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당조절 양호군, 불충분군, 불량군간의 당뇨병 자가간호행위 관련요인 비교 - 계획된 행위이론, 습관,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Self-care Behavior Related Factors for Good, Inadequate and Poor Glycemic Control Groups: Based on Variables from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bit, and Family support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3, 2016년, pp.245 - 255  

김재경 (경상대학교병원 간호부) ,  구미옥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elf-care behaviors and self-care behavior related factors for groups of patients with good, inadequate and poor glycemic control. The study was based on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y Ajzen, habit and family support. (1991). Methods: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습관과 지각된 행위통제가 혈당조절 세군에 대한 수정가능한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이들 변수를 증진시키는 전략을 적극 권장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혈당조절 세 군(양호군, 불충분군, 불량군)간의 자가간호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하면서 습관과 가족지지 변수를 추가하여 혈당조절 세군(양호군, 불충분군, 불량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혈당조절 군별로 혈당조절 목표 달성을 촉진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 습관은 특정신호에 자동적으로 반응하며, 특정 목표나 최종상태를 획득하는데 기능적인 학습된 행위이다[23].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식이조절 및 운동에 대한 습관 강도로서 식이조절 및 운동이 일상의 한 부분이 되어 의식하지 않아도 수행하는 정도이다. Verplanken과 Orbell [23]이 개발한 도구인 A Self-Report Index of Habit Strength 도구를 기반으로 본연구자가 당뇨병 환자의 식이와 운동에 맞게 개발한 후 간호학 교수 1인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은 도구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이상과 같이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간호행위와 혈당조절을 위해 Ajzen [13]의 계획적 행위이론변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습관과 가족지지 변수의 추가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과 혈당조절 군별로 혈당조절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화혈색소 수치에 따라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혈당조절 양호군, 불충분군 및 불량군으로 분류하고 이들 혈당조절 세 군간에 자가간호행위와 자가간호행위 관련 요인을 비교하기 위하여 계획적 행위이론 변수를 적용하면서 습관과 가족지지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연구결과는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와 혈당조절 목표 달성을 촉진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간호행위는 어떤 행위가 포함되어 있는가?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자가간호행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8-10].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간호행위는 식사, 운동, 약물요법, 자가혈당측정, 발관리 등의 다양한 행위가 포함되며[9], 이중 식사, 운동, 약물요법은 당뇨병 관리의 기본적 요소로서 혈당조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가간호행위 중 약물요법은잘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8,9], 당뇨식이를 매일 이행하는 사람은 43.
미국당뇨병협회에서 혈당조절 목표로 제시하는 기준은? 전향적인 당뇨병 연구인 DCCT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 [4]와 UKPDS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연구 결과[5] 제 1형 당뇨병과 제 2형 당뇨병환자에서 적극적인 혈당조절은 당뇨병성 합병증인 망막병증, 신증, 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합병증과 대혈관 합병증의 발생 및 진행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혈당조절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미국당뇨병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6]에서 혈당조절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당화혈색소 7.0% 미만을 기준으로 볼 때 국내 당뇨병 환자의 20~40%정도만 혈당목표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7], 당뇨병환자에서 혈당조절을 위한 적극적인 간호중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식이와 운동에 대한 자가간호행위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가 여전히 중요한 이유는?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간호행위는 식사, 운동, 약물요법, 자가혈당측정, 발관리 등의 다양한 행위가 포함되며[9], 이중 식사, 운동, 약물요법은 당뇨병 관리의 기본적 요소로서 혈당조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가간호행위 중 약물요법은잘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8,9], 당뇨식이를 매일 이행하는 사람은 43.6% 이며[11], 일주일에 3회 이상 운동을 하는 경우는 45.1% 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그러므로 식이와 운동에 대한 자가간호행위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며, 이러한 간호중재개발을 위해서는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규명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Educational guideline for diabetes. 2th ed. Seoul: Author; 2006. 

  2. Jeon JY, Ko SH, Kwon HS, Kim NH, Kim JH, Kim CS, et al. Prevalence of diabetes and prediabetes according to fasting plasma glucose and HbA1c.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2013;37(5):349-357. 

