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 임부의 우울 관련 요인

Factor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3, 2016년, pp.25 - 35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고정미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fatigu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and to reveal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Methods: 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19 pregnant women with G-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 임부의 피로, 자아존중감 및 우울 정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 임신성 당뇨 임부의 임신 적응과 자가관리 및 우울관리를 돕고,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과 교육내용의 중재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 임부를 대상으로 피로, 자아존중감 및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임부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임신성 당뇨 임부의 우울은 대상자 연령, 직업유무, 자녀 유무, 임신으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의 적응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 임부의 피로, 자아존중감 및 우울 정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임신성 당뇨 임부들의 신체 정서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도우고 향후 이들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와 적응을 돕는 산전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 치료가 내과와 산부인과의 협진속에서 각각 당뇨 성적과 임신 성적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우울과 같은 개인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간과될 수 있으므로 임상현장과 지역사회내에서 임신성 당뇨 임부를 위한 당뇨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임상과 지역사회 내에서 일반 당뇨 환자와는 다른 상황인 임신과 당뇨라는 상황이 복합되어 진 임신성 당뇨 임부의 신체적, 심리 정서적 문제를 조기에 사정하고 문제의 해결을 돕는 맞춤형 당뇨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볼 것과, 우울과 같은 심리 정서적 요인이 당뇨 치료성적과 임신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당뇨는 언제 진단받는가?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에 발현하는 당뇨병의 형태로 인슐린을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함으로 인해 초래되며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에 진단받게 된다(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3).
임신성 당뇨의 분석 방법은?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으며, 임신성 당뇨 임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의 차이는 t-test, ANOVA와 scheffe로 분석하였다. 둘째, 임신성 당뇨 임부의 피로, 자아존중감 및 우울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셋째, 임신성 당뇨 임부의 피로, 자아존중감 및 우울 정도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넷째, 임신성 당뇨 임부의 일반적 특성 및 본 연구의 주요변수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우울을 설명하는 가장 주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임신성 당뇨와 마주하는 문제점은? 임신성 당뇨 임부는 정상 임부에 비해 임신성 고혈압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해당 임신주수에서 90백 분위수이상의 과체중아(LGA) 혹은 4Kg이상의 거대아의 증가로 인해 제왕절개 분만율이 증가하며, 임신성 당뇨 임부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는 저혈당, 고빌리루빈혈증 및 적혈구 증가증 등의 발생이 증가하는(Kim, 2006) 등 다양한 문제와 마주하게 된다. 또한 임신성 당뇨 임부를 추적 연구한 Jang 등(2004)은 분만 후 6-8주 후에 10%의 여성에서 제2형 당뇨가 발생하며 분만 후 3년이 경과하면 임신성 당뇨를 경험한 여성의 45%에서 당뇨병이 발생함을 보고하면서 제2형 당뇨의 잠재적 환자라는 면에서도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질병임을 피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hn, O. S., & Oh, W. O. (2006). Relationship among Postpartum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Self-esteem in Mothers during Puerperi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0(1), 58-68. 

  2. Bae, Y. J., Son, J. E., & Lee, D. T. (2007). Exercise for managemen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postpartum care. Health and Sports Medicine, 9(2), 49-56. 

  3. Bae, J Y. (2002).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4), 572-587. 

  4. Baek, E. S., & Park, H. J. (2013). Effect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xiety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19(2), 88-98. 

  5. Brandon, A. R., Trivedi, M. H., Hynan, L. S., Miltenberger, P. D., Labot, D. B., & Rifkin, J. B. (2008). Prenatal depression in women hospitalized for obstetric risk,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9(4), 645-643. 

  6. Cho, H. W., & Woo, J. Y. (2013). Relationship between postnatal depression related variables structural model. Korea Society of Psychology, 25(3), 549-573. 

  7. Gu, T. B. (2007). Maternal Fetal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estational Diabetes. Society for Obstetrics Training Lecture, 120-134. 

  8. Hjelm, K., Berntorp, K., Frid, A., Aberg, A., & Apelqvist, J. (2008). Beliefs about health and I llness in women managed for gestational diabetes in two organisations. Midwifery, 24(2), 168-182. http://dx.doi.org/10.1016/j.midw.2006.12.008 

  9. Jang, H. C., Jo, Y. M., Park, K. S., Kim, S. Y., Lee, H. K., Kim, M. Y.,Yang, J. H., & Shin, S. M. (2004). Pregnancy Outcome in Korea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gnosed by the Carpenter-Coustan Criteria.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28(2), 122-130. 

