (2015),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9. 성지은 (2012), 탈추격 혁신을 위한 출연(연)의 구조적 한계와 과제: ETRI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 20권, 2호, pp. 1-28. 

  10. 성지은.정병걸.송위진 (2012),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과 백캐스팅,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제2호. 

  11. 성지은.고영주 (2013), 탈추격 혁신을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노력과 과제: 한국화학연구원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1권, 2호, pp. 85-113. 

  12. 송성수.송위진 (2010), 코렉스에서 파이넥스로 : 포스코의 경로실현형 기술혁신, 기술혁신학회지 제13권, 제4호, pp. 700-716. 

  13. 송위진 (2004), 추격에서 선도로: 脫추격체제의 기술혁신 특성: 한국 이동전화 산업의 사례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7권, 제2호, pp. 351-372. 

  14. 송위진 (2015), 탈추격 혁신의 전개와 한계: 1990년대 후반이후 과학기술혁신과 정책, 이병천.신진욱 엮음, 민주정부 10년, 무엇을 남겼나, 후마니타스. 

  15. 송위진.성지은 (2014),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4호, pp. 89-116. 

  16. 송위진.성지은.김왕동 (2013),기술집약형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Issues & Policy, 제65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7. 송위진.성지은 (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18. 송위진.성지은.정연철.황혜란.정재용 (2006), 탈추격형 기술혁신체제의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 송위진.황혜란 (2006), 脫추격체제에서 부품업체의 기술혁신활동: 휴대전화 부품업체 사례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9권 제3호, pp. 435-450. 

  20. 이민정 (2014), 일본 내발적 발전 사례와 충남의 발전정책, 충남발전연구원. 

  21. 이은경 (2014),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의 전환정책, STEPI Working Paper,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2. 이우광 (2014), 회사가 침몰하면 내가 최후에 탈출한다. 경영자의 배수진, 혁신의 키가 되다, 동아비즈니스리뷰, 2014년 10월 2호. 

  23. 장원봉 (2006), 사회적 경제의 이론과 실제, 나눔의 집. 

  24. 정병걸 (2015), 이론과 실천으로서의 전환: 네덜란드의 에너지 전환이론과 정책, 과학기술학연구, 제15권, 제1호. 

  25. 정재용 편저 (2015), 추격혁신을 넘어: 탈추격의 명암, 신서원. 

  26. 정재용.황혜란 편 (2013), 추격형 혁신시스템을 평가한다, 한울아카데미. 

  27. 조성재 (2014), 추격의 완성과 탈추격 과제 : 현대자동차그룹 사례분석, 동향과 전망 91호, pp. 136-168. 

  28. 한국경제60년사 편찬위원회(2010), 한국경제 60년사: 국토.환경편. 

  29. 황혜란 (2011), 공공연구부문의 탈추격형 혁신활동특성 분석 및 과제: 대덕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4-17. 

  30. 황혜란.송위진 (2014), 사회.기술시스템 전환과 기업의 혁신활동, 기술혁신연구, 제22권, 제4호, pp. 57-88. 

  31. 황혜란.정재용.송위진 (2012), 탈추격 연구의 이론적 지향성과 과제, 기술혁신연구, 제20권, 제1호, pp. 75-114. 

  32. Avelino, F. (2013), "Sustainability Transition Governance", proceedings of the GLOCAL, 3. July, 2013. 

  33. Bergek, A. Jacobsson, S. and Sanden, B. (2008a), "'Legitimation' and 'Development of Positive Externalities': Two Key Processes in the Formation Phas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Technology Analysis and Strategic Management, Vol. 20, No. 5, pp. 575-592. 

  34. Bergek, A. Jacobsson, S., Carlsson, B., Linmark, S. and Rickne, A. (2008b), "Analyzing the Functional Dynamic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s: A scheme of analysis", Research Policy, Vol. 37, pp. 407-429. 

  35. Choung, JY, Ji, I, Hameed, T. (2011),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Strategies of Latecomers: The Cases of Korean TPEG, T-DMB, and Binary CDMA", World Development, Vol. 39, No. 5, pp. 824-838. 

  36. Dosi, G., Freeman, C., Nelson, R., Silverberg G., and Soete, L. (eds) (1988), Technical Change and Economic Theory, London.New York: Pinter Publishers. 

  37. Edler, J. et al. (2009), Monitoring and Evaluation Methodology for the EU Lead Market Initiative: A Concept Development, Final Report,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Manchester Business School. 

  38. European Commission (2010), How to Strengthen the Demand for Innovation Europe?, Lead Market Initiative for Europe. 

  39. Geels, F. (2002), "Technological Transitions as Evolutionary Reconfiguration Processes: a multi-level perspective and a case-study", Research Policy, Vol. 31, no. 8-9, pp. 1257-1274. 

  40. Geels, F. (2004), "From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to Socio-technical Systems Insights about Dynamics and Change from Sociology and Institutional theory", Research Policy, Vol. 33, no. 67, pp. 897-920. 

  41. Geels, F. and Raven, R. (2006), "Non-linearity and Expectations in Niche-development Trajectories: Ups and Downs in Dutch Biogas Development(1973-2003)",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18, no. 3-4, pp. 375-392. 

  42. Geels, F. and Schot, J. (2007), "Typology of socio-technical transition pathways", Research Policy, Vol. 36, no. 3, pp. 399-417. 

  43. Geels, F., Monaghan, A., Eames, M. and Stewart, F. (2008), The Feasibility of Systems Thinking in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Policy: A Report to the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London: Brunel University. 

  44. Grin, J., Rotmans, J. and Schot, J. (2010), Transi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Long Term Transformative Change, Routledge. 

  45. Hobday, M., Rush, H., and Bessant, J. (2004), "Approaching the Innovation Frontier in Korea: the Transition Phase to Leadership", Research Policy, Vol. 33, No. 10, pp.1433-1457. 

  46. Hansen, Ul. E., and Nygaard, I. (2013), "Transnational linkages and sustainable transitions in emerging countries: Exploring the role of donor interventions in niche development",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Societal Transitions, Vol. 8, pp. 1-19. 

  47. Kemp, R., Rotmans, J. and Loorbach, D. (2007), "Assessing the Dutch Energy Transition Policy: How Does it Deal with Dilemmas of Managing Transi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Planning, Vol. 9, No.3-4, pp. 315-331. 

  48. Lee, K. and Lim, C. (2001), "Technological Regimes, Catching-up and Leapfrogging: Findings from Korean Industries", Research Policy, Vol. 30, No. 3, pp. 459-483. 

  49. Leonard-Barton, D. (1992), "Core Capabilities and Core Rigidities: A Paradox in Managing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3, pp. 111-125. 

  50. Loorbach, D. (2007), Transition Management: New Mode of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otterdam: Erasmus University. 

  51. Perez, C, and Soete, L. (1988), "Catching up in Technology: Entry Barriers and Windows of Opportunity", in Dosi et al, Technical change and economic theory, pp. 458-479, London.New York: Pinter Publishers. 

  52. STRN (2010), A Mission Statement and Research Agenda for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s Research Network,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s Research Network. 

  53. Van den Bosch, S. (2010), Transition Experiment: Exploring Societal Changes toward Sustainability, Erasumus University Ph. D thesis. 

  54. VITO (2012), Transition in Research, Research in Transition. 

  55. Walz, R. and Kohler, J. (2014), "Using Lead Market Factors to Assess the Potential for a Sustainability Transition",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Societal Transitions, Vol. 10, pp. 2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