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 종사 흡연 여성 근로자의 금연자기효능감과 금연준비도
Self-efficacy and Preparation of Smoking Cessation in Service and Sales Woman Smokers Working in Department Stor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3, 2016년, pp.168 - 176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경남금연지원센터) ,  박기수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건강과학연구원, 경남금연지원센터) ,  최혜옥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부) ,  양승경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to describe smoking characteristics, and then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and preparation of smoking cessation in service and sales woman employee with smoking in department stores. Methods: This stud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비스 및 판매업 종사 여성 근로자의 흡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금연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흡연 관련 특성에 대한 정확한 규명과 금연에 효과적인 변수로 알려진 금연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에 종사하는 흡연 여성 근로자들의 흡연 관련 특성, 금연자기효능감 및 금연준비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향후 효과적인 여성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G금연지원센터에서 수행한 흡연 여성근로자 등록을 위한 설문조사의 원시자료를 분석한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연구이다. G금연지원센터는 2015년부터 보건복지부로부터 지정받아 대학생, 여성, 학교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금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본 연구는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 종사 흡연 여성 근로자의 흡연 관련 특성, 금연자기효능감, 금연준비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에 종사하는 흡연 여성 근로자들의 흡연 관련 특성, 금연자기효능감, 금연준비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향후 여성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에 종사하는 흡연 여성 근로자들의 평균연령은 30.
  • 본 연구는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에 종사하는 흡연 여성 근로자들의 흡연 관련 특성, 금연자기효능감, 금연준비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흡연 여성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에 종사하는 흡연 여성 근로자들의 평균연령은 30.
  • 본 연구의 목적은 백화점 서비스 및 판매업에 종사하는 흡연 여성 근로자들의 흡연 관련 특성, 금연자기효능감, 금연준비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금연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금연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 남성 흡연율의 변화 추세는? 7%인 것으로 보고되었다(Korea Health Statistics, 2014). 성인 남성 흡연율은 2007년 45.1%에서 2014년 43.1%로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여성의 흡연율이 2007년 5.3%에서 2014년 5.
여성흡연이 남성흡연에 비해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크다고 보는 이유는? 특히 20대 여성의 흡연율이 8.7%로 가장 높았는데(Korea Health Statistics, 2014), 가임기 여성의 흡연은 수정능력 저하, 조기폐경, 자궁경부암 같은 여성 고유 질환 발생 위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임신 중의 흡연은 유산, 조산, 태아 기형, 저체중아 출산 등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영향이 심각하다(Lee, 2002; Hwang et al., 2000). 또한 여성 흡연자들은 자녀를 키우는 20~40대 여성들이 대부분으로 이로 인해 자녀들이 흡연에 노출되어 청소년 흡연 행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Guo, Collins, Hill, & Hawkins, 2000). 이렇듯 여성흡연은 남성흡연에 비해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흡연 관련 연구는 주로 남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여성 흡연자들의 문제와 심각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 결과 우리나라 성인 흡연율은?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흡연율은 남성 43.1%, 여성 5.7%인 것으로 보고되었다(Korea Health Statistics, 2014). 성인 남성 흡연율은 2007년 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anada Centre for Addiction and Mental Health. (2011). Counsellors' manual for commercial tobacco cessation treatment. Retrieved August 19, 2016, from https://www.nicotinedependenceclinic.com/English/teach/SiteAssets/Pages/KnowledgeTransfer-Exchange/IT'S-TIME/6.%20Counsellors'%20Manual%20for%20Commercial%20Tobacco%20Cessation%20Treatment.pdf 

  2. Chen, H. M., Yeh, M. L., & Chao, Y. H. (2006). Comparing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with and without an internet-assisted program on smoking cessation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2(2), 147-152. 

  3. Cho, H. J., Khang, Y. H., & Yun, S. C. (2006). Occupational differential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findings from the 2003 social statistics surve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9(4), 365-370. 

  4. Choe, E. Y., & Jeong, S. H. (2012).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smoking, CO, urine cotinine level and self-efficacy for adolescent smoker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2), 103-111. 

  5. Choi, Y. S. (2014). Attitude to smoking, beliefs about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in women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9(1), 33-45. 

  6. Guo, J., Collins, L. M., Hill, K. G., & Hawkins, J. D. (2000). Developmental pathways to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1(6), 799-808. 

  7. Ham, O. K., & Yoo, J. B. (2008). Smoking temptatio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counseling among users of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by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2), 246-254. 

  8. Heatherton, T. F., Kozlowski, L. T., Freker, R. C., & Fagerstrom, K. O. (1991). The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6(9), 1119-1127. 

  9. Hong, K. E. (2002).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behavior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3), 13-34. 

  10. Hwang, S. J., Ou, S. W., Kim, S. N., Hwang, H. S., Cho, B. L., & Huh, B. Y. (2000). Smoking patter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in korean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1(3), 344-356. 

  11. Kim, C. M., & Son, H. M. (2005). A study on taxi drivers' smoking behavior, self efficacy and expectation level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4), 517-526. 

  12. Kim, E. K., & Song, M. R. (2013).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related to a smoking cessation program among smok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4), 184-192. 

  13. Kim, N. J., & Hong, H. S. (2016). Influence of stress,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smoking temptation and nicotine dependency in male college students who smok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8(1), 1-8. 

  14. Kim, Y. S., & Jo, H. S. (2008). Smoking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of female smokers from public health center in Inche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3), 125-138. 

  15. Korean Association on Smoking or Health (2014). Smoking Patterns of Adult Women in Korea and nonsmoking policy(1000042166), Seoul: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16.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17.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18. Korean Association on Smoking or Health. (2014). Smoking patterns of adult women in Korea and nonsmoking policy. Seoul: Author. 

  19. Lee, J. H., Kang, E. S., & Lee, Y. E. (2001). The effect of smoking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2(3), 716-731. 

  20. Lee, J. J . (2002). The effect of maternal smoking in pregnancy.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13(4), 357-365. 

  21. Paek, K. S. (2005). The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y and self-efficacy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3), 282-88. 

  22. Park, M. K., Kang, K. S., & Kim, N. Y. (2007).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mount of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for smoking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7(7), 1073-1079. 

  23.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94). The transtheoretical approach: Crossing traditional boundaries of therapy. Malabar, FL: Krieger Pub Co. 

  24. Seo, M. K. (2011). Women's smoking behavior: factors and policy options. Health-Welfare Policy Forum, 172, 59-67. 

  25. Shin, H. J. (2001). (A) Study on the need of smoking of female smokers at various level of arousal and sex-role attitudes of female smo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Sohn, S. J. (2013). LCGM analysis of smoking patterns of Korean wome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9(1), 219-235. 

  27. Velicer, W. F., DiClemente, C. C., Rossi, J. S., & Prochaska, J. O. (1990). Relapse situations and self-efficacy: An integrative model. Addictive Behaviors, 15(3), 271-2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