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인은 면역취약집단으로 다른 인구 집단보다 만성질환과 식품매개 질병에 걸릴 위험이 크며 식행동은 오랜 세월 굳어져 왔기 때문에 변화하기가 쉽지 않다.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식품안전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식품안전 영양 시범 교육은 서울 마포, 충북 청주, 경북 의성, 충북 진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1년 7월 28일부터 9월 9일까지 총 5주간 매주 1회, 35~40분씩 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조사가 완료된 최종 연구대상은 교육군이 5회 교육 중 3회 이상 교육에 참여하고 교육 전후 평가를 마친 대상자로 137명, 대조군은 사후 설문조사를 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83명으로 총 220명이었다. 교육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들이 식습관을 변화하지 않을 경우 질병 가능성을 알려 심각성을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노인들이 식행동 수정 시 얻게 되는 이들을 알려주고 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아효능감을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교육 후 식품안전 영양지식은 모든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식품안전 영역 5문항 중 4문항, 영양 영역 3문항 중 2문항에서는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식행동은 교육군에서 '고기, 생선류는 조리 시 속까지 완전히 익힌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건강신념은 식품안전의 영역에서는 인지된 심각성과 자아효능감, 영양 영역에서는 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장애, 자아효능감에서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지식, 식행동, 건강신념 변화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신념의 변화량과 식행동의 변화 가능성 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들이 일반 재가 노인보다 복지관에서 봉사하거나 활동하는 노인이었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교육기간이 5주로 비교적 짧았기 때문에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식행동이 쉽게 변화하거나 개선되기 어려우므로 장기간에 걸친 반복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향후 보건소나 복지관 등을 통해 지속해서 시행 된다면 노인의 식품안전 영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바람직한 식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elderly have difficulties in managing food safety and nutrition by themselves. Various nutrition educations for the elderly have been developed, but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tools for the elderly are very limite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a food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은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델파이조사를 통해 5주차로 구성되었으며 Table 1에 제시하였다(20). 교육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들이 식습관을 변화하지 않을 경우 질병 가능성을 알려 심각성을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노인들이 식행동 수정 시 얻게 되는 이득을 알려주고 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아효능감을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교육매체는 슬라이드, 생활실천 체크리스트가 포함된 유인물, 식중독 뉴스와 어르신을 위한 건강요리 동영상, 식생활 안전・영양 가이드 소책자를 이용하였다.
  • 교육 전후 조사가 완료된 최종 연구대상은 교육군이 5회 교육 중 3회 이상 교육에 참여하고 교육 전후 평가를 마친 대상자로 137명, 대조군은 사후 설문조사를 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83명으로 총 220명이었다. 교육은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들이 식습관을 변화하지 않을 경우 질병 가능성을 알려 심각성을 인지하도록 하였으며 노인들이 식행동 수정 시 얻게 되는 이들을 알려주고 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아효능감을 제공해주고자 하였다. 교육 후 식품안전・영양지식은 모든 항목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식품안전 영역 5문항 중 4문항, 영양 영역 3문항 중 2문항에서는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의 인식 변화가 바람직한 식행동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한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시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 설문지는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으로 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상 도움이 필요한 경우 연구자와 훈련받은 보조원들이 설문지를 읽어주고 대상자가 답하는 것을 기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을 시행하고 교육 전과 후를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이용하여 식품안전・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에 영양 불량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는? 사회와 가정구조의 변화로 노인가정과 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신체적 노화와 만성질환,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장보기와 식사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2). 노년기는 노화로 인하여 소화 및 흡수 기능의 저하, 만성퇴행성 질환의 발병 등에 의한 영양소의 체내 이용률 감소 등 신체적인 변화로 영양 불량 위험이 증가하는 시기이다(3,4). 식품안전 측면에서도 노인은 다른 연령층과 비교할 때 비위생적으로 식품을 관리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5-7).
영양교육 이론에서 건강신념 모델은 무엇을 위해 개발된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은 1950년대 후반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접종과 같은 예방적 건강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로 개발되었으며(14), 개인의 건강신념과 건강행위 사이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해 건강관련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15).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노인의 건강신념 변수와 안전한 식품 취급 행동사이의 관계를 식중독의 인지된 위협, 행위단서, 그리고 안전한 식품 취급 행동의 변수로 측정한 결과 노인의 식품 취급 행동을 조사하는 유용한 틀이라고 제시하였다(14,16).
영양교육이란? 영양교육은 개인이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지식(knowledge)을 바르게 이해하고, 식생활을 실천하는 능력을 높이고자 하는 태도(attitude)를 변화시키고, 스스로 식생활에 관한 행동(behavior)으로 옮겨 실천하게 하는 일련의 KAP(knowledge, attitude, practice) 과정이다(10). 영양교육은 영양지식에 중점을 둔 인식적 측면이 강조된 프로그램보다는 태도와 식행동을 확립할 수 있는 실천적인 측면의 변화가 중요하며(11), 식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동기와 지식 및 실행능력을 높임으로써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가져온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Statistics Korea. 2011.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10-2060 (based on the 2010 censu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6/index.board?bmoderead&aSeq252623 (accessed Nov 2015). 

