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관점의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대한 방향 정립
A Study on the Right Direction of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Architectur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4, 2016년, pp.45 - 56  

차욱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  남정칠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  양건석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의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평가 기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아울러 2012년 1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3년간 녹색건축통합운영시스템(G-SEED)에서 인증 받은 총 78개의 건축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 인증제도에 대해 네 가지의 논점을 도출하였다. 논점 1, 조경분야의 평가항목인 생태분야는 이산화탄소 저감에 확실한 성과를 보이는 항목이다. 이에 생태분야는 8개의 건축물에서 필수평가 항목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논점 2, 조경분야는 전문성이 매우 뛰어난 분야이다. 타 분야에서 조경분야를 평가한다는 것은 올바른 평가를 저해하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생태분야의 평가는 조경전문가에 의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타 항목 중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의 평가와 같은 조경분야와 밀접한 항목의 평가는 조경분야에서도 평가에 참여하여야 한다. 논점 3, 조경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저감 및 온도저감의 우수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다. 이에 조경 식재의 에너지 저감에 대한 평가항목이 추가되어야 한다. 논점 4, 유지 관리분야에 수목관리항목이 신설되어야 한다. 2013년 "녹색건축조성지원법"이 제정 시행된 녹색건축인증제도는 건축물의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실효적인 제도임에 틀림없다. 이 법은 특별법의 성격으로 건축법의 우위에 있어,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꼭 지켜야 하는 법이다. 이러한 법 체제 아래 건축분야에서는 이 법과 관련된 많은 연구 및 다양한 제품의 생산으로 건축의 또 다른 먹거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조경 분야에서는 "녹색건축조성지원법"에 대해 건축 분야에 비해 관심이 저조하였던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녹색건축인증제도에 대한 조경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조경 산업계에서도 더욱 큰 관심을 가져 이와 관련된 제품의 생산 등으로 조경의 업역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current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and on the 78 buildings, certified by G-SEED, for 3 years from November, 2012 to November, 201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our issues are dr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녹색건축 인증 기준 평가항목 그리고 실제 인증된 건축물의 분석을 통해 현행 인증 기준에 대한 조경관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은 언제부터 시행되었는가? 2002년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국토부와 환경부 주관)은 건물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02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이후 2010년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은 전면적으로 개정되면서 평가항목뿐 아니라, 인증 대상이 모든 건축물로 확대되고, 복합 건축물과 단지 내 일부 증축 시에도 평가가 가능하도록 개정되었다.
녹색건축 인증대상 건축물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첫째, 녹색건축 인증대상 건축물 및 인증기준의 평가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녹색건축 인증대상 건축물은 공동주택, 업무용 건축물, 복합건축물, 학교시설, 숙박시설, 판매시설, 그 밖의 건축물, 소형 주택 등 총 8개 건축물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 건축물들의 인증심사기준은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 및 환경오염, 재료 및 자원, 물 순환관리,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주택성능 분야의 8개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현재 녹색건축 인증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전문분야는? 녹색건축 인증의 평가는 8개의 전문분야로 이루어진다. 토지이용 및 교통 분야는 단지계획, 교통계획, 교통공학, 건축계획또는 도시계획의 전문가가 수행이 가능하며, 에너지 및 환경오염분야는 에너지, 전기공학, 건축환경, 건축설비, 대기환경, 폐기물처리, 기계공학의 전문가가 수행, 재료 및 자원 분야는 건축시공 및 재료, 재료공학, 자원공학 또는 건축구조의 전문가가 수행, 물순환관리 분야는 수공학, 상하수도공학, 수질환경, 건축환경 또는 건축설비의 전문가가 수행, 유지관리 분야는 건축계획, 건설관리, 건축설비 또는 건축시공 및 재료의 전문가가 수행, 생태환경 분야는 건축계획, 생태건축, 조경 또는 생물학의 전문가가 수행, 실내환경 분야는 온열환경, 소음・진동, 빛환경, 실내공기환경, 건축계획, 건축환경 또는 건축설비의 전문가가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생태환경의 평가내용 은 조경 식재와 관련된 조경의 고유한 영역 임에도 불구하고, 건축계획, 생태건축, 생물학의 전문가에 의한 평가가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m, Jin-Ho, Jun-Tae Kim and Choon-Seob Tae(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environment certification criteria in the G-SEE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11): 195-202. 

  2. Kim, So-Young and Joon-Gul Oh(2013) Comparative analysis of global design processes for environment friendly architectural design - centering around. Journal of the Korea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3(2): 26-27. 

  3. Kwon, Hyuck-Sam, JI-Hyeon Kim and Jung-Gon Kim(2013) A survey to improv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cu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housing. LHI Journal 4(4): 438-447. 

  4. Lee, Jae-Ok, Sung-Joong Kim, Sang-Min Lee and Sung-Min Lee(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life cycle assessment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Educational Facilities 20(3): 53-61. 

  5. Lee, Jin-Woo and Kyung-Sook Nam(2015) Fundamental study on indoor environment design guideline of green building apartment houses - Focusing on comparison of G-SEED, CASBEE, LEED v4, and BREEAM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ssessment guidelin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KIID) 17(1): 285-288. 

  6. Oh, Min-Ho, Tae-Dong Lee, Jae-Wook Lee and Han-Soo Kim(2015) The evaluation system for standard of regional green building design and certific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 Fall Conference 35(2): 585-586 

  7. Park, Ah-Reum, Dong-Woo Cho and Seon-Soo Mok(2013) Comparative analysis on certification score data of G-SEED for schoo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7): 299-308. 

  8. http://www.g-seed.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