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 환자의 자기효능이론 기반 식사관리 프로그램이 식사관리이행, 신체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on Dietary Adherence, Physical Indices and Quality of Life for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4, 2016년, pp.598 - 609  

윤경순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dietary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on dietary adherence, phys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QoL) in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언어적 설득에는 교육 및 상담을 활용하였고 정서적 각성은 구성원 간 공유의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Bandura [13]의 자기효능 증진자원인 성취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을 활용한 이론기반의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기효능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행, 신체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혈액투석 환자의 일반적인 자가관리 이행을 위한 다양한 증진전략의 개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식사관리이행 증진 전략은 대부분 소책자제공, 동영상 시청 등의 영양교육 위주의 프로그램[12]이며, 이론기반 식사관리 중재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이론 기반 연구나 식사 관련 이행에 초점화된 연구가 적었을 뿐 아니라 식사자가관리 일기를 통한 음식섭취와 신체상태를 자가감시하도록 함으로써 치료참여가 성취감을 경험하도록 구성한 점에서 차별화하고자 한다.
  • 또한 혈액투석 환자의 식사이행이 투석간 체중 증가, 투석적절성 및 혈청 인 등 생리적 지표를 개선하였고[15] 혈액 투석 환자의 치료이행과 삶의 질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6]. 따라서, 효능기대를 강화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식사 관련 이행, 신체상태 및 삶의 질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신부전으로 신대체 요법 중 혈액투석을 시행하고 있는 환자의 식사 관련 자기효능증진을 통해 식사관리이행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개발된 자기효능이론 기반 식사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중재군에 8주간의 프로그램이 적용되었고 식사관리이행, 신체상태 및 삶의 질에 효과가 있었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위해 개발된 자기효능이론 기반 식사 관리 프로그램이 식사관리이행과 신체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Bandura의 자기효능이론을 기반으로 식사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식사 관리이행, 신체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성취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자가관리 일기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신장이식 환자[9], 복막투석 환자[24]를 대상으로 이식수첩, 자가간호 실천일지를 사용하여 자기효능감과 자가관리 이행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를 토대로 식사일기를 사용하여 매일 식사관리 내용을 기록하고 성공적인 수행을 직접 확인하여 자신감과 성취감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혈액투석 환자의 고령화로 인한 대상자들의 인지기능저하가 수반되므로 많은 분량의 설명은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고 제공된 내용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25].

가설 설정

  • ‘자기효능이론 기반 식사관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투석 간 체중 증가량이 적을 것이다.
  • 가설 3. 자기효능이론 기반 식사관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 가설 1. 자기효능이론 기반 식사관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식사관리이행이 높을 것이다.
  • 부가설 3-1.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 부가설 2-5.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섭취한 열량이 높을 것이다.
  • 부가설 3-2.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식사 관련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 부가설 2-4.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투석 간 체중 증가량이 적을 것이다.
  • 부가설 2-1.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혈청 알부민이 높을 것이다.
  • 부가설 2-3.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혈청 인이 낮을 것이다.
  • 부가설 2-2. 중재군은 대조군보다 혈청 칼륨이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진대사 이상이라 어떤 때를 의미하는가? 만성신부전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기능의 상실로 3개월 이상 사구체여과율이 정상수준의 절반 이하일 때를 의미하는 신진대사 이상으로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는 환자의 생명유지가 어렵고 혈액 투석, 복막투석, 또는 신장이식의 신대체요법을 받아야만 생명연장이 가능하다[1]. 대한신장학회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 현황’에 따르면, 2014년 약 8만 여명의 환자가 신대체요법을 받았고 이중 혈액투석이 약 71.
만성신부전을 겪는 환자는 어떻게 생명연장이 가능한가? 만성신부전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기능의 상실로 3개월 이상 사구체여과율이 정상수준의 절반 이하일 때를 의미하는 신진대사 이상으로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는 환자의 생명유지가 어렵고 혈액 투석, 복막투석, 또는 신장이식의 신대체요법을 받아야만 생명연장이 가능하다[1]. 대한신장학회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 현황’에 따르면, 2014년 약 8만 여명의 환자가 신대체요법을 받았고 이중 혈액투석이 약 71.
혈액투석 환자가 자가관리를 잘 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 강화 혹은 자기효능이론에 기반한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혈액투석 환자는 주기적이고 규칙적으로 시행하는 혈액투석 치료를 견디는 것뿐만 아니라 혈액투석 환자에게 요구되는 엄격하고 복잡한 식사 및 수분제한, 약물복용, 투석스케줄 지키기, 운동, 동정맥류 관리 등의 지속적인 자가관리 이행이 필수적이다. 문헌에 의하면 자가관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혈액투석 환자가 33.0~50.0% 까지 이르고 있는데[7], 자가관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다[8]. 이에 따라 투석 환자의 자가관리 이행을 향상시키고자 자기효능감 강화전략이 개발되었다. Hwang과 Yi [9]는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 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식사, 약물복용, 체중 및 혈압관리 등의 치료지시 이행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Moattari 등[10]의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삶의 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및 투석 간 체중 증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im CS. Medical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55(4):381-389. http://dx.doi.org/10.5124/jkma.2012.55.4.381 

  2. ESRD Registry Committe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 2014[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cited 2016 January 1.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journal/2015/index.html. 

