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대책 특성 및 개선 방향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Reg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in accordance with Damage Case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4, 2016년, pp.296 - 306  

안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강영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박창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호걸 (서울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 및 위험은 지역적, 국지적 차원에서 더욱 확장되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적 영향 및 특성을 반영한 기후변화 적응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지자체 적응대책의 분야별 사업 수 및 예산의 특성을 분석하고 피해사례와 비교 검토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기초지자체 적응대책 특성 분석을 위해 군집분석을 통하여 지자체 적응대책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 했다. 적응대책의 계획이 실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과거 24년 동안 지자체별 관측 영향 결과(신문기사 2,565건)와 비교 분석을 수행했다. 군집분석 수행 결과 군집은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전국 피해 유형으로 재난재해, 건강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피해 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적응계획 또한 재난재해, 건강, 농업, 물 관리 순서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피해 사례 반영의 비중과 단기 및 장기 미래에 대한 고려 수준에 따라서 각 군집별로 피해빈도와 적응계획의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초지자체 특성 및 지역별 실질적 피해에 기반 한 적응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stablishing a reg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as the climate change impact in the region and local scale increases.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32 regions on its characteristics of loc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First, statistic program R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우리나라의 주요 리스크를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극한 기후사상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확보 가능한 신문기사의 내용을 활용해 적응대책 특성과 피해사례의 특성을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2011-2015)을 기반으로 수립된 시범 기초지자체 33개 시·군의 기후변화 적응대책1)을 기반으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사항의 특성을 분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이 수립된 배경은? 2010년 이후부터 영국, 호주, 네덜란드 등 세계 각국에서는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한 법률이 재정 되었 으며 리스크 평가를 기반으로 한 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시작했다(Lee 2013). 우리나라도 2007년 12월에 발표된 4차 종합대책에서 기후변화 완화에 비해 적응에 대한 투자가 미흡했던 점을 고려하여 국가차원에서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기 시작하였고, 2010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토대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 및 이행 중에 있다.
적응대책 특성 유형화를 위한 군집분석은 어떤 기준으로 분류하였는가? 적응대책 특성 유형화를 위해 적응대책의 수 및 예산을 표준화 값(Z-score)으로 환산한 다음 통계 프로그램 R을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했다. 군집분석은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의 분류 기준인 ‘건강’, ‘교육홍보 및 국제협력’, ‘농업’, ‘물 관리’, ‘산림’, ‘생태계’, ‘재난재해’, ‘적응산업에너지’, ‘기후변화 감시 예측’, ‘해양수산’, ‘관광’, ‘복합’의 적응대책 옵션 수 및 예산에 따라 분류 했으며, 분류방법은 비계층적(Nonhierarchical method) 분석방법2) 인 K-평균 군집분석 방법을 적용했다. 군집 분석 후군집간의 값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수행했다.
국가 적응대책 수립에 있어 우리나라의 대책의 한계점은? 하지만 국가 적응대책 수립에 있어 우리나라 적응 대책은 기존의 정책을 단순히 취합하거나 다양한 과제들을 나열하여 제시 된 점, 부처별로 산발적인 연구로 인한 정책적 활용에 부족하다는 점, 기후변화적응대책이 정부 주도적으로 수립되어 지역을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언급되면서 (Han 2007; Chae 2012; Lee 2013) 기후변화 적응 대책의 적절성, 효율성, 효과성에 대한 제고 및 정책과 계획에 대한 환류(Feedback) 시스템의 필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했다(Chae & Cho 2011; Cha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HK. 2009. Comparative study of customer segmentation by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and two-step cluster analysi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2. Baeck SH, Jung CS, Jin HD, Kim DP. 2011. A Study on Comparison of Normalization and Weighting Method for Constructing Index about Flood. J Korean Wetlands Society. 13(3): 411-426. [Korean Literature] 

  3. Baker I, Ann P, Greg B, Clive M. 2012. Local Government Response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 Evaluation of Local Climate Adaptation Plan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7(2): 127-136. 

  4. Brixi HP, Mody A. 2002. Dealing with government fiscal risk: An overview. In: Government at Risk [Polackova Brixi, H. and A. Schick (eds.)]. World Bank. Washington, DC. 