  2. Jung HY, Yang IS, Lee HY, Chae IS. 2003. Analyzing the current congregate meal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8: 919-926. 

  3. de Luis D, Lopez Guzman A; Nutrition Group of Society of Cstilla-Leon (Endocrinology, Diabetes and Nutrition). 2006. Nutritional status of adult patients admitted to internal medicine departments in public hospitals in Castilla y Leon, Spain-A multi-center study. Eur J Intern Med 17: 556-560. 

  4. Yang EJ, Bang HM. 2008.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41: 65-76. 

  5. Altekruse SF, Street DA, Fein SB, Levy AS. 1996. Consumer knowledge of foodborne microbial hazards and foodhandling practices. J Food Prot 59: 287-294. 

  6. Gettings MA, Kiernan NE. 2001.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food safety among seniors who prepare meals at home. J Nutr Educ 33: 148-154. 

  7. Fein SB, Lando AM, Levy AS, Teisl MF, Noblet C. 2011. Trends in U.S. consumers' safe handling and consumption of food and their risk perceptions, 1988 through 2010. J Food Prot 74: 1513-1523. 

  8. Pastorino CA, Dickey T. 1990.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issues and program planning. Orthop Nurs 9: 36-42. 

  9. Lee YW, Hwang WS, Choe SJ, Lee DH, Kim DH, Lee EH, Hong EG, Noh HL, Chung YS, Lee KW, Kim HM. 2003. The effect of intensive education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 Korean Soc Endocrinol 18: 63-72. 

  10. Mo S. 1990. The present status and a future scheme in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Nutr 23: 208-212. 

  11. Sheahan SL, Fields B. 2008. Sodium dietary restriction, knowledge, beliefs, and decision-making behavior of older females. J Am Acad Nurse Pract 20: 217-224. 

  12. Yim KS, Min YH, Lee TY. 1997. Evaluations of the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Effects of nutri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 on elderly dietary behavior. J Korean Diet Assoc 3: 197-210. 

  13. Son SM, Kim MJ. 2001.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arious chronic disease in elderly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6: 668-677. 

  14. Janz NK, Becker MH. 1984.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 Q 11: 1-47. 

  15. Kim MH. 1997. Health Belief Model approach to health beliefs, attitude, and health behaviors concerning HIV/AIDS. J Korean Soc Health Edu 14: 125-147. 

  16. Hanson JA, Benedict JA. 2002.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 examine older adults' food-handling behaviors. J Nutr Educ Behav 34: S25-S30. 

  17. Kang NE, Lee JY. 2005.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Sung-nam area. Korean J Food Nutr 18: 357-366. 

  18. Park PS, Chun BY, Jeong GB, Hun CH, Joo SJ, Park MY. 2007. The effect of follow-u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applied aged group of high risk undernutrition in rural area (I). Korean J Food Cult 22: 127-139. 

  19. Kim MS, Kim JY. 2012.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 for nutrient intake and prevention of disease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focused on items related to health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3: 467-478. 

  20. Choi JH, Lee ES, Lee YJ, Lee HS, Chang HJ, Lee KE, Yi NY, Ahn Y, Kwak TK. 2012. Development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for the elderly-by focus group interview and Delphi technique-. Korean J Community Nutr 17: 167-181. 

  21. Yang IS, Lee JM, Chae IS. 1998.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analysis of elderly people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Korean Diet Assoc 4: 76-87. 

  22. Medeiros LC, Hillers VN, Chen G, Bergmann V, Kendall P, Schroeder M. 2004. Design and development of food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scales for consumer food safety education. J Am Diet Assoc 104: 1671-1677. 

