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Study on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and Usage of SMART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0 no.2, 2016년, pp.139 - 150  

서순식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고유하 (원주공업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디바이스의 기술적 발전은 학교 교육체제의 변화를 이끄는 동인이다. 스마트교육이 학교 내 안착하려면 최종 수용자 집단인 다수 일반교사들이 스마트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들의 실제 활용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스마트교육의 특성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도출한 후, 학교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의 활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양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일반교사가 체감하는 스마트교육의 실태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스마트교육 속성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8명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심층면담 등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고, 스마트교육에 대한 그들의 1차 핵심 개념 72개를 선정하였다. 그 후 연구자간 논의를 거쳐 16개의 최종 개념, 6개의 하위 범주, 3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16개 개념을 토대로 일반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속성에 대한 중요도-실행도를 분석(IPA)하였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중요성 인식과 활용 수준에 대한 도출 결과를 토대로 진일보한 스마트교육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has become a key influence on the changes of the school system. As Smart education is integrated and institutionalized in school systems, how it is perceived and utilized by teachers should be investigated.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he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마트교육의 교수학습 특징은 스마트 기기의 특성과 새로운 교실의 물리적 환경에 따른 교수학습 경험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론가에 의해 제안되고 있다. 그렇다면 교육실천가인 일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인식함에 있어서, 이론가들의 견해와 비교할 때,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는 새로운 교육혁신의 수용에 있어서 선도 교사가 우선적으로 스마트교육을 접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스마트교육에 대한 선도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를 그대로 일반교사의 견해로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으로 시작되었다. 8명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진솔한 속내를 경청하고자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그로부터 총 16개의 개념, 6개의 하위 범주, 3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 이 연구는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스마트교육의 특성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토대로 도출한 후, 실제 학교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의 활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양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일반교사가 체감하는 스마트교육의 실태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스마트교육의 교수학습 특성을 분석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스마트교육의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풍부한 학습자원의 활용,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적 환경, 교육경험 측면에서는 풍부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실제적 맥락과 경험제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13]. 이를 구현하려면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이 지원되는 수업환경에서 교수학습의 목표를 설정한 뒤, 스마트 단말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용 앱(App)과 디지털교과서 등 풍부한 학습자원을 활용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 간 면대면 상호작용을 온라인상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결하여 학습자의 참여적 학습을 촉진하는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 평가, 분석하는 과정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할 필요가 있다[6].
스마트교육의 교수학습 특징은 무엇을 기반으로 제안되고 있는가? 스마트교육의 교수학습 특징은 스마트 기기의 특성과 새로운 교실의 물리적 환경에 따른 교수학습 경험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론가에 의해 제안되고 있다. 그렇다면 교육실천가인 일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인식함에 있어서, 이론가들의 견해와 비교할 때,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스마트교육을 무엇이라 명명하였나? 스마트디바이스의 기술적 발전이 교육마당에 접목되면서 학교 교육체제의 변화를 시도하는 동인이 되었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는 스마트교육을 21세기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한 지능형 맞춤 학습 체제로 정의하고,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 등 교육체제를 혁신하는 동력이라 명명한 바 있다[10]. 이는 스마트 기기를 기존 교수학습방식에 접목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는 점진적 변화(incremental change)의 수준을 넘어서서 교수학습에 대한 우리의 인식 체계의 대전환을 도모하는 총체적인 변화(systemic change)까지 모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eon, I., & Bae, I. (2001). An Exploratory Model to Explain the Chasm on Internet Shopping Adoption.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16(4), 47-70. 

  2. Jeon, S. J., & Han, S. G. (2012). The Study on Recognition and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Newest IT.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1), 1-10. 

  3. J. W. Creswell (2013).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ition. 

  4. Jung, M. S., & Lee, D. S. (2014).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Leader Teachers in Smart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2(3), 85-104. 

  5. Kang, I. A., Lim, B. R., & Park, J. Y. (2012). Explor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of Smart Learning: Using cases of university classrooms. Educational Method, 24(2), 283-303. 

  6. Kwon, S. H., Lee, J., Han, S. Y., Koo, Y. M., Han, I. S,. Bhang, S. H., & Park, S. A. (2014). Teachers perception on smart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Educational Method, 26(1), 65-89. 

  7. Leem, B. N., Leem, J. H., & Sung, E. M. (2013). What is the Concept of Smart Eduction and the Typology of Smart Education Cont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3), 459-489. 

  8. Leem, J. H. (2011). Mobile based learning: concept and applicability to higher education.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Information & Media Conference 2011. Seoul: Hanyang Cyber University. 

  9. Leem, J. H., & Sung, E. M. (2015).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ption on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s and Educational Possibility of Smart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1(1), 137-163. 

  10. MEST (2011). Road to powerful na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on strategies of smart education. 

  11. No, G. S., Ju, S. H., & Jung, J. T.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2), 79-88. 

  12. Park, S. H., Leem, K., & Lee, J. Y. (2013). Analyses on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Job Responsibility Between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and Regular Teachers Using the IPA Technique(2013).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2), 201-227. 

  13. Park, S. Y., Kim, J. H., & Leem, K. (2012). Effects of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Understandings on Attitudes towards "Smart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5), 43-53. 

  14. Seol, M. G., & Son, C. I. (2012).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State of Using Smart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3), 309-318. 

  15. Son, S. H. (2014). Qualitative Exploration of SNS-Based Teacher Communities: The Case study of a Facebook group of the central leading teachers of smart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2), 181-201. 

  16. Song, Y. O. (2012).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eachers' Digital Textbook Experience: Overcoming the Crisis of Innov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7.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8. Suh, S., & Yun, H. (2011). A study on the digital textbook acceptance by application of Chasm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4), 3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