  3.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4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5 October 2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aSeq348539 

  4.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3;329(14):977-986. http://dx.doi.org/10.1056/NEJM199309303291401 

  5.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Lancet. 1998; 352(9131):837-853. http://dx.doi.org/10.1016/S0140-6736(98)07019-6 

  6.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4. Diabetes Care. 2014;37(Suppl 1):S14-S80. http://dx.doi.org/10.2337/dc14-S014 

  7. Choi YJ, Kim HC, Kim HM, Park SW, Kim J, Kim DJ.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diabetes in Korean adults: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05. Diabetes Care. 2009;32(11):2016-2020. http://dx.doi.org/10.2337/dc08-2228 

  8. Kang HY, Gu MO. Comparative study on self-care behavior, diabetes-related stress, and stress coping among good, inadequate, and poor glycemic control group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2):168-178. 

  9. Gu MO. Structural model for self care behavior and metabol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 [dissertation]. Seoul:Seoul National University; 1992. p. 1-135. 

  10. Hong SH. Effect of exercise on the glycemic control of diabetic patients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6. p. 1-25. 

  11. Lee JK. Self-management and its predictors for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type 2 diabetes. Korean Journal of Adults Nursing. 2009;21(5):447-457. 

  12. Min KW, An KH, Sohn TS, Park YM, Hong YS, Kim YS, et al. The study of physical activity in the Korean with type 2 diabete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05;29(6):517-525. 

  13.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2):179-211. http://dx.doi.org/10.1016/0749-5978(91)90020-T 

  14. Blue CL. Do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dentify diabetes-related cognitions for intention to be physically active and eat a healthy diet? Public Health Nursing. 2007;24(2):141-150. http://dx.doi.org/10.1111/j.1525-1446.2007.00618.x 

  15. White KM, Terry DJ, Troup C, Rempel LA, Norman P, Mummery K, et al.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2012;20(3):281-299. 

  16. Webb TL, Sheeran P. Does changing behavioral intentions engender behavior change? A meta-analysis of the experimental evidence. Psychological Bulletin. 2006;132(2):249-268. http://dx.doi.org/10.1037/0033-2909.132.2.249 

  17. Gardner B, Lally P, Wardle J. Making health habitual: The psychology of habit-formation and general practice.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2012;62(605):664-666. http://dx.doi.org/10.3399/bjgp12X659466 

  18. Gardner B, de Bruijn GJ, Lally P.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applications of the self-reports habit index to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ur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11;42(2):174-187. http://dx.doi.org/10.1007/s12160-011-9282-0 

  19. Park KS, Moon JS, Park SN. Self-care,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3):345-352. 

  2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21. Ajzen I. Construct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questionnaire [Internet]. Ireland: Measurement Instrument Database for the Social Sciences Ireland; 2002 [cited 2009 November 25]. Available from: http://people.umass.edu/-aizen/pdf/tpb.measurement.pdf. 

  22. Kim YJ. The relationships of the spouse support need, perceived spouse support, satisfaction with spouse support and self-care behavior,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3. p. 1-61. 

  23. Verplanken B, Orbell S. Reflections on past behavior: A self-report index of habit strength.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03;33(6):1313-1330. http://dx.doi.org/10.1111/j.1559-1816.2003.tb01951.x 

  24. Moon SH, Lee YW, Ham OK, Kim SH.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iabetes education on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glycosylated hemoglobi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1):81-92.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81 

  25. Abebe SM, Berhane Y, Worku A, Alemu S, Mesfin N. Level of sustained glycemic control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n Ethiopia: A hospital-based cross-sectional study. Diabetes,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Targets and Therapy. 2015;8;65-71. http://dx.doi.org/10.2147/DMSO.S75467 

  26. Lee HW, Park HS. The variables affecting diabetic patients' self-care behaviors: An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010;12(4):327-358. 

  27. Seo KS, Song MS. Relationships of motivational factors and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2012;19(3):308-318. http://dx.doi.org/10.5953/JMJH.2012.19.3.308 

  28. Davies CA, Mummery WK, Steele 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nd physical activity in individuals with type II diabete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0;44(13):979-984. http://dx.doi.org/10.1136/bjsm.2008.0509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