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M벼에 영향을 받는 비표적 생물체(곤충)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 (ERA) 방법
The Methodology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of Non-target Organisms (Insects) on LM Ric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4, 2016년, pp.712 - 723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김현정 (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나수미 (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생명공학기술을 통해 생산된 LM벼에 대한 비표적 생물체 중 곤충을 중심으로 한 환경위해성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작성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해 농업 해충관련 도감 및 서적을 활용하였고 참고문헌과 환경위해성 평가 관련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으며, 논문이나 벼와 관련된 서적들을 통해 국내 현황을 참조하였다. 조사결과, 벼에 서식하는 곤충은 약 140여종으로 조사되었고, 초식성 곤충 분류군은 각각 수액섭식자, 곡물섭식자, 잎섭식자, 화분섭식자로 세분화하였다. LM벼에 피해가능성이 큰 비표적 곤충은 12종, 중간인 비표적 곤충은 28종, 경미한 비표적 곤충은 101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은 11종, 잠재적 해충으로 분류되는 종은 9종으로 나타났다. 위해가설 가설적립단계 모식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LM벼에 악영향을 받기 쉬운 곤충의 지리적 분포, 서식지의 특수화, 확산정도, 종풍부도 등을 이용하여 순위를 매겼으며, 10종(벼총채벌레, 애멸구, 벼멸구, 멸강나방, 혹명나방, 우리가시허리노린재, 먹노린재, 벼멸구붙이, 벼메뚜기, 벼잎굴파리)을 추려내었다. 이후 위해가설 가설정립단계 모식도를 작성하였으며 LM벼의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을 추론하였다. 본 논문은 국내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존에 기여하고,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 심사를 통해 사전위해성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국민의 건강 및 생물다양성유지, 자연 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후 안전관리 체계구축에 활용될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s about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ERA) based on non-target insect species for LM rice crop produced by biotechnology. We used some data by the picture dictionary of agricultural pests in Korea, some books for ERA or rice pest ecology, articles about ric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LMO가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연구의 중요한 요소인 비표적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LMO 식물 중 국내에서 개발 중인 LM벼에 영향 가능성이 있는 비표적 생물체(곤충 중심)를 구분하였고, LM벼로 인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LM벼에 서식하는 초식자, 포식자, 기생포식자 등의 직접적 영향이나, 간접적 영향을 받을 곤충 분류군들에 대한 선별방법, 위해 가설 등을 제시하여 환경위해성 평가기법을 구축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LMO의 국내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존에 기여하고자 하며,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통해 국민들이 LMO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전위해성을 진단 및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 따라서 본 논문은 LMO의 국내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존에 기여하고자 하며,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통해 국민들이 LMO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전위해성을 진단 및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결과적으로 국민의 건강 및 생물다양성유지, 자연 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후 안전 관리 체계구축에 활용될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국내외 자료를 참고하여, 환경위해성 평가의 세부항목 선정 등에 대한 기준과 국내 ‧ 외 생물다양성 관련 환경 위해성 평가 자료의 조사 및 제출, LM벼의 위해가능성이 있는 비표적 생물체의 분류군과 생태적 기능군 조사, 비표적 생물체를 생태학적인 원리와 LM벼에 대한 노출가능성에 따른 위해등급별 목록 작성, 비표적 생물체 중 환경부 지정 보호종, 멸종 위기종 등에 대한 피해 가능성 여부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미국정부의 LMO심사기준에 대한 자문과 관련정보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기존에 평가연구를 수행하였던 미네소타 대학의 앤도우(Dr. Davis Andow) 교수 및 산업계의 과학자들을 만나 자문을 구하였다. EFA의 관계자를 통해 구체적인 평가 및 심사항목에 대한 의견 및 자문을 구하였고, CABI Publishing에서 발행한 환경위해성 분석자료를 이용 하였다(Andow et al.
  • LMO 식물 중 국내에서 개발 중인 LM벼에 영향 가능성이 있는 비표적 생물체(곤충 중심)를 구분하였고, LM벼로 인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LM벼에 서식하는 초식자, 포식자, 기생포식자 등의 직접적 영향이나, 간접적 영향을 받을 곤충 분류군들에 대한 선별방법, 위해 가설 등을 제시하여 환경위해성 평가기법을 구축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LMO의 국내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존에 기여하고자 하며,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통해 국민들이 LMO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전위해성을 진단 및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결과적으로 국민의 건강 및 생물다양성유지, 자연 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후 안전 관리 체계구축에 활용될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LMO가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연구의 중요한 요소인 비표적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LMO 식물 중 국내에서 개발 중인 LM벼에 영향 가능성이 있는 비표적 생물체(곤충 중심)를 구분하였고, LM벼로 인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LM벼에 서식하는 초식자, 포식자, 기생포식자 등의 직접적 영향이나, 간접적 영향을 받을 곤충 분류군들에 대한 선별방법, 위해 가설 등을 제시하여 환경위해성 평가기법을 구축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논문은 비표적 곤충과 천적 곤충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LM벼가 자연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프로토콜을 확립, 제공함으로서 추후 국내에서 새로 개발되는 LM작물이나 추가 수입되는 LM작물 또는 곡물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통한 과학적이고 투명한 자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결과가 LMO의 수입 및 개발과정에 수반되는 각종 규제와 행정절차에 대한 안전관리 관련 규제 지침의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생명공학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여, 국내자연환경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선별된 종으로 LM벼의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을 추론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초식자뿐만 아니라 포식자와 포식기생자가 받는 영향도 같이 고려하였다. 이때 포식자와 포식기생자는 부록 1의 결과를 참조하여 선별하였다(Figur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LMO 농산물 수입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25% 정도로서, 외국농산물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다(Moon and Kim, 2009). 국내 LMO 농산물 수입은 주로 가공식품 및 사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루어지며 식용, 사료용 LMO는 약 849만 톤이 수입되며, 가공식품용은 옥수수가 100만 톤, 콩은 92만 톤이 수입되고 있다(National Science& Technology Council. 2013).
우리나라 농업생명공학에 관한 3대 기본목표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농업생명공학에 관한 3대 기본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추진 중에 있다. 3대 기본 목표라 함은 첫째, 2022년까지 세계 4위권의 농업생명공학 기술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것이고 둘째, 지식 기반 형 고부가 농산업 구조로 전환을 추진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첨단 농축산업 주도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 및 고용창출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 목표 아래 연구·개발단계에 있는 LMO품목은 많으나 아직 상품화에 이른 품목은 없다(National Science& Technology Council.
벼를 섭식하는 초식자 중 수액 섭식자로서 LM벼에 노출 시 가장 피해가능성이 큰 비표적 곤충은 무엇이 있는가? 벼를 섭식하는 초식자 중 벼의 잎이나 줄기의 수액을 흡 즙하는 수액 섭식자로서 LM벼에 노출 시 가장 피해가능성이 큰 비표적 곤충은 매미목의 애멸구, 벼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이 있다. 이들 중 벼멸구를 제외한 나머지 3종은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매개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dow, D.A., Hilbeck, A. and N.V. Tuat.(2008)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Volume 4. Oxford Univ Pr, Oxfordshire, 432pp. 

