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미 품종별 전분 구조 및 이화학적 특성
Starch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ored Rice Varieti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1 no.3, 2016년, pp.153 - 162  

박지영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오성환 (국립식량과학원 논이용작물과) ,  한상익 (국립식량과학원 논이용작물과) ,  이유영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이병원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함현미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최용환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오세관 (국립식량과학원 수확후이용과) ,  조준현 (국립식량과학원 논이용작물과) ,  송유천 (국립식량과학원 논이용작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색미 가공소재 탐색 및 용도 다양화를 위해 일품을 포함하여 흑미 메벼 6품종, 적미 메벼 3품종, 흑미 찰벼 5품종, 적미 찰벼 1품종으로 일품과 유색미 15개의 품종의 전분 이화학적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여 가공용도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 유색미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눈큰흑찰이 조단백, 조지방, 식이섬유이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적미의 모든 품종은 조지방이 흑미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유색미 가루를 이용한 찰벼 품종의 아밀로스 함량은 3~5%, 메벼 품종의 아밀로스 함량은 15~18%를 나타내었고, 메벼 품종 중 조은흑미는 14%대로 다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품이 80%로 가장 높은 총 전분 함유량을 보였고, 눈큰흑찰과 흑진주가 70, 71%로 가장 낮은 총 전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3. 유색미 가루의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유색미의 호화개시온도는 $68^{\circ}C$였으며, 일품의 호화개시온도인 $67.95^{\circ}C$와 비슷하였다. 최고점도는 일품이 가장 높았으며, 적진주, 홍진주, 건강홍미 순으로 적미 메벼 품종이 흑미 품종과 적진주 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반점도 값으로 본 노화정도 찰벼 품종에서 느린 것으로 확인되었고, 조은흑미는 메벼품종 중에서 노화정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유색미의 전분외형은 대부분 $2{\sim}5{\mu}m$ 크기의 다각형의 치밀한 입자로 이루어져있으며, 결정성 분석에서는 모두 A type의 전분구조를 이루고 있었지만 결정성은 품종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5. 아밀로펙틴의 체인 길이 분석에서는 16개의 품종에서 12${\leq}24$인 B사슬 함량이 50%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DP<12 함량이 대부분 33~35%함량을 나타내었다. 중합도 36개 이상의 장쇄사슬은 흑미가 적미에 비해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arch structure of various rice varieties including 15 colored cultivars. NKHC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rotein, lipid, and total dietary fiber levels. Reddish brown rice showed higher lipid content than that in black rice cultivars. Apparent 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색미 전분에 관련된 연구는 진도지역 흑미, 신규 계통에 한정하여 수행되었지만, 유색미의 가공용 소재 탐색 및 용도 다양화를 위한 품종별 전분의 특성비교에 관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흑미 및 적미의 찰벼와 메벼 품종간 전분의 이화학적, 구조적 특성을 비교하여 유색미 품종의 용도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 유색미 가공소재 탐색 및 용도 다양화를 위해 일품을 포함하여 흑미 메벼 6품종, 적미 메벼 3품종, 흑미 찰벼 5품종, 적미 찰벼 1품종으로 일품과 유색미 15개의 품종의 전분 이화학적·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여 가공용도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분이란 무엇인가? 전분(starch)은 식물체가 광합성을 통해 생합성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다당류로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며, 식물의 종에 따라 전분의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다. 아밀로오스는 포도당 α-(1, 4)-glycosidic 결합으로 연결된 직쇄사슬의 중합체이며, 아밀로펙틴은 포도당(D-glucose) 분자들이 α-(1, 4)-glycosidic 결합으로 이루어진 주쇄(backbone)상에 약 4~5%의 α-(1, 6)-glycosidic 결합을 분지점(branching point)으로 갖고 있는 생체고분자이다(Aberle et al.
쌀(Oryza sativa L.)의 식미의 특성 무엇의 영향을 받는가? 아시아의 주요 식량작물인 쌀(Oryza sativa L.)의 식미의 특성은 단백질이나 지질 함량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었으나, 전분이 쌀의 주요구성성분이므로, 쌀 품종간의 품질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전분 호화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가 많이 시도되었다(Shin et al., 1986, Bhattacharya et al.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는 무엇인가? 전분(starch)은 식물체가 광합성을 통해 생합성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다당류로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며, 식물의 종에 따라 전분의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다. 아밀로오스는 포도당 α-(1, 4)-glycosidic 결합으로 연결된 직쇄사슬의 중합체이며, 아밀로펙틴은 포도당(D-glucose) 분자들이 α-(1, 4)-glycosidic 결합으로 이루어진 주쇄(backbone)상에 약 4~5%의 α-(1, 6)-glycosidic 결합을 분지점(branching point)으로 갖고 있는 생체고분자이다(Aberle et al.,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berle, T., W. Burchard, W. Vorwerg, and S. Radosta. 1994. Conformational contributions of amylose and amylopectin to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various sources. Starch/Staerke 46 : 329-335. 

