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 환자의 존엄요법 개념분석
Dignity Therapy for End-stage Patients: Concep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3, 2016년, pp.211 - 221  

정복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오은희 (경북대학교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 환자에게 이루어지는 존엄요법의 의미와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말기 환자 간호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방법: 개념의 모든 사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4년 8월에서 2014년 12월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net),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kiss.kstudy.com), 디비피아(http://www.dbpia.co.kr)에서 '존엄', '존엄요법'을 검색어로 국내문헌을 검색하였고, 국외 문헌의 경우 PubMed와 National Digital Science Links (NDSL)에서 'dignity', 'dignity therapy'를 검색어로 문헌을 검색하였다. 총 51개의 문헌을 Walker와 Avant(2005)의 개념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존엄요법의 선행요인은 말기 환자, 다양한 고통과 괴로움, 존엄한 죽음에 대한 바램이었다. 속성으로는 삶과 죽음의 질 향상, 치료적 대화, 인간의 존엄과 가치존중,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 표현, 체계적 과정으로 나타났고, 결과는 자신의 삶에 대한 반추 기회, 고통과 괴로움 감소, 가치와 존엄감 상승, 자신의 삶에 대한 가족과의 공유, 삶과 죽음의 질 향상, 환자와 가족에게 편안함 제공으로 나타났다. 결론: 존엄요법은 삶의 마지막을 경험하는 환자들이 좀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호스피스환자 간호 시 그들의 삶과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존엄요법의 속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ignity therapy is a very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dignity of end-stage patients. A concept analysis by Walker and Avant (2005) was adopted to define, describe, and delimitate the concept of dignity therapy. Methods: Nursing literature in the National Digital Science Links (N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지금까지 호스피스 대상자에게 이루어지는 존엄요법은 주로 서구에서 일부 이루어져 그 효과가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거의 연구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존엄요법의 의미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아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임종기 환자를 위한 존엄 간호에 제한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생의 마지막 순간을 직면하고 있는 임종기 환자의 존엄한 죽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존엄요법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제시함으로 존엄요법 연구의 활성화와 이를 기초로 한 존엄요법 이론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존엄요법의 특징은? 존엄요법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호스피스 대상자 및 그 가족의 돌봄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존엄요법에 대한 연구나 임상실무에서의 적용은 초보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Chochinov(1)는 치료의 새로운 모델로 존엄-보존치료를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 존엄치료 모델과 존엄치료를 위한 질문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여러 실증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임종 단계의 환자는 어떤 고통을 겪는가? 모든 인간은 인간이기 때문에 그 이유 하나만으로 존엄하며 언제 어디서든 인간의 존엄은 유지되고 보호받아야 한다. 임종 단계의 환자는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질병 및 여러 이유로 심리, 사회, 정서, 영적인 고통을 겪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존엄이 위협받을 수 있다.
독일에서 생각하는 존엄요법이란? 이상과 같이 존엄요법이 생의 말기에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존엄요법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입증한 연구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존엄에 대한 정의는 너무 광범위하고, 주관적-정서적이거나 심미적이거나 종교적이거나-이며, 정의 자체도 내적으로 모순을 가지고 있어(6), 현재 다양한 정의들이 합의되지 못한 상태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독일에서의 인간의 존엄과 생명권의 관계에 대한 Jeong(7)의 연구에서 존엄을 논의할 때의 문제는 인간 존엄의 구체적인 내용이 아직도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학자들 간에 견해의 일치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생명윤리에서 인간 존엄 ‘개념’의 총체성 연구에서 Ko(8)도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인간 존엄 개념은 그 의미론적 다의성 때문에 정확한 분석이 불가능하며, 인간 존엄 개념이 분석된다고 할지라도, 이 분석된 인간 존엄 개념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어렵기 때문이라 언급하여 존엄요법 또한 명확히 규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chinov HM. Dignity-conserving care--a new model for palliative care: helping the patient feel valued. JAMA 2002;287:2253-60. 

  2. Chochinov HM, Hack T, Hassard T, Kristjanson LJ, McClement S, Harlos M. Dignity therapy: a novel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atients near the end of life. J Clin Oncol 2005;23:5520-5. 

  3. Hall S, Chochinov H, Harding R, Murray S, Richardson, A, Higginson IJ. A Phase II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ssessing the feasibility, acceptability and potential effectiveness of Dignity Therapy for older people in care homes: study protocol. BMC Geriatric [Internet] 2009; 9: 9 [cited 2014 Dec 1]. Available from: http://www.biomedcentral.com/1471-2318/9/9. 

  4. McClement S, Chochinov HM, Hack T, Hassard T, Kristjanson LJ, Harlos M. Dignity therapy: family member perspectives. J Palliat Med 2007;10:1076-82. 

