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찰현미떡의 품질 및 소화특성
Quality and Digestibi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with Germinated Brown Waxy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9, 2016년, pp.1310 - 1315  

김민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학부.생활과학연구소) ,  이수진 (수성대학교 호텔조리과) ,  최영희 (수성대학교 호텔조리과) ,  손동화 (수성대학교 제과제빵커피과) ,  정현정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학부.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미와 현미, 발아현미 찹쌀떡에 대한 소화율과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제품의 발아조건을 찾고자 백미와 현미, 발아현미찹쌀떡을 제조하여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 in vitro 소화율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떡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L)는 현미보다 발아현미가 낮았으며 발아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반면 적색도(a)와 황색도(b)는 발아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색이 진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미와 발아현미의 조직감 특성에서 경도, 부착성, 검성, 씹힘성은 현미가 가장 높았고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로써 노화 지연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탄성은 시료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응집성은 현미와 발아현미가 백미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현미, 발아현미 찹쌀떡의 in vitro 소화율 결과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빠르게 소화되는 전분인 RDS 함량은 증가하고 소화되지 않는 전분인 RS 함량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어 소화율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에서는 현미가 색, 부착성,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발아시간이 증가할수록 색, 향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부착성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찹쌀떡보다는 높고 찰현미떡과 비슷한 관능적 평가를 받은 10시간 발아한 현미로 만든 발아찰현미떡이 소화조절용 쌀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에 가장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rminated brown rice (GBR)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due to its enhanced nutritional value. Brown waxy rice was germinated at $30^{\circ}C$ for 10 h, 20 h, or 30 h with 95% humidity. The color, texture, digestibi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cake made by GBR were e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미와 현미, 발아현미 찹쌀떡에 대한 소화율과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제품의 발아 조건을 찾고자 백미와 현미, 발아현미찹쌀떡을 제조하여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 in vitro 소화율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화율을 조절할 수 있는 쌀 가공제품개발을 위해 발아시간을 달리하여 발아찰현미를 제조한 후 발아찰현미가루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발아찰현미가루를 이용하여 떡을 만든 후 색도, 기계적 물성, in vitro 소화율, 관능적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아현미의 생리활성 효능은? 발아현미는 기존 현미에 비해 조직이 연화되어 질감이 개선되고, 체내흡수가 잘된다. 또한, 비타민, 미네랄, 섬유소와 ferulic acid,γ-oryzanol과 GABA 등 각종 기능성 성분들이 증가하며(4), 혈중 콜레스테롤 증가 억제, 혈압상승 억제, 비만 방지, 면역능력 증진 등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3,5).
현미의 단점은? 현미는 백미에 비해 식이섬유, 피틴산, 비타민, γ-amino butyric acid(GABA) 등이 풍부하며 칼슘과 철분을 비롯한 각종 무기질의 함량도 많다. 하지만 뛰어난 영양성에도 불구하고 현미는 단단한 껍질로 인한 거친 식감과 높은 섬유소 함량으로 호화되기 어렵고 소화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2,3).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영양성과 기능성을 포함한 발아현미가 주목을 받고 있다.
현미의 영양학적 가치는? 현미는 과피, 종피 및 호분층으로 구성된 미강과 배(embryo) 및 배유(endosperm)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의 구성비는 일반적으로 미강 5~6%, 배 2~3%, 배유 92% 정도이다(1). 현미는 백미에 비해 식이섬유, 피틴산, 비타민, γ-amino butyric acid(GABA) 등이 풍부하며 칼슘과 철분을 비롯한 각종 무기질의 함량도 많다. 하지만 뛰어난 영양성에도 불구하고 현미는 단단한 껍질로 인한 거친 식감과 높은 섬유소 함량으로 호화되기 어렵고 소화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SL, Son YK, Son JR, Hur HS. 2001.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46: 221-228. 

  2. Chung HJ, Cho A, Lim ST. 2012.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 for utiliz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in wheat noodle. LWT-Korean Sci Technol 47: 342-347. 

  3. Chung HJ, Cho DW, Park JD, Kweon DK, Lim ST. 2012.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and pasting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after hydrothermal treatments. J Cereal Sci 56: 451-456. 

  4. Komatsuzaki N, Tsukahara K, Toyoshima H, Suzuki T, Shimizu N, Kimura T. 2007. Effect of soaking and gaseous treatment on GABA content in germinated brown rice. J Food Eng 78: 556-560. 

  5. Kim J, Shin M, Ro H. 2013. Quality properties of Sulgi with different mixed ratio of brown rice flour and germina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29: 591-598. 

  6. Park YM, Kim MH, Yoon H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c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Korean J Culinary Res 18: 54-64. 

  7. Lee JM, Park YJ, Lee MS. 2001. Sensory and physicochemical attributes of glutinous rice dduk added Cham-chwi. J Korean Diet Culture 16: 180-186. 

  8. Park MW, Kim MH, Jang MS. 1992.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Julpyun (Korean traditioned rice cake) as influenced by soaking time of rice. Korean J Soc Food Sci 8: 315-321. 

  9. Chung HJ, Lim ST. 2014. Relationship between starch digestibility and its structure. Food Sci Ind 47: 21-32. 

  10. Chung HJ, Liu Q, Hoover R. 2009. Impact of annealing and heat-moisture treatment on rapidly digestible, slowly digestible and resistant starch levels in native and gelatinized corn, pea and lentil starches. Carbohydr Polym 75: 436-447. 

  11. Seo BH, Sung KH, Chung CH. 2011.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containing with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 698-705. 

  12. Lee JY, Lee W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brown rice flour added nood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81-985. 

  13. Lee YS, Kim AJ, Rho JO.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ed Brown Rice Dasik with Yujacheong added. Korean J Food Cook Sci 24: 494-500. 

  14. Shin DS, Park HY, Han GJ, Kim M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tteok with different ratios of non-glutinous germina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26: 853-859. 

  15. Lee KJ, Choi B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Heunmi (brown waxy rice)-ssuck (mugwort)-injeolmi. J East Asian Soc Diet Life 25: 316-325. 

  16. Englyst HN, Kingman SM, Cummings JH. 1992.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of nutritionally important starch fractions. Eur J Clin Nutr 46: S33-S50. 

  17. Oh SK, Lee JH, Yoon MR, Kim DJ, Lee DH, Choi IS, Lee JS, Kim IH, Lee JS. 2012.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963-969. 

  18. Kum JS, Choi BK, Lee HY, Park JD.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 11: 182-188. 

  19. Yoon GS. 2001.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black or brown rice flour on textural properties and retrogradation of Julpyun. J Korean Home Econo Edu Assoc 39: 103-111. 

  20. Ghavidel RA, Prakash J. 2007. The impact of germination and dehulling on nutrients, antinutrients, in vitro iron and calcium bioavailability and in vitro starch and protein digestibility of some legume seeds. LWT-Food Sci Technol 40: 1292-1299. 

  21. Xu J, Zhang H, Guo X, Qian H. 2012. The impact of germin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flour and starch. J Sci Food Agric 92: 380-3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