  2.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7th ed. Method 991. 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Washington, DC, USA 

  3. Bello-Perez, L. A., P. Roger, and B. Baud. 1998. Colonna P. Macromolecular features of starches determined by aqueous high-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J. Cereal Sci. 27 : 267-278. 

  4. Bhattacharya, K. R., C. M. Sowbhagya, and Y. M. Indudhara-SWamy. 1978. Importance of insoluble amylose as adeterminant of rice quality. J. Sci. Food Agric. 29 : 359-364. 

  5. Choi, Y. H., K. H. Kim, H. C. Choi, Y. K. Kim, K. J. Kim, and Y. T. Lee. 2006. Anallysis of Grain Quality Properties in Koreabred Japonica Ric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51 : 624-631. 

  6. Cheetham, N. W. H. and L. Tao. 1998. Variation in crystalline type with amylose content in maize starch granules: an X-ray powder diffraction study. Carbohyd. Polym. 36 : 277-284. 

  7. EUREST (European Flair Concerted Action on Resistant Starch). 1992. Asp N.-G. Preface resistant starch. Eur. J. Clin. Nutri. 46 : S I. 

  8. Fitzgerald, M. A., M. Martin, R. M. Ward, W. D. Park, and H. J. Shead. 2003. Viscosity of rice flour: A rheological and biological study. J. Agric. Food Chem. 51 : 2295-2299. 

  9. Fitzgerald, M. A. and R. F. Reinke. 2006. Rice Grain Quality III. A Report for the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RIRDC Publication No. 06/056 RIRDC Project No DAN-183A. 

  10. Gu, D. and X. Meiyu. 1992. A study on special nutrient of purple black glutinous rice. Scientia Agric. Sinica 25 : 36-41. 

  11. Hanashiro, I., J. Abe, and S. Hizukuri. 1996. A periodic distribution of the chain length of amylopectin as revealed by 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Carbohyd. Res. 283 : 151-159. 

  12. Hinton, J. J. C. 1948. The distribution of vitamin B1 in the rice grain. Br. J. Nutr. 2: 237-241. 

  13. Juliano BO. 1985.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AACC Monograph Series 17-174. 

  14. Juliano, B. O. 1982. properties of rice starch in relation to varietal differences in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J. Jap. Soc. Starch Sci, 29 : 305-309. 

  15. Juliano, B. O. 1985. Polysaccharide, proteins, and lipids of rice.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N, USA. 59-174. 

  16. Kalichevsxy, M. T., P. D. Orford, and S. G. Ring. 1990. The retrogradation and gelation of amylopectins from various botanical sources. Carbohydr. Res. 198 : 49-55. 

  17. Kang, M. Y., Y. J. Nam, and S. H. Nam. 2005. Screening of antioxidation related functional components in brans of the pigmented ri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 233-239. 

  18. Kim, D. W., J. B. Eun, and C. O. Rhee. 1998. Cooking conditions and textural changes of cooked ice added with black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 562-568. 

  19. Kim, M. S., T. R. Hahn, and H. H. Yoon. 1999. Sacchar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made of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 672-677. 