  5. Montross LP, Meier EA, De Cervantes-Monteith K, Vashistha V, Irwin SA. Hospice staff perspectives on Dignity Therapy. J Palliat Med 2013;16:1118-20. 

  6. Jacobson N. Dignity and health: a review. Soc Sci Med 2007;64:292-302. 

  7. Jeong MS. Verhaltnis zwischen der menschenwurde und dem lebensgrundrecht in Deutschland. Public Law 2006;7:265-94. 

  8. Ko BJ. Totalitat des menschenwurdebegriffs bei der bioethik. Korean J Legal Philosophy 2008;11:85-100. 

  9. Chochinov HM, Hassard T, McClement S, Hack T, Kristjanson LJ, Harlos M, et al. The patient dignity inventory: a novel way of measuring dignity-related distress in palliative care. J Pain Symptom Manage 2008;36:559-71. 

  10. Walker LO, Avant KC.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Pearson Prentice Hall;2005. 

  11. Jung JH. The practical proposals on the respect of human dignity in Korea. Inter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Research 2002;4:189-239. 

  12. Kim MS. A study on the dignity and value of a human being - focus on the right to life and passive euthanasia.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2009;15:87-150. 

  13. Pyo MH. The national protection of human dignity and its task. Public Land Law Review 2011;54:479-99. 

  14. Chochinov HM. Dying, dignity, and new horizons in palliative end-of-life care. CA Cancer J Clin 2006;56:84-103. 

  15. Chochinov HM. Dignity and the essence of medicine: the A, B, C, and D of dignity conserving care. BMJ 2007;335:184-7. 

  16. Chochinov HM, Cann B, Cullihall K, Kristjanson L, Harlos M, McClement SE, et al. Dignity Therapy: a feasibility study of elders in long-term care. Palliat Support Care 2012;10:3-15. 

  17. Chochinov HM, Kristjanson LJ, Breitbart W, McClement S, Hack TF, Hassard T, et al. Effect of Dignity Therapy on distress and end-of-life experience in terminally ill patient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Oncol 2011;12:753-62. 

  18. Akechi T, Akazawa T, Komori Y, Morita T, Otani H, Shinjo T, et al. Dignity Therapy: Preliminary cross-cultural findings regarding implementation among Japanese advanced cancer patients. Palliat Med 2012;26:768-9. 

  19. Ferrell B. Dignity Therapy: advancing the science of spiritual care in terminal illness. J Clin Oncol 2005;23:5427-8. 

  20. Fromer MJ. 'Dignity Therapy' innovators aiming to make dying a more positive, fulfilling experience. Oncol Times 2005;27(20):11-2. 

  21. Hall S, Goddard C, Opio D, Speck P, Higginson IJ. Feasibility, acceptability and potential effectiveness of Dignity Therapy for older people in care homes: a phase II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brief palliative care psychotherapy. Palliat Med 2012;26:703-12. 

  22. Andrew R. Barnosky DO. Dignity Therapy: final words for final days. JAMA 2012;307:2550. 

  23. Passik SD, Kirsh KL, Leibee S, Kaplan LS, Love C, Napier E, et al. A feasibility study of dignity psychotherapy delivered via telemedicine. Palliat Support Care 2004;2:149-55. 

  24. Beach MC, Sugarman J, Johnson RL, Arbelaez JJ, Duggan PS, Cooper LA. Do patients treated with dignity report higher satisfaction, adherence, and receipt of preventive care? Ann Family Med 2005;3:331-8. 

  25. Houmann LJ, Rydahl-Hansen S, Chochinov HM, Kristjanson LJ, Groenvold M. Testing the feasibility of the dignity therapy interview: adaptation for Danish culture. BMC Palliat Care [Internet]. 2010;9:21. Available from: http://www.biomedcentral.com/1472-684X/9/21. 

  26. Huggard P. Dignity conserving care and Dignity Therapy. NZFP 2008;35:197-9. 

  27. Baziuk L. Dignity therapy helps dying find peace: study. Postmedia. 2011. Jul. 

  28. Hack TF, McClement SE, Chochinov HM, Cann BJ, Hassard TH, Kristjanson LJ, et al. Learning from dying patients during their final days: life reflections gleaned from dignity therapy. Palliat Med 2010;24:715-23. 

  29. Montross L, Winter KD, Irwin SA. Dignity therapy implementation in a community-based hospice setting. J Palliat Med 2011;14:729-34. 

  30. Ferrell B, Virani R, Grant M, Coyne P, Uman G. Dignity in dying. Nurs Manage 2000;31:52-7. 

  31. Beckstrand RL, Callister LC, Kirchhoff KT. Providing a "good death": critical care nurses' suggestions for improving end-of-life care. Am J Crit Care 2006;15:38-45. 

  32. Lee KJ, Hwang KH, Ra JR, Hong JA, Park CS. Concept analysis of good death. J Res Inst Hosp Palliat Care 2006;10:2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