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Audio-visual Aids of Death Education for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3, 2016년, pp.240 - 248  

서미숙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강유정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윤지윤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김태연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조혜준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박소연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이시연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장지혜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김유진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  강믿음 (아주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완화의료병동)

초록

목적: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목적은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줄이고 삶과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편안한 임종을 맞이하는 것은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환자와 보호자는 남은 삶 동안 임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임종과정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요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매뉴얼화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시청각 자료 개발을 위해서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접근하기 쉬운 파워포인트 유인물로 초기 교육자료 개발하였고 다섯 차례에 걸친 전문의의 자문과 수정 및 보완, 평가 과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시청각 교육자료는 3차시 5단계로 분류하였으며 교육 소요시간은 총 26분 34초이다. 최종 교육프로그램은 시청각 교육실 협력 하에 촬영하였으며 시청각 자료를 완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완화의료병동의 구축과 전문성 증대를 위해 개발된 매뉴얼화 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로써 큰 의의가 있으며,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뿐 아니라 호스피스 영역 전문 종사자들이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임종교육 자료로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atients and their caretakers need to understand various problems and requirements in the dying process so that they may prepare for death for the rest of their remaining life. Accordingly, a systematic audio-visual resource was developed to educate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t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의 임종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매뉴얼화 된 시청각 자료 개발을 목적으로 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를 받는 환자 및 보호자의 임종이라는 삶의 큰 위기 경험에서 죽음에 대한 인식을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남은 여생의 삶의 질을 높이며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호스피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임종교육을 자료 개발을 위해 시행한 연구이다. 선행 연구를 통한 문헌고찰과 국내 완화 돌봄팀 연구, 문헌고찰, 국내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직무 기술서, 실습교육지침서, 호스피스 간호 관련 교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개론,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연구개발 결과 보고서, 완화의료 관련 학술대회 자료집의 내용을 참고하여 호스피스 환자특성에 맞는 교육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의 임종 교육을 위한 매뉴얼화 된 시청각 교육자료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 선행 연구를 통한 문헌고찰과 국내 완화 돌봄팀 연구, 문헌고찰, 국내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직무 기술서, 실습교육지침서, 호스피스 간호 관련 교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개론,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연구개발 결과 보고서, 완화의료 관련 학술대회 자료집의 내용을 참고하여 호스피스 환자특성에 맞는 교육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각 차시별 학습내용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청각 자료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를 각색하였다. 호스피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임종 교육이지만 교육의 주체가 간호사로서 호스피스 간호사가 시행하는 교육이므로 간호사의 반복 교육을 통한 임종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도 내포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자료의 인식과, 제도화 구축에 따라 완화의료병동에서 개발한 임종교육 구두자료를 환자와 보호자의 교육 요구도에 따라 체계적이고 매뉴얼화 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청각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임종환자를 간호하면서 경험하는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의 효율적인 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목적: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목적은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줄이고 삶과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편안한 임종을 맞이하는 것은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역할을 한다.
과중한 업무를 줄이기 위해, 임종간호 업무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고 기관차원의 교육자료 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죽음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연구 (6,31,35)에서 죽음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임종간호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임종을 맞게 되는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죽음이라는 위기상황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긍정적인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20,43)하였으며,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는 사전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 이수 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변수이다. 따라서 과중한 업무를 줄이기 위해 임종 간호를 좀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임종간호 업무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고 기관차원의 교육자료 개발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12,17,43,44).
호스피스란 무엇인가? 호스피스는 ‘치유 불가능한 말기 환자에게 가능한 편안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돌보는 것’(18,19) 으로 인위적으로 삶을 단축시키거나 연장시키지 않고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받아들임으로써 환자와 가족이 가능한 남은 삶을 충만하게 살 수 있도록 도우며, 통증을 비롯한 여러 증상 관리과정에서 환자의 가족이 함께 참여하도록 격려하여 인간 생명 존중과 마지막 순간까지 존중 받으며 죽음을 맞이하도록 돌보는 것이다 (20).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문제는 한가지 문제만 발생 하는 것이 아니고 죽음을 앞둔 가족을 곁에서 지켜보는 부담감으로 긴장과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피로, 슬픔, 우울, 불안, 두려움 등의 전인적인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17,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and statistics in Korea. Goyang:National Cancer Center,2013. 

  2. Woo YW, Kim KH, Kim K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33-41. 

  3. Hong YS, Yeom CH, Lee KS. Past, present of hospic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0;3:113-7. 

  4. Kang KA. Development and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Korean J Hosp Palliative Care 2011;14:204-11. 

  5. Korean Catholic Hospice Association. Understanding of hospice. Seoul:Hyunmoon;2005. 

  6. Yoon MO. Effect of hospice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knowledge of hospice and attitude toward death of university students. Shinang-gwa-hakmun 2014;19:89-109. 

  7. Choi GH.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perception of spiritual needs of patients an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among nurses. J Korean Data Analys Soc 2014;16:2245-59. 

