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행태 분석을 통한 병동부 체류 공간에 관한 건축계획 연구 - 근로복지공단병원 병동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Space for Stay in the Ward Based on the Analysis of User Behavior - Chronic Patient Ward in Korea Workers' Compensation Hospital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2 no.3, 2016년, pp.35 - 44  

손지혜 (Department of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  양내원 (Department of Architecture, Hanya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focus on investigation of user's spontaneous behavior in the public space of ward where chronic patients are hospitalized. Methods: The notion and necessity of social healing environment is analyzed by literature review. User's location and behaviour are investigated for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표시된 점들이 누적된 표이기 때문에 어떤 장소를 중심으로 이용자들이 체류하는지를 알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누적된점 들의 농도에 변화를 주어 체류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장소를 살펴보았다. 대부분 병원 사례에서 데이룸, 프로그램실, 발코니를 중심으로 농도가 진하게 나타났으나 안산병원 진폐병동의 경우 복도의 체류 농도가 진하게 나타났다(Figure 6).
  • 본 연구는 사회적 치유환경 개념이 반영된 공용공간 규모 설정 시, 건축계획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사회적 치유환경이 환자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병동부 공용공간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사고를 배경으로 진 행되었다. 이에 장기입원환자가 체류하고 있는 병동부의 공용 공간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행태 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 형성이 가능한 공용공간의 규모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장기입원환자가 체류하고 있는 병동부의 공용공간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자발적 행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 형성이 가능한 일상 공간의 특징을 분석 하고, 사회적 치유환경으로서 공용공간 규모에 관한 건축계획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장기입원환자가 체류하고 있는 병동부의 공용공간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자발적 행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 형성이 가능한 일상 공간의 특징을 분석 하고, 사회적 치유환경으로서 공용공간 규모에 관한 건축계획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공간 규모에 따른 이용자 체류 빈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서 규모 산정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체류 이용자의 빈도와 해당 공간 면적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 다. 앞서 농도지도를 통해 체류이용자의 빈도가 높은 공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적으로 병동부는 어떤 공간인가? 기능적으로 병동부는 환자들이 머물며 의학적 서비스를 제공받는 의료시설의 한 부문이다. 그러나 병동부는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공간이며 동시에 일상의 공간이다.
국내 의료시설 연구자 및 건축가들 어떠한 것들을 고려하여 병동부 설계에 반영하는가? 국내 의료시설 연구자 및 건축가들은 프라이버시 확보, 환자및 보호자 시설 확충 등 개인의 일상성 회복을 위한 병실 평면 들을 고안하여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일상의 사회적 관계 형성이 가능한 공용공간은 상대적으로 적게 고려되고 있다.
장기입원환자에게 일상생활이 가능한 병동의 환경은 더욱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단기입원환자보다 장기입원환자에게 일상생활이 가능한 병동의 환경은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다. 장기입원환자에게 병동 부는 주거공간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lan Dilani, 2005, Psychosocially Supportive Design-As a Theory and Model to Promote Health, WCDH, p.14. 

  2. Sara Hartman, 2016, Interstitial Space to Promote Social Health in Inter-generational Living Environments, http://sieplcoatesstudio.weebly.com/uploads/2/3/3/0/23301256/program_breif_sara_hartman_interstitial_space_121813.pdf, pp.25-27 

  3. A.S. Henderson, 1983, Interpreting the evidence on social support, Social Psychiatry, pp.49-50 

  4. Ji, Hye-jin, 2007, A Study on the Behavior of Using the Resting Space in the Wards of General Hospitals in Korea, KIHA, 13(2), pp.7-8. 

  5. Kim, Seon-hyeon, 2015, 그림의 힘, 5th Edition, BRAND 8.0, Paju 

  6. Susanne Siepl-Coates, 2006, "Social Spaces at the Vidar Clinic in Jarna, Sweden and their Role in the Healing Process", The Architecture of Hospitals, Cor Wagenaar(ed.), NAi Publishers, Rotterdam 

  7. Son, Ji-hye, 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nsidering Healing Environmental Concept in Domestic Healthcare Architectures Schematic Design, AIK, 28(7), pp.130-132. 

  8.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2016, 근로복지공단 병원 소개, https://www.kcomwel.or.kr/kcomwel/medi/orgn/intr.jsp, 

  9.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2016, "소속병원_진폐환자_점유율", http://www.kcomwel.or.kr/_common/jsp/docView_flexer.jsp?FileDir_res/kcomwel/etc&SystemFileName%EC%86%8C%EC%86%8D%EB%B3%91%EC%9B%90_%EC%A7%84%ED%8F%90%ED%99%98%EC%9E%90_%EC%A0%90%EC%9C%A0%EC%9C%A8.hwp&ftypehwp&FileName%EC%86%8C%EC%86%8D%EB%B3%91%EC%9B%90_%EC%A7%84%ED%8F%90%ED%99%98%EC%9E%90_%EC%A0%90%EC%9C%A0%EC%9C%A8.hwp, 2016, 05, 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