  23. Almanza BA, Namkung Y, Ismail JA, Nelson DC. 2007. Clients' safe food-handling knowledge and risk behavior in a home-delivered meal program. J Am Diet Assoc 107: 816-821. 

  24. McCarthy M, Brennan M, Kelly AL, Ritson C, de Boer M, Thompson N. 2007. Who is at risk and what do they know? Segmenting a population on their food safety knowledge. Food Qual Prefer 18: 205-217. 

  25. Lee KE, Yi NY, Park JY. 2009. Food safety knowledge and home food safety practice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recip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18-625. 

  26. Sanlier N. 2009.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food safety by young and adult consumers. Food Control 20: 538-542. 

  27. Ferrini R, Edelstein S, Barrett-Connor E. 1994.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 change in older adults. Prev Med 23: 1-5. 

  28. Hanson JA, Benedict JA. 2002.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 examine older adults' food-handling behaviors. J Nutr Educ Behav 34: S25-S30. 

  29. Hudson PK, Hartwell HJ. 2002. Food safety awareness of older people at home: a pilot study. J R Soc Promot Health 122: 165-169. 

  30. Abood DA, Black DR, Feral D. 2003. Nutrition education worksite intervention for university staff: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J Nutr Educ Behav 35: 260-267. 

  31. Lee MJ, Kim JH, Park OJ, Lee YM. 2016. A study on the needs for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who use welf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1: 65-74. 

  32. Jevsnik M, Ovca A, Bauer M, Fink R, Oder M, Sevsek F. 2013.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mong elderly in Slovenia. Food Control 31: 284-290. 

  33. Eppright ES, Fox HM, Fryer BA, Lamkin GH, Vivian VM. 1970. The North Central Regional Study of diets of preschool children. 2.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mothers. J Home Econ 62: 327-332. 

  34. Jang JY, Kim MJ, Han JS. 2009.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62-1372. 

  35. Choi JH, Lee YJ, Lee ES, Lee HS, Chang HJ, Lee KE, Yi NY, Kwak TK. 2016. Investigation of food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for analyzing food safety risk factors in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746-756. 

  36. Kim BH, Yang J, Kye SH, Lee Y. 2014.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city. Korean J Food Nutr 27: 495-506. 

  37. Jung EJ, Kwon JS, Ahn SH, Son SM. 2013. Blood pressure, sodium intake and dietary behavior changes by session attendance on salt reduc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hypertensive adults in a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18: 626-643. 

  38. Kang NE, Lee JY. 2005. The analysis of effect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Sung-nam area. Korean J Food Nutr 18: 357-366. 

  39. Boonyasopun U, Aree P, Avant KC. 2008. Effect of an empowerment-based nutrition promotion program on food consumption and serum lipid levels in hyperlipidemic Thai elderly. Nurs Health Sci 10: 93-100. 

  40. Kendall PA, Hillers V, Medeiros LC. 2006. Food safety guidance for older adults. Clin Infect Dis 42: 1298-1304. 

  41. Kendall P, Medeiros LC, Hillers V, Chen G, DiMascola S. 2003. Food handling behaviors of special importance for pregnant wome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elderly, and immune-compromised people. J Am Diet Assoc 103: 1646-1649. 

  42. Orji R, Vassileva J, Mandryk R. 2012. Towards an effective health interventions design: An extens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Online J Public Health Inform 4: ojphi.v4i3.4321. 

  43. Baghianimoghadam MH, Shogafard G, Sanati HR, Baghianimoghadam B, Mazloomy SS, Askarshahi M. 2013.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in promotion of self-care in heart failure patients. Acta Med Iran 51: 52-58. 

  44. Iranagh JA, Rahman HA, Motalebi SA. 2016. Health Belief Model-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nutritional behavior among elderly women. Nutr Res Pract 10: 352-358. 

  45. Rajgopal R, Cox RH, Lambur M, Lewis EC. 2002. Costbenefit analysis indicates the positive economic benefits of the Expanded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chronic disease prevention. J Nutr Educ Behav 34: 26-37. 

  46. Contento I, Balch GI, Bronner YL, Lytle LA, Maloney SK, Olson CM, Swadener SS. 1995.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policy, programs, and research: a review of research. J Nutr Educ 27: 275. 

  47. Worsley A. 2002.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consumption: can nutrition knowledge change food behaviour?. Asia Pac J Clin Nutr 11: S579-S585. 

  48. Sin EK, Lee Y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belief model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 488-501. 

  49. Lee KS, Kim KN.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foo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 86-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