  8. Noh SS. A study on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 2010. Korean. 

  9. Hong EM, Jun MD, Park ES, Ryu EJ.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 Nurs 2013;13:265-72. 

  10. Kim. JA, Kim KH, Kang HS, Kim JS. Nursing need and satisfaction of patient in hospice ward.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4;17:248-58. 

  11. Seo MJ, Kim JY, Kim S, Lee TW.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focus on nurses at ED, ICU, and oncology departm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108-17. 

  12. Nam KH, Lee JH, Cho EH, Kim CO. Factors related to emergency department healthcare providers’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6;19:11-25. 

  13. Kim SN, Kim HJ, Choi SO. Effect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 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454-63. 

  14. National Cancer Center,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ancer facts & figures 2011. Goyang:National Cancer Center,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1. 

  15. Cho YJ.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Korean. 

  16. Ji SI, You HS.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Korean J Hosp Palliative Care 2014;17:232-40. 

  17. Kang KA, Kim HS, Kwon SH, Nam MJ, Bang KS, Yu SJ, et al.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of Korea. Korean J Hosp Palliative Care 2014;17:289-300. 

  18. WHO Expert Committee on Cancer Pain Relief and active Supportive Care. Cancer pain relief and palliative care. Geneve: World Health Organization;1990. (The series in WHO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804). 

  19. Park JS, Yoo YS, Park HJ, Choi DW, Choi SO, Kim SE, et al.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hospice smart patient service provider. J Korean Oncol Nurs 2009;9:43-51. 

  20. Kim HJ, Koo JI, Byun JH, Kim SM, Choi HS. Nurse’s experience of changing role in the hospice unit of medical ward.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8;11:30-41. 

  21. Kim JH, Lee HK.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Korean J Hosp Palliative Care 2012;15:205-11. 

  22. Lee TY. Effect of supportiv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 families [master's thesis]. Deagu: Keimyung Univ.; 2013. Korean. 

  23. Detering KM, Hancock AD, Reade MC, Silvester W. The impact of advance care planning on end of life care in elderly patient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10;340:c1345. 

  24. Kim MS, Lee CS, Kim HC. The effects of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on perceptions about hospice and the meaning of life. J Korean Oncol Nurs 2007;7:131-9. 

  25. Kim SH, Choi YS, Shin SW, Chong MK, Lee SN, Lee SW, et al.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hysicians based on the 2004 hospice palliative model project for terminal cancer.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6;9:67-76. 

  26. Park HK, Byun SO, Jeong JU. A study on effects of death education services on attitudes of the elderly toward death. J Welfare Aged 2010;48:323-44. 

  27. Hu YJ. Development of a protocol for advanced nursing practice in consultation-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 2014. Korean. 

  28. Jung MJ, Kim DH. Development of web-based information program for patients undergoing stem cell transplantation. Global Health Nurs 2013;3:7-17. 

  29. Lee WH, Oh EG, Kim CJ, Kang KS, Kang SW. Development of cyber counseling program for hospi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209-15. 

  30. Kwak SY. Role adaptation process of hospice nurses: becoming supporters for peaceful death [master's thesis]. Deagu: Keimyung Univ.; 2014. Korean. 

  31. Shin EJ. Influence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meaning in life, death anxiety and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J Orient Neuropsychiatr 2011;22:65-74. 

  32. Jeon SY, Ha JY. Factors influencing compassion fatigu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 Korean Data Analys Soc 2013;15:335-47. 

  33. Tae YS, Choi GH, Jung YK, Kwon SH. Spiritual health and fatigue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ccording to treatment phases. J Korean Acad Soc Adult Nurs 2012;24:659-67. 

  34. Kang KA, Kim SJ, Song MK. Development of a CD program applied logotherapy for psycho.spiritual care of late adolescents with terminal cancer. Korean J Hosp Palliative Care 2009;12:61-71. 

  35. Seo MS.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education information needs of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03. Korean. 

  36. Shin HJ.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 2003. Korean. 

  37. Hong JY. Study NOR effective training in high school classes : focusing on the audiovisual education materials, including multimedia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 2006. Korean. 

  38. Kang KA, Kim SJ, Song MK. CD program development applied logotherapy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older school-age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Korean J Hosp Palliative Care 2008;11:82-90. 

  39. Jun MS. Perceptions toward death among the Christia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 Wellness 2015;10:275-86. 

  40. Jung SY, Lee HJ, Lee SH. Characteristics of end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s towards advance directives among geriatric patients. J East-West Nurs Res 2014;20:103-11. 

  41. Chung SY.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CU nurs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13. Korean. 

  42. Yoon YA.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end of life care stress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Univ.; 2010. Korean. 

  43. Yi M.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03;33:553-61. 

  44. Yi MJ, Lee JS. Concept analysis of nurses’ acceptance of patient death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6;19:34-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