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망의 돌봄: 완화의료 영역에서의 진단, 평가 및 치료
Delirium Management: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in Palliative Car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3, 2016년, pp.201 - 210  

서민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  이용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완화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섬망은 완화치료를 받는 말기암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임종기에 접어들수록 빈도는 증가한다. 섬망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높은 사망률과 관련되어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 의료진들이 적절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는 우울이나 치매와 같은 정신질환과의 중복되는 특성, 섬망에 대한 평가 및 진단에 대한 지식의 부족 등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까지 알려진 섬망 선별검사를 통해 섬망환자를 정확히 인지하고, 진단하는 것이 완화의료 영역에서 섬망 증상 관리에 우선되어야 할 분야로 생각된다. 섬망이 진단되었을 때는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약물이나 탈수, 감염 등의 가역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이를 교정하는 것이 섬망을 조절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와 함께 소음을 줄이거나, 적절한 조명을 유지하는 등의 환자의 주변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등의 비약물적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비약물적 치료로 효과가 없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 항정신병 약물과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진정효과가 있는 약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는 저용량의 할로페리돌 투여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 약제로 인정되고 있다. 비정형적 항정신병 약물로는 Olanzapine, Quetiapine, Risperidone 등이 있으며 현재까지 보고된 바로는 할로페리돌과 비교하여 섬망 개선 효과는 비슷하나 추체외로 증상이 드물고 진정 효과가 있어 경구 섭취가 가능한 경우 고려해 볼 수 있는 약제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완화의료 영역에서의 섬망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연구 결과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로 인해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임상진료 지침 또한 부족한 상태이다. 현재까지는 중환자실, 노인 환자에서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과를 토대로 완화의료 영역에서의 섬망 치료에 이용하였지만 추후 말기암환자에서의 섬망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임상진료지침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lirium is a common symptom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The prevalence increases in the dying phase. Delirium causes negative effects on quality of life for bo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is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However, some studies reported that it tends to remain unre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섬망의 진단: D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진단기준 : 섬망의 DSM 진단 기준은 기존의 DSM-IV 진단기준에서 2013년 5월 발표된 최신의 진단기준인 DSM-5로 바뀐 내용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DSM-V 진단 기준의 항목은 기존의 4가지 항목에서 5가지 항목으로 변경되었는데 이 중 진단항목 D는 A, C 진단 항목에 대한 부연설명이다.
  • 섬망이 발생하면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이 떨어질 뿐 아니라 환자의 예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 진료현장에서 섬망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지에서는 암환자 특히 완화의료 영역에 해당되는 진행성 암환자와 말기암환자를 중심으로 섬망의 정의와 유병률, 평가와 진단 방법, 치료에 대하여 최근 발표된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의 어원은 무엇이며, 어떤 뜻인가? 섬망(Delirium)은 라틴어 ‘Delirare’에서 유래된 말로 ‘미친 또는 광란’의 상태를 의미한다. 섬망은 복합적 신경 인지증후군으로 주로 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질병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중증 내과 질환, 수술 후에 잘 발생하며 진통제나 안정제와 같은 약물, 배뇨관, 정맥혈관 등의 카테터, 병실의 변경, 보청기나 안경의 부재 등 치료환경과 일상생활의 변화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섬망은 암관련 외에 어떤 원인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는가? 섬망(Delirium)은 라틴어 ‘Delirare’에서 유래된 말로 ‘미친 또는 광란’의 상태를 의미한다. 섬망은 복합적 신경 인지증후군으로 주로 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질병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중증 내과 질환, 수술 후에 잘 발생하며 진통제나 안정제와 같은 약물, 배뇨관, 정맥혈관 등의 카테터, 병실의 변경, 보청기나 안경의 부재 등 치료환경과 일상생활의 변화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진행성 암환자들에서 있어서는 암 치료 또는 암 관련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말기암환자에서 더욱 빈번히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섬망이 진단되었을 때 유발 요인을 교정하는 것 외에도 같이 병행해 주어야 할 비약물적 대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섬망이 진단되었을 때는 유발요인을 확인하고 약물이나 탈수, 감염 등의 가역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이를 교정하는 것이 섬망을 조절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와 함께 소음을 줄이거나, 적절한 조명을 유지하는 등의 환자의 주변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등의 비약물적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비약물적 치료로 효과가 없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 항정신병 약물과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진정효과가 있는 약물을 사용할 수있으며, 현재까지는 저용량의 할로페리돌 투여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 약제로 인정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enteno C, Sanz A, Bruera E. Delirium in advanced cancer patients. Palliat Med 2004;18:184-94. 

  2. Grassi L, Caraceni A, Mitchell AJ, Nanni MG, Berardi MA, Caruso R, et al. Management of delirium in palliative care: a review. Curr Psychiatry Rep 2015;17:550. 

  3. Minagawa H, Uchitomi Y, Yamawaki S, Ishitani K. Psychiatric morbidity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Cancer 1996;78:1131-7. 

  4. Sfera A, Cummings M, Osorio C. Non-Neuronal Acetylcholine: The Missing Link Between Sepsis, Cancer, and Delirium? Front Med (Lausanne) 2015;2:56. 

  5. Combs D, Rice SA, Kopp LM. Incidence of delirium in children with cancer. Pediatr Blood Cancer 2014;61:2094-5. 

  6. Morita T, Tei Y, Tsunoda J, Inoue S, Chihara S. Underlying pathologi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linical features in terminal delirium of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01;22:997-1006. 

  7. Uchida M, Okuyama T, Ito Y, Nakaguchi T, Miyazaki M, Sakamoto M, et al. Prevalence, cours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 longitudinal observational study. Jpn J Clin Oncol 2015;45:934-40. 