  2. Baek, W.H.(2004) reported insect pests. Hongmunsa, Seoul, 476pp. (in Korean) 

  3. Choi, S.H.(2008) Legal Issues in International Liability and Redress Rules regarding Living Modified Organisms (LMO). Seoul International Law Academy. 15(1): 171-1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n, S.M., Lee, J.J., Won, O.J., Eom, O.J., K.W. Park(2015)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Zea mays L.) at a Grain Receiving Port and along Transportation Routes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7(3): 321-3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ilbeck, A., Andow, D.A. and E.M.G. Fontes.(2007)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Volume 2. Oxford Univ. Pr, Oxfordshire, 373pp. 

  6. Hoffman, D.J. and B.A. Rattner.(2002) Handbook of ecotoxicology Second Edition.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312pp. 

  7. James, C.(2006)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in 2006. The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 Ithaca, NY, 83pp. 

  8. Jepson, P.C., Croft, B.A. and G.E. Pratt(1994) Test systems to determine the ecological risks posed by toxin release from Bacillus thuringiensis genes in crop plants. Molecular Ecology 3(1): 81-89. 

  9. Kim, E.J. and D.K. Choi(2006) Need for Reinforcement of Safety Assessment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14(2): 139-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2007) 2007 Biosafety white pap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Seoul, 435pp. (in Korean) 

  11. Lee, H.S., Kim, H.D., Kim, Y.U., Park, E.W., Park, U.H., Seong, R.C., Lee, S.H., Lee, Y.I., Lee, Y.H., Zo, U.G., Jean Y.M., Han, S.C. and E.H. Hong(1994) Physiology and Genetics of Bean Cultivation. Seoul University Publisher, Seoul, 522pp. (in Korean) 

  12. Lee, Y.T., Kim, J.G., Ha, S.H., Jo, H.S. and S.C. Seo(2010) Analyses of Nutrient Composition in Genetically Modified ${\beta}$ -Carotene Biofortified Rice. the transactions of food and nutrition technology. 39(1): 105-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inistry of Enviroment(2010) Final report of Living modified organisms and its natural ecosystem assessment. Ministry of Enviroment, Gwachon, 304pp. (in Korean) 

  14. Moon, J.H., Moon, J.M., Lee, Y.H. and J.J. Lee(2013) Influence of Transgenic Rice Plant Transformed with Silbene Synthase Gene on Insect Fauna and Biosafety Evaluation on Biological Indicator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4(1): 1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oon, T.H. and B.S. Kim(2009) Korea's Limit to Growth from Circular Causation Perspective: Focusing on Crisis Factors, Population, Economy, Resources, Environment, and Food.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10(3): 47-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ouncil(2013) The third agricultural biotechnology development and long-term basic plan(2013-2022).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ouncil, Seoul, 88pp. (In Korean) 

  17. Romeis, J., Meissle, M. and F. Bigler(2006) Transgenic crops expressing Bacillus thuringiensis toxins and biological control. Nature biotechnology 24(1): 63-71. 

  18. Rural Development Adminisrtation(2011) Problem formulation and options assessment handbook. Rural Development Adminisrtation, Seoul, 192pp. (In Korea) 

  19. Shim, Y.J.(2013) A Review on the Transboundary Movement, Etc. of Living Modified Organizms Act - Centering on the Point of View of the Criminal Law -. Biomedical and law. 9: 121-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Wolfenbarger, L.L. and P.R. Phifer(2000) The ecological risks and benefits of genetically engineered plants. Science 290 5499 (2000): 2088-2093. 

  21. Yoon, S.C.(2010) Die Studie zur Haftungsfrage nach den Schadensereignisse durch gentechnisch veranderten Produkten. The Korean Property Law. 26(3): 87-115. (in Korean with German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