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상시스템의 발전 전망 및 방향
Prospect and Direction on Korean Ground System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4 no.8, 2016년, pp.718 - 727  

정대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지상시스템은 위성 관제와 탑재체자료 처리를 위해서 199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과학위성, 저궤도위성정지궤도 지상시스템의 초기 개발 시에는 국제기술협력 등이 필요하였으나, 초기 기술 확보 이후에는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총 14기의 지상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발전 전망 및 방향을 제시한다. 관제시스템은 재구성, 재사용,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다중위성 관제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처리시스템은 다양한 탑재체자료 처리 기술의 확보와 처리정확도 향상을 위한 검보정 기술의 접목이 필요하다. 또한, 탑재체 자료 양의 증가로 인한 고속처리 기술 확보와 처리된 탑재체자료를 사용자 간에 사용하고 통합하는 상호운영성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다양한 종류의 많은 위성을 운영할 수 있도록 국내외에 분포된 안테나 등 국가 지상시스템 인프라 망 구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ground systems have started to be developed for mission control and payload data processing since 1990s. International technology cooperations were needed in the early development phase of ground system for science experiment satellite, LEO satellite and GEO satellite and then they have b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다목적실용위성 3호 관제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다중위성 운영개념의 일부인 동시 운영 개념 등이 처음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는 다목적실용위성 2호 및 다목적실용위성 5호 등과 동시에 운영되도록 관제시스템 설계 및 개발을 진행하였고, 관제기반시설 부분도 동시 운영을 고려하여 확장 구축하였다. 예를 들어서, 안테나 서브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존 13미터 안테나를 업그레이드하였고, 별도로 개발된 7.

대상 데이터

  • 다목적실용위성 3호 관제시스템은 안테나 서브시스템, 위성운영 서브시스템, 임무계획 서브시스템, 비행역학 서브시스템, 위성 시뮬레이터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관제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관제기반시설은 관제실, 브리핑실, 고주파(RF)실, 장비실 등의 건물과 전력, 무정전전원공급장치, 공조기, 네트워크, 통신시설, 보안장비, 시각표시장치, 오디오 시설, 피뢰, 방화시설 등의 유틸리티와 빔 프로젝터, 운영 지원 소프트웨어, 퍼스널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었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 관제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다중위성 운영개념의 일부인 동시 운영 개념 등이 처음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지상시스템 개발은 언제 시작되었나? 우리나라 지상시스템은 위성 관제와 탑재체자료 처리를 위해서 199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과학위성, 저궤도위성 및 정지궤도 지상시스템의 초기 개발 시에는 국제기술협력 등이 필요하였으나, 초기 기술 확보 이후에는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국내 지상시스템 기술 개발 중 해외 기술의 협력이 필요했던 사례는 무엇인가? 과학위성 계열인 우리별위성 1호 지상시스템, 정지궤도위성 계열인 천리안위성 지상시스템 및 저궤도위성 계열인 다목적실용위성 1호 지상시스템의 국내 최초 개발에는 해외 기술 협력 등이 필요하였으나, 이후에 개발된 위성의 지상시스템은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되었다. 이것은 지상시스템 기술 개발에 핵심 요소인 국내 소프트웨어등 IT 기술과 안테나 등의 하드웨어 기술의 수준이 세계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에 있고, 지상시스템의 기술은 위성의 운영 등 안전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세계의 기술 장벽이 위성 개발과 비교해서 낮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우리나라의 첫 번째 실용급 지구관측 위성은 무엇인가? 인공위성 시스템의 독자 개발 능력을 키우고 인공위성 관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가 및 연구계 주도로 만들어진 다목적 실용위성 1호는 1999년 12월 21일 미국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토러스 로켓에 의해 발사됐다. 다목적실용위성 1호는 미국 TRW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주도로 국내 연구계/산업계가 참여하여서 만들어진 위성이다. 다목적실용위성 1호 지상시스템은 미국 TRW 사의 기술 지원을 받아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의해서 개발되어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지 내에 설치 운영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ung, D., "Ground System Operations and Direction on Next Generation Development," IEIE Journal, Vol. 37, No. 12, 2010, pp. 1297-1309. 

  2. Chung, D., "Ground System Development," KOMPSAT-3 White Paper, 2013, pp.133-139. 

  3. Chung, D. and Jung, O., "Conceptual Design of the Generic Mission Operations System," RCSGSO 2009 Conference, 2009. 

  4. Jung, O., Chung, D., Park, S., Hyun, D., and Chun, Y., "Advanced Concept and Design of the Multi-Satellite Operations System," SpaceOps 2010 Conference, 2010. 

  5. Lee, B., Kim, M., and Kang, C., "Prospect on Developm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Spacecraft Control, Image Receiving and Processing," IEIE Journal, Vol. 37, No. 12, 2010, pp.1310-1330. 

  6. "National Space Development Medium and Long Term Plan", National Commission on Space, 2013 

  7. Chung, D., "Integrated System Development for Domestic Spacecraft Operations and Needs of Operations," KSAS Magazine, Vol. 9, No. 1, 2015, pp.84-100. 

  8. Jung, O., Choi, S., Kim, H., Chung, D., and Ahn, S., "Analysis and Design of the Integration-Oriented Mission Operations System,"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Journal, Vol. 8, No. 2, 2009, pp.127-132. 

  9. http://www.egscc.esa.int/ 

  10. http://sci.esa.int/smart-1/ 

  11. http://agile.asdc.asi.it/ 

  12. http://sci.esa.int/integral/ 

  13. http://www.nrsc.gov.in/IRS_Data_Products 

  14. Park, A., Jang, H., and Jung, K., "Fast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using CUDA and OpenMP," KIISE Journal, Vol. 36, No. 4, 2009, pp.253-260. 

  15. Cheriyadat, A., Bright, E., Potere, D., and Bhaduri, B., "Mapping of Settlements in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High Performance Computing," GEO Journal, Vol. 69, No. 1-2, 2007, pp.119-129. 

  16. http://www.opengeospatial.org/ 

  17. http://www.eurosdr.net 

  18. http://www.geoportal.org/web/guest/geo_home_stp 

  19. Yu, K. and Chung, D., "Tracking and Orbit Determination of International Space Station using Rad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44, No. 5, 2016, pp. 447-4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