  5. Chae YR. 2012. Prioritiz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by Sector.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197. [Korean Literature] 

  6. Chae YR. 2014. Study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evaluation methods and main streaming feedback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7. Chae YR, Cho HJ. 2011. Analysis of methodologies for prioritiz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8. Cheongju.Cheongwon. 2014.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Korean Literature] 

  9. City of Gochang. 2013. Lower Local Government Climate Change Adaptation Enforcement of Detail Plans. [Korean Literature] 

  10. Dupuis J, Robbert B. 2013. Comparing Apples and Oranges: The Dependent Variable Problem in Comparing and Evaluat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3(6): 1476-1487. 

  11. Eumseong-gun. 2014.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Korean Literature] 

  12. Fidelman PIJ, Leitch AM, Nelson DR. 2013. Unpacking multilevel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the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3(4): 800-812. 

  13. Forino G, Meding JV, Brewer G, Gajendran T. 2014. Disaster risk reduc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in Australia.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18: 473-482. 

  14. Gero A, Meheux K, Dominey-Howes D. 2010. Disaster risk reduc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Pacific: The challenge of integration.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3: 800-812. 

  15. Ha JS, Jung HC, Lee JH, Kim DH, Choi JH. 2014. A Study 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 Long-term Heatwave Plan addressing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93-104. [Korean Literature] 

  16. Haasnoot M, Kwakkel JH, Walker WE, Maat JT. 2013. Dynamic adaptive policy pathways: A method for crafting robust decisions for a deeply uncertain worl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3(2): 485-498. 

  17. Han HJ. 2007.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Korea I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432. [Korean Literature] 

  18.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19. IPCC Working Groups I & II. 2012.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 Climate Change Adaptation - SUMMARY FOR POLICYMAKERS. 

  20. Jecheon-si. 2014.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Korean Literature] 

  21. Kang YE, Shin JY, Park CS. 2016. Assessing Climate Change Risk and Adaptation Policy Improvements through Text-mining. J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7(2): 69-84. [Korean Literature] 

  22. Kim JA, Yun SJ. 2014. An Evaluation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of Regional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Planning Elements and Establishment Processe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5(2): 29-51. [Korean Literature] 

  23. Lee SJ. 2013. A study of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Risks in Response to Adaptation Strategies for Climate Change in Strategic Partner Nation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24. Lei Y, Wang J. 2014. A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Link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with Disaster Risk Reduction. Natural Hazards. 71(3): 1587-1597. 

  25. Maarten K, Aalst V, Terry C, Ian B. 2008. Community Level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e Potential Role of Participatory Community Risk Assessment.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8(1): 165-179. 

  26. Mitchell TM. Ibrahim K, Harris M, Hedger E, Polack A, Ahmed N, Hall K, Hawrylyshyn K, Nightingale M, Onyango, MAdow M, Sajjad. 2010. Climate Smart Disaster Risk Management. Strengthening Climate Resilience.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Brighton, UK. 

  27.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According to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Korean Literature]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Establishment of Adaptation Strategy for National Risk Assessment. [Korean Literature]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Research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Korean Literature]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13a. Research for establishing feedback and monitoring system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31. Ministry of Environment. 2013b.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Local Government's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Korean Literature] 

  32.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The 2nd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2016-202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33. Nam KH. 2014. Complex Disaster Risk Analysis by Using Baysian Network Analysis. Inje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34. Okcheon-gun. 2013.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Korean Literature] 

  35. Park CS. 2014. Climate-environment Risk Outlook and National Strateg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36. Park CS. 2014. Research for Establishing 2nd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37. Polack E. 2010. Integrating Climate Change into Regional Disaster Risk Management at the Mekong River Commission. Strengthening Climate Resilience Discussion Paper 4. 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 Brighton, UK. 

  38. Reeder T, Ranger N. 2011. How do you adapt in an uncertain world?: lessons from the Thames Estuary 2100 project. 

  39. UNFCCC (http://unfccc.int, Access on 2016. 04. 27.) 

  40. UNISDR. 2004. Disaster Risk Reduction Tools and Method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1-22. 

  41. UNISDR. 2009. Risk and Poverty in a Changing Climate: Global Assessment Report on Disaster Risk Reduction.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Geneva, Switzerland. 

  42. Wheeler SM. 2008. State and municipal climate change plans - The first genera- tion. J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4(4): 481-496. 

  43. Wonju-si. 2014. Climate Change Adaptation Action Plans. [Korean Literature] 

  44. Yoo JM, Yun SJ. 2015. Critical Inquiry on Transform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Its Potential and Challenges. J Korea Environ Policy and Administration Society. 23(1): 149-181.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