  10. Jang, H. C. (2006). Diagnosi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7(4), 296-301. 

  11. Jung, Y. Y., & Kim, H. W. (2010). Influencing Factors on Antenatal Depression.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16(2), 95-104. 

  12. Jung, Y. Y.,& Kim, H. W.(2014).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e on Maternal Identity.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0(1), 29-37. 

  13. Katon, J. G., Russo, J., Gavin, A. R., Melville, J. L.,& Katon, W .J. (2011). Diabetes and depression in pregnancy: Is there an association?. Journal of Women's Health, 20(7), 983-989. http://dx.doi.org/10.1089/jwh.2010.2662 

  14. Kim, H. S. (2006). Obstetric care of pregnant diabetic patients. Journal Korean Diabetes ,7(4), 307-310. 

  15. Kim, B. J. (2008). Diabetes and depression. Journal Korean Diabetes, 9(4), 287-293. 

  16. Kim, J. Y, & Kim, J G. (2008). Psycho-social predicting factors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1), 111-140. 

  17. Kim, K. S. (2011). The Effect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Doctorial dissertation,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8. Kim, S. O. (2009).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identity of the high risk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reung. 

  19. Kim, Y. H., & Cho, O. H. (2012).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Pregnant Women. Journal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16(1), 80-88. 

  20. Kim, M. O. (2014).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infertility treatments.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0(2), 163-172. 

  21. Kim, S. A. (2014). Effects of Yoga Program during Pregnancy on Maternal Fatigue, Physical Discomfort and Childbirth Confidence. Master's thesis. Seoulbulgyo University: Seoul. 

  22. Kim, H .K. (2015). A study on Pregnancy Stress and Related Factors in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Eulzi University : Daejun. 

  23. Ko, J. M., & Lee, J. K. (2014). Effects of a Coaching Program on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 Academy Nursing, 44(6), 672-681. 

  24. Kwon, M. K. (2007). Antenatal Depression and Mother-Fetal Interac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3(4), 416-426. 

  25. Lee, E. J., & Park, J. S. (2015).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postpartum depression: 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ante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2), 211-220. 

  26. Lee, M. E. (2011). Predictors on depression in pregnant woman. Chosun University. master's thesis : Gwangju. 

  27. Lee, M. K. (2014).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during pregnancy. Doctorial dissertation. Eulzi University: Daejun. 

  28. Na, Y. J., Lee, B. M., Jang, J. S., Choi, O. H., & Kim, W.W. (1993). A Clinical Study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Obstetric and Gynecology, 36(10), 3539-3549. 

  29.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What I need to know about gestational diabetes. 2013, 1-44. NIH Publication No. 13-5129 

  30.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3 [Internet]. Seoul Author;2013 [cited 2013 October 12]. Available from www.diabetes.or.kr/temp/diabetes_factsheet_2013111.pdf. 

  31. Park, K. Y., & Lee, S. O.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at Postpartum 6 Wee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5(1), 25-36. 

  32. Park, J. E. (2012).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3), 148-151. 

  33. Pugh, L. C., & Milligan, R. A. (1993). A frame work for the study of childbearing fatigu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5(4), 60-70. 

  34. Richardson, L. K., Egede, L. E., Mueller, M., Echols, C. L., & Gebregziabher, M. (2008). Longitudinal effects of depression on glycemic control in veterans with Type 2 diabete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0(6), 509-514. 

  35. Shim, E. S. (2015). Relationship between preterm labor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Kyungsang Univ. master's thesis: Kyungbuk. 

  36. Shin, H. S., Song, Y. A., & Hwang, J. I. (2007). Effects of Hand Stimulation Intervention on Fatigue and the Blood Cortisol Level of Pregnant Women. Korea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212-219. 

  37. Song, J. E. (2008). Postpartum fatigue, postpartum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identity of puerperal primigravidas. Korea Nursing Science Conference. 2008(10), 186-186. 

  38. Yoo, J. M. (2008).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1 to 6 Months Postpartum in Korea, Hanyang Univ. master's thesis: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