  20. Kim, K., G. C. Choi, K. J. Kang, Y. H. Lee, and S. K. Kim. 1992.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Waxy Rice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 568-573. 

  21. Kim, Y. K. 2010. Status and prospects of development of rice varieties.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9 : 75-85. 

  22. Kim, Y. K. and A. Chun. 2010. Status and prospects of rice varieties for processing.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9 : 3-12. 

  23. Kim, Y. D., M. S. Shin, B. K. Kim, J. I. Choung, M. K. Oh, J. H. Lee, J. K. Ko, and J. K. Lee, 2004. Granin Quality in Circulated Brand Rices of Different Regional Production. Korean J Breed Sci 36 : 266-267. 

  24. Koh, H. J., Y. J. Won, G. W. Cha, and M. H. Heu. 1996. Varietal variation of pigmentation and some nutritive characteristics in colored rice. Korean J. Crop Sci 41 : 600-607. 

  25. Lee, H. H., H. Y. Kim, H. J. Koh, and S. N. Ryu. 2006. Varietal Difference of Chemical Composition in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Crop Sci 51 : 113-118. 

  26. Lee, Y. T. and Y. Y. Kim. 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s Differing in Amylose Content Prepared by Different Mill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 40 : 1797-1801. 

  27. Lee, H. J., S. M. Byun, and H. S. Kim. 1988. Studies on the Dietary Fiber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 576-584. 

  28. Lee, N. Y. 2013. Starc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cultivar with waxy and non-waxy type. Korean J. Crop Sci. 58 : 226-231. 

  29. Lee, Y. S., H. O. Jung, and C. O. Rhee. 2002. Quality characteriistics of yukwa added with pigmented r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 529-533. 

  30. Park, D. S., U. H. Hwang, S. K. Park, J. H. Lee, S. I. Han, J. H. Cho, J. Y. Lee, S. H. Oh, K. C. Jang, W. D. Seo, and D. J. Shin. 2015. A waxy black giant embryo earley maturing rice variety 'Nunkeunheugchal', Korean J Breed Sci 47 : 68-74. 

  31. Park, J. Y., S. I. Han, Y. J. Hur, Y. Y. Lee, B. W. Lee, E. Y. Sim, H. M. Ham, B. J. Kim, C. W. Lee, S. J. Lee, and S. H. Oh. 2015.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 times in black rice (Oryza sativ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 1653-1659. 

  32. Ryu, S. N., S. Z. Park, and S. S. Kang. 2005. Studies on exploration and expansive use of genetic variation of functional substances in ri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33. Song, J., J. H. Kim, D. S. Kim, C. K. Lee, J. T. Youn, S. L. Kim, and S. J. Suh.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in Japonica rice of different amylose content. Korean J. Crop Sci. 53 : 285-291. 

  34. Shin, H. S. and J. Y. Rhee. 1986.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uetral lipid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Korean J. Food Sci.Technol. 18 : 137-142. 

  35. Statistics Korea. 2016. Food Grain Consumption Survey Report. ISSN 1599-2381. 

  36. Yang, C. I., S. B. Lee, J. M. Jeong, M. K. Kim, K. S. Lee, J. H. Lee, H. G. Hwang, Y. H. Choi, Y. G. Kim, Y. S. Shin, O. Y. Jung, H. C. Hong, A. R. Chun, S. K. Oh, J. U. Jung, K. H. Kang, and C. Y. Kim. 2012. New Early Maturing, Reddish Pericarp and High Antioxidants Glutinous Rice Variety 'Jeogjinjuchal' Kor. J. Breed. Sci 44 : 637-642. 

  37. Yoon, M. R., J. S. Lee, J. E. Kwak, J. H. Lee, J. B. Chun, C. I. Yang, J. H. Cho, M. J. Kim, C. K. Lee, B. K. Kim, and W. H. Kim. 2015. Starch and Pasting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Stickiness of Rice Cake Using Glutinous Rice Varieties. Korean J. Breed. Sci. 47(3) : 199-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