  3. Fouque D, Kalantar-Zadeh K, Kopple J, Cano N, Chauveau P, Cuppari L, et al. A proposed nomenclature and diagnostic criteria for protein-energy wasting in acute and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ernational. 2008;73(4):391-398. http://dx.doi.org/10.1038/sj.ki.5002585 

  4. Cano NJ, Miolane-Debouit M, Leger J, Heng AE. Assessment of body protein: Energy status in chronic kidney disease. Seminars in Nephrology. 2009;29(1):59-66. http://dx.doi.org/10.1016/j.semnephrol.2008.10.008 

  5. Lee J, Kim JM, Kim Y. Association of diet-related quality of life with dietary regimen practi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end-stage renal disease patients with hemodialysi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013;46(2):137-146. http://dx.doi.org/10.4163/kjn.2013.46.2.137 

  6. Noori N, Kalantar-Zadeh K, Kovesdy CP, Bross R, Benner D, Kopple JD. Association of dietary phosphorus intake and phosphorus to protein ratio with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010;5(4):683-692. http://dx.doi.org/10.2215/cjn.08601209 

  7. Wells JR. Hemodialysis knowledge and medical adherence in African Americans diagnosed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Result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Nephrology Nursing Journal. 2011;38 (2):155-162. 

  8. Zrinyi M, Juhasz M, Balla J, Katona E, Ben T, Kakuk G, et al. Dietary self-efficacy: Determinant of compliance behaviours and biochemical outcomes in haemodialysis patients.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003;18(9):1869-1873. 

  9. Hwang YH, Yi M. Evaluation of an individualized education before discharge and follow-up telephone consultation on self-efficacy for kidney transplant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5;17(4):331-340. http://dx.doi.org/10.7586/jkbns.2015.17.4.331 

  10. Moattari M, Ebrahimi M, Sharifi N, Rouzbeh J.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clinical and laboratory indicators of patients treated with hemodialy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2;10:115. http://dx.doi.org/10.1186/1477-7525-10-115 

  11. Seo AR, Park KS, Kim BK, Kim YL, Choi JY. A validation of dietary self-efficacy questionnaire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2;12(1):22-30. 

  12. Kim MJ, Park CN, Kang YE, Lee SS.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regular exercise on nutritional status, quality of life and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13;19(4):373-388. 

  13.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14. Song MS. Effects of empowerment program on the hemodialysis patients[dissertation]. Busan: Kosin University; 2004. p. 1-112. 

  15. Pasyar N, Rambod M, Sharif F, Rafii F, Pourali-Mohammadi N. Improving adherence and biomedical markers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15;23(1):38-45. http://dx.doi.org/10.1016/j.ctim.2014.10.011 

  16. Garcia-Llana H, Remor E, Selgas R. Adherence to treatment, emotional stat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undergoing dialysis. Psicothema. 2013;25(1):79-86. http://dx.doi.org/10.7334/psicothema2012.96 

  17. Lee JK, Yang YH. The effects of programs using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 efficacy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6;18(4):642-652. 

  18. Tinti F, Umbro I, Giannelli V, Merli M, Corradini SG, Rossi M, et al. Acute renal failure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Role of pretransplantation renal function and 1-year follow-up. Transplantation Proceedings. 2011;43(4):1136-1138. http://dx.doi.org/10.1016/j.transproceed.2011.02.042 

  19. Blackburn SL. Dietary compliance of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977;70(1):31-37. 

  20. Kim HS, Lee KB, Lee YS, Kim H, Seh BS, Lim SW, et al.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health related QOL measurement method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08;27(1):78-84. 

  21. Ware JE, Kosinski M, Bjorner JB, Turner-Bowker D, Gandek B. SF-36v2 health survey: Administration guide for clinical trial investigators. Lincoln, RI: QualityMetric, Inc.; 2008. 

  22. Delahanty LM, Hayden D, Ammerman A, Nathan DM. Medical nutrition therapy for hypercholesterolemia positively affects pati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02;24(4):269-278. 

  23. Yoo MJ. The effects of a video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on self care, stress, and physiological indexes[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4. p. 1-40. 

  24. Park MH. Effects of a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the selfcare behaviors and physio- psychological function in patients with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4. p. 1-104. 

  25. Jang YH, Oh HS, Jang GS. Self-care behaviors and physiological index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2):57-69. http://dx.doi.org/10.12811/kshsm.2012.6.2.057 

  26. Ko HK, Park GJ.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11;11(2):136-146. http://dx.doi.org/10.5388/jkon.2011.11.2.136 

  27. Park HM, Lee HS. Effects of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on self-efficacy, self-care agency, self-care activities and physiologic paramete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0;13(2):151-160. 

  28. Kim JE, Hwang EA, Kwak JH, Jin KB, Yoon JS, Han SY, et al. Change of parathyroid hormone and markers of bone metabolism after renal transplantation.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07;26(5):601-609. 

  29. Shim OS. The study on the elderly homodialysis patients’ transition of health condi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1):179-194. 

  30. Ryu EJ, Lee JM, Choi SY. The relationships of pain cognition, performance status, and hope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7;19(1):155-165. 

  31. Kim Y, Hwang JS, Ahn J, Lee SM, Lee YJ, Shin S. Utilities for prostate cancer by cancer stage and treatment step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3;19(2):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