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계마을 정량적 기준제시를 위한 마을공동체 활동변화 분석 - 충청남도 부여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Changes in Active Village Community for the Quantitative Criteria Presentation of Marginal Village - As a Target the Chungnam Province Buyeo Country-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3, 2016년, pp.119 - 129  

엄성준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리신호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김숙종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정상숙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quantitative standard of a marginal village.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43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f 50 or less, the classification of a marginal village in accordance with advanced research and 47 villages with the population over 50 in Buye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에서 정량적 기준은 고령화율과 인구수로 다르지만, RDPC의 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듯이 단순히 인구수와 고령화 등의 수치로만 발생요인을 판단하기 어렵고, 마을의 한계화 과정에서 마을의 기능 약화에 있어 임계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정량적 기준인 고령화율과 인구수를 바탕으로 마을공동체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준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앞 절에서는 단순히 설문항목에 대해 인구수, 고령화율 기준으로 했을 때, 설문항목에서 차이를 많이 나타내는 구간을 나타내므로 아직까지 한계마을의 기준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앞 절의 분석을 바탕으로 마을공동체 조직의 기능 소멸지점을 확인해 실제로 마을기능이 한계점에 도달하는 기준을 찾아 한계마을의 기준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충청남도의 부여군의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 기능의 관점에서 한계마을의 기준으로 제시된 정량적 기준에 대해 검토해 보고 실제 한계마을의 마을공동체 기능이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지인 부여군은 충남의 15개 시‧군 중 한계마을 선행연구의 1차 분류 기준인 인구수 50명 이하의 마을이 52개로 가장 많은 지역으로 연구적합지로 판단되어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한계마을의 정량적 기준을 제시하고자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인구수 50명 이하인 마을이 가장 많은 충청남도 부여군을 연구대상지로 선택하였다.
  • 마을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기능을 유지 관리하는 주체는 마을주민들로 주민들의 마을 기능의 유지관리 의지에 따라 쇠퇴․소멸 또는 부흥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의 마을기능 유지관리 의지를 객관화하기 위해 마을 공동체의 활동성(기능)으로 대체하였다. 마을공동체 활동성의 적은 기준에서 한계마을 발생 확률이 높다고 가정했을 때, 인구수 및 고령화율을 기준으로 한 마을공동체 기능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구간은 인구수로는 60명 이하, 70명이하일 때 12가지 항목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화율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 고령화율 75%이상과 85%이상 일 때 10개 항목에서 기능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 단순히 인구수와 고령화율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계마을이 나타날 수 있는 정량적 기준은 인구수 70명 이하이고,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75%이상이 마을에서 한계마을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하겠다.
  • 연구대상지는 충청남도가 16개 시․군 4,544개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한 4,000개 마을 중 한계마을의 고령화율과 인구수가 마을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우리나라 한계마을 연구에서 제시한 인구수 50명 이하의 마을이 가장 많은 부여군을 선정하고, 인구수 50명 이하의 마을 43개와 50명 이상인 마을 중 무작위로 47개를 선정하고 마을리더를 대상으로 1:1대면조사를 마을공동체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마을공동체 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는 시점에서의 인구수와 고령화율을 찾아 한계마을의 기준점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마을의 기능은 마을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의해 유지관리 되며, 주민들은 다양한 형태로 마을공동체를 형성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각 공동체의 기능의 약화를 공동체에 참여하는 주민 수나 주민참여비율이 크게 감소되거나 ‘0’이 되는 시점에서 마을의 기능에 임계점이 나타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계마을이란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누구인가? 처음 ‘한계마을’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연구자는 일본의 Akira Ono(1991)로 한계정주의 관점에서 마을을 유형화 하였으며, Table.1과 같이 분류하였다.
부여군의 마을을 조사한 결과 이 논문이 제시한 한계마을의 정량적 기준은 무엇인가? 한계마을의 기준은 인구수 40명 이하이고, 예비한계마을 기준은 인구수 70명 이하인 마을로 제시할 수 있다
충남 발전 연구원에서 정의한 한계마을은? 충남발전연구원(2013)에서는 한계마을은 고령화·과소화 등으로 인하여 마을의 다양한 기능유지가 한계에 달한 마을로, 인구의 공동화, 경제기반의 공동화, 신규공동체의 공동화가 발생하는 마을이라고 정의하였다. 특히 한계마을 분류의 첫 단계에서 사용하는 기준을 인구수로 사용하고 있으나, 특수한 경우의 수가 있기 때문에 한계마을을 결정짓기 전에 마을의 특수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판단해야하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하고 있다(Table 2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hungnam Institute, 2013, Basic Research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orresponding to the Depopulation and Aging "Marginal village policy." 

  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Actual Situation and Policy Issues of Depopulation of Rural Areas, Agri-Policy Focus No21. 

  3.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stration, 2012, Resident Registration Data. 

  4. Ono, Akira, 1991, Aging of Mountain Villages and Limit Village, Economic 7, pp55-71(大野晃, 1991, 山村の高齡化と限界集落, 經濟 7, pp55-71). 

  5. Rural Development Planning Commission, 2006, Report on status and functions of villages in the limits village, (農村開發企劃委員會, 2006, 限界集落における集落機能\の實態等に關する調査報告書). 

  6. Statistics korea, 2005 

  7. Statistics korea, 2014, Surve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