  8. Kang JH, Shin SH, Bruera E. Comprehensive approaches to managing delirium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Cancer Treat Rev 2013;39:105-12. 

  9. Zimmerman KM, Salow M, Skarf LM, Kostas T, Paquin A, Simone MJ, et al. Increasing anticholinergic burden and delirium in palliative care inpatients. Palliat Med 2014;28:335-41. 

  10. Zaal IJ, Slooter AJ. Delirium in critically ill patients: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Drugs 2012;72:1457-71. 

  11. Griffin EW, Skelly DT, Murray CL, Cunningham C. Cyclooxygenase-1-dependent prostaglandins mediate susceptibility to systemic inflammation-induced acute cognitive dysfunction. J Neurosci 2013;33:15248-58. 

  12. Matsuoka H, Yoshiuchi K, Koyama A, Otsuka M, Nakagawa K. Chemotherapeutic drugs that penetrate the blood-brain barrier affect the development of hyperactive delirium in cancer patients. Palliat Support Care 2015;13:859-64. 

  13. Gaudreau JD, Gagnon P. Psychotogenic drugs and delirium pathogenesis: the central role of the thalamus. Med Hypotheses 2005;64:471-5. 

  14. Caraceni A. Drug-associated delirium in cancer patients. EJC Suppl 2013;11:233-40. 

  15. Hey J, Hosker C, Ward J, Kite S, Speechley H. Delirium in palliative care: Detection, documentation and management in three settings. Palliat Support Care 2015;13:1541-5. 

  16. European Delirium Association; American Delirium Society. The DSM-5 criteria, level of arousal and delirium diagnosis: inclusiveness is safer. BMC Med 2014;12:141. 

  17. de la Cruz M, Noguera A, San Miguel-Arregui MT, Williams J, Chisholm G, Bruera E. Delirium, agitation, and symptom distress within the final seven days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receiving hospice care. Palliat Support Care 2015;13:211-6. 

  18. Rainsford S, Rosenberg JP, Bullen T. Delirium in advanced cancer: screening for the incidence on admission to an inpatient hospice unit. J Palliat Med 2014;17:1045-8. 

  19. Hosie A, Lobb E, Agar M, Davidson PM, Chye R, Phillips J. Nurse perceptions of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in two palliative care inpatient units: a focus group study. J Clin Nurs 2015;24:3276-85. 

  20. Kim KN, Kim CH, Kim KI, Yoo HJ, Park SY, Park Y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ale. J Korean Acad Nurs 2012;42:414-23. 

  21. Lee Y, Ryu J, Lee J, Kim HJ, Shin IH, Kim JL, et al. Korean vers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reliability and validity. Psychiatry Investig 2011;8:30-8. 

  22. Leonard MM, Nekolaichuk C, Meagher DJ, Barnes C, Gaudreau JD, Watanabe S, et al. Practical assessment of delirium in palliative care. J Pain Symptom Manage 2014;48:176-90. 

  23. Korc-Grodzicki B, Sun SW, Zhou Q, Iasonos A, Lu B, Root JC, et al. Geriatric assessment as a predictor of delirium and other outcomes in elderly patients with cancer. Ann Surg 2015;261:1085-90. 

  24. Tahir TA. A review for usefulness of atypical antipsychotics and cholinesterase inhibitors in delirium. Pharmacopsychiatry 2012;45:163; author reply 164. 

  25. Breitbart W, Alici Y. Evidence-based treatment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J Clin Oncol 2012;30:1206-14. 

  26. Hjermstad M, Loge JH, Kaasa S. Methods for assessment of cognitive failure and delirium in palliative care patient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Palliat Med 2004;18:494-506. 

  27. Breitbart W, Tremblay A, Gibson C. An open trial of olanzapine for the treat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Psychosomatics 2002;43:175-82. 

  28. Kishi Y, Kato M, Okuyama T, Thurber S. Treatment of delirium with risperidone in cancer patients. Psychiatry Clin Neurosci 2012;66:411-7. 

  29. Prommer E. Role of haloperidol in palliative medicine: an update. Am J Hosp Palliat Care 2012;29:295-301. 

  30. Hui D, Bush SH, Gallo LE, Palmer JL, Yennurajalingam S, Bruera E. Neuroleptic dose in the management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10;39:186-96. 

  31. Hilliard N, Brown S, Mitchinson S. A case report of dexmedetomidine used to treat intractable pain and delirium in a tertiary palliative care unit. Palliat Med 2015;29:278-81. 

  32. Daud ML. Drug management of terminal symptoms in advanced cancer patients. Curr Opin Support Palliat Care 2007;1:202-6. 

  33. Tanimukai H, Tsujimoto H, Matsuda Y, Tokoro A, Kanemura S, Watanabe M, et al.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for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A Preliminary Study. Am J Hosp Palliat Care 2016;33:456-62. 

  34. Shin SH, Hui D, Chisholm G, Kang JH, Allo J, Williams J, et al. Frequency and Outcome of Neuroleptic Rotation in the Management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Cancer Res Treat 2015;47:399-405. 

  35. Maldonado JR. Pathoetiological model of delirium: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eurobiology of delirium and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prevention and treatment. Crit Care Clin 2008;24:789-856. 

  36. Siddiqi N, Stockdale R, Britton AM, Holmes J.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delirium in hospitalised patie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18:CD005563. 

  37. Siddiqi N, Harrison JK, Clegg A, Teale EA, Young J, Taylor J, et 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delirium in hospitalised non-ICU patie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6;3:CD005563. 

  38. Guo Y, Sun L, Li L, Jia P, Zhang J, Jiang H, et al. Impact of multicomponent,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on perioperative cortisol and melatonin levels and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oral cancer patients. Arch Gerontol Geriatr 2016;62:112-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