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생성적 대화가 중학생의 과학적 모델에 관한 이해와 모델 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generative Dialogues on Scientific Model Understanding and Model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no.4, 2016년, pp.243 - 268  

김지윤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최승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생성적 대화가 인식론적 측면에서 학습자의 과학 모델에 관한 이해와, 실행 과정의 측면에서 모델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서울 소재 여자중학교 1학년 49명의 학생들에게 총 5차시 모델 구성 수업을 실시한 후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2개 조(8명)의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2개 조(9명)의 학생들의 모델에 관한 이해와 모델 구성을 비교하였다. 모델에 관한 이해는 Upmeier zu Belzen and $Kr{\ddot{u}ger$ (2010)의 분석틀을 사용하였고, 모델 구성 과정은 Baek et al. (2011)의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과학적 모델에 관한 이해와 모델 구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조의 학생들은 모델을 새로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로 인식하였지만, 참여하지 않은 조의 학생들은 모델을 현상을 이해하는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모델 구성 과정을 측정하는 분석틀을 마련하여 학교 현장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새로운 학습 방법으로써 공동생성적 대화를 모델 구성 수업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generative Dialogues embedded in a modeling-centered science learning and instruction on 7th grade female $students{\acute{i}}$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s and modelling A total of 49 7th grade female students in two classr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모델의 특성 중 하나는? (1999)는 과학적 현상에 대해 설명하거나 예측하도록 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Giere(1988)는 모델의 특성 중 의사소통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론화하기 어려운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가 쉽도록 표상 화하여 학습자의 과학 개념 이해를 돕고, 소통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끔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다양한 정의 중 “실제로 발생한 과학 현상을 설명하는 체계”로 정의하고자 한다.
과학에서의 모델이란? 과학에서의 모델은 자연 현상의 발생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을 설명하고 예상하기 위한 체계로, 현상에 관한 이론, 개념, 내용, 과정 및 여러 요소와의 상호작용을 포괄한다(Gilbert, 1991). 이러한 모델에 대해 Gilbert (2004)는 모델이 주어진 과학적 탐구능력신장 및 과학지식을 생산 및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고, Van Driel et al.
과학적 모델 활용과 모델 구성의 참여가 특히 지구과학 학습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학습자의 과학적 모델 활용과 모델 구성의 참여는 특히 지구과학을 학습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지구과학은 광범위한 시공간적 단위를 사용하는 학문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은 자연 현상을 그대로 재연하기 보다는 가상의 체제 속에서 현상과의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이 요구되는데, 이 때 과학적 모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Lee and Choe(2008)는 모델을 통해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개념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k, H., Schwarz, C., Chen, J., Hokayem, H., and Zhan, L., 2011, Engaging elementary students in scientific modeling: The MoDeLS fifth-grade approach and findings. In Myint Swe Khine and Issa M. Saleh, Models and Modeling.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195-218. 

  2. Bamberger, Y. M., and Davis, E. A., 2013,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 scientific modelling performances across content areas and within a learning prog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 213-238. 

  3. Chan, K. L., and Chan, C. L., 2005, Chinese culture, social work education and research. International Social Work, 48, 381-389. 

  4. Clement, J. J., 2008, Student/teacher co-construction of visualizable models in large group discussion. In Clement, J. J. and Rea-Ramirez, M. A.,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11-22. 

  5. Clement, J. J., 2000, Model based learning as a key research area for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1041-1053. 

  6. Crawford, B., and Cullin, M., 2005, Dynamic assessments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of models and modelling. In Kerst Boersma, Martin Goedhart, Onno de Jong and Harrie Eijkelhof, Research and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Springer, Dordrecht, Netherlands, 309-323. 

  7. Giere, R. N., 1988. Explaining science: a cognitive approac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United States of America, 322p. 

  8. Gilbert, J. K., 2004, Models and Modelling: Routes to more authentic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 115-130. 

  9. Gilbert, S. W., and Ireton, S. W., 2003, Understanding Models in Earth & Space Science. NSTA press, Arlington, United States of America, 124p. 

  10. Gilbert, S. W., 1991, Model building and a definition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73-79. 

  11. Grosslight, L., Unger, C., Jay, E., and Smith, C. L., 1991, Understanding models and their use in science: Con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per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799-822. 

  12. Ham, D, C., 2012, The process of students' model evolution through peer-centered interaction in model construction class of the astronomy domain. Unpublished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9p. (in Korean) 

  13. Harrison, A. G., and Treagust, D. F., 2000, Learning about atoms, molecules, and chemical bonds: A case study of multiplemodel use in grade 11 chemistry. Science Education, 84, 352-381. 

  14. Halloun, I., 1996, Schematic Modeling for Meaningful Learning of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1-26. 

  15. Im, S. M,, and Martin, S. N., 2014,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Cogenerative Dialogue i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 17-43. (in Korean) 

  16. Lee, M., and Choe, S. U., 2008, Complementary Models for Help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Moon Phases.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60-77. (in Korean) 

  17. Lee, T. H,, 2013, Cultural fea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 inquiry practices. Unpublished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9p.(in Korean) 

  18. Martin, S. N., and Im, S. M., 2013, Promoting Inclusive Science Education Practices using Cogenerative Dialogu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4, 233-268.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 announcement, 2015-163, 311p. (in Korean) 

  20. Morgan, M. S., and Morrison, M., 1999, Models as mediators: Perspectives on natural and soci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Melbourne, Australia, 420p.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Retrieved from http://www.nap.edu/ (2016.07.05.) 

  22. Oh, P. S., Jon, W. S., and Yoo, J. M., 2007, Analysis of Scientific Models in the Earth Domain of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393-404. (in Korean) 

  23. Oh, P. S., and Oh, S. J., 2011, What teachers of science need to know about model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 1109-1130. 

  24. Roth, W. M., and Tobin, K. G., 2005, Teaching together, learning together. Peter Lang, New York, United States of America, 275 p. 

  25. Scantlebury, K., Gallo-Fox, J., and Wassell, B., 2008, Coteaching as a model for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967-981. 

  26.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r, A., Fortus, D., ..., and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 632-654. 

  27. Schwarz, C. V., and White, B. Y., 2005, Metamodeling knowledge: Develo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3, 165-205. 

  28. Siry, C. A., and Martin, S. N., 2014, Facilitating Reflexivity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Using Video Analysis and Cogenerative Dialogue in Field-Based Methods Course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0, 481-508. 

  29. Siry, C. A., 2011, Emphasizing collaborative practices in learning to teach: coteaching and cogenerative dialogue in a fieldbased methods course. Teaching Education, 22, 91-101. 

  30. Upmeier zu Belzen, A., and Krger, D., 2010, Modellkompetenz im Biologieunterricht [Model competnece in biology teaching]. Zeitschrift fr Didaktik der Naturwissenschaften, 16, 41-57. 

  31. Van Driel, J. H., Verloop, N., and de Vos, W., 1999, Introducing dynamic equilibrium as an explanatory mode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 559-5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