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병관리본부에서 2012년 이후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실험실 진단실무지침에 cpb2 유전자를 포함시킨 후, 2013-2014년 경기도의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이 원인불명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그 발생률이 2011-2012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경기도내 유행하는 toxinotype을 파악하고, PFGE, MLST를 통해 이들의 분자역학적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서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 발생 시 역학조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013-2014년 경기도에서 분리된 120주의 C. perfringens 중 cpe 보유균주는 49주, cpb2 보유균주는 71주였다. 발생건별로 살펴보면, cpe 단독발생건은 2건(10주), cpb2 단독발생건은 7건(45주), cpe, cpb2 혼합발생건은 7건(65주)로 cpb2 단독발생과 cpe, cpb2 혼합발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Toxinotype PCR 결과, 120주 모두 C.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의 주요 타입인 A로 밝혀졌다. PFGE 분석 결과, 53.5-100%의 유사도와 75 유형으로 나뉘었다. 65% 이상을 기준으로 했을 때 5가지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A, C, D, E 그룹은 1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cpb2 보유균주로 이루어졌고, B 그룹은 1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cpe 보유균주로 구성되었다. 2014년 안산상록구 식중독 4주와 2014년 수원 권선구 식중독 3주를 제외하고, 64 cpb2 보유균주들은 대부분 다양한 유전자패턴을 보였다. 41 cpe 보유균주 중 3개의 균주를 제외하고, 2013년 부천원미구, 성남분당구, 2014년 안산상록구, 평택, 김포, 화성 식중독 모두 각각 동일한 유전자 패턴을 보였다. 2013 수원영통구 식중독은 2가지 cpe 유전형 패턴을 보였다. MLST 분석 결과, 크게 P-cpe 및 cpb2 그룹과 C-cpe 그룹으로 나뉘어 졌고, 세세하게 11개의 cluster로 나뉘어졌다. 경기도에서 분리된 31개 균주 중, 16 cpb2 보유균주와 2014-06-03 cpe 보유균주는 1-7 cluster에 속해있었고, 14 cpe 보유균주는 모두 8-11 cluster에 속해있었다. 하나의 cpe 보유균주를 포함하여 cpb2 보유균주들은 P-cpe 그룹과 건강한 사람에서 분리된 cpb2 그룹들 사이에 산재되어 cluster되었고, cpe 보유균주는 C-cpe 그룹에 속해있었다. 2014-06-03주의 cpe gene은 plasmid에 존재하고, 나머지 cpe 보유균주의 cpe gene은 모두 chromosome에 존재함을 추정 할 수 있었다. PFGE 및 MLST 분석 결과, cpe 보유균주에 비해 cpb2 보유균주가 훨씬 다양하고 복잡한 유전자패턴을 나타내며, cpe 유전자 보유균주의 경우 단일 유전자형이거나 유사도가 높은 유전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pe 보유균주의 경우 집단식중독의 원인균 파악이 용이하였으나, cpb2 보유균주의 경우 2 발생건을 제외하고 역학적인 연관성이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ostridium perfringens is both a ubiquitous environmental bacterium and a major cause of human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C. perfringens food poisoning ranks among the most common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developed countries. 120 isolates of C. perfringens were obtained from food-poisoning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perfringens에 의한 식중독이 2012년 11건(265명)에서, 2013, 2014년 30건(621명), 28건(1,707명)으로 증가하였고, 경기도 역시 2012년 발생보고가 없었으나, 2013, 2014년 11건(334명), 12건(879명)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2014). 본 연구는 경기도내 식중독에서 분리된 C. perfringens 균주를 대상으로 독소유전자 보유현황 및 PFGE, MLST 검사를 수행하여 분리 균주 간의 분자역학적인 관계를 규명하여 식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lostridium perfringens의 독소 생산유형에 따른 각각의 형식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C. perfringens는 4개의 주요한 독소(Alpha, beta, epsilon, iota) 생산유무에 따라 A∼E형으로 분류된다. Type A는 alpha 독소를 생산하며, 사람과 동물에서 가스괴저(clostridial myonecrosis)를 유발하고, 세계각지의 선진국에서 식중독 및 경미한 설사를 유발한다. Type C는 alpha, beta독소를 동시에 생산하며, 사람과 동물에서 괴사성장염을 일으킨다(Brynestad and Granum, 2002). Type B, D, E는 주로 동물에서 괴사성장염, 출혈성장염, 장독혈증 등을 일으킨다(Uzal et al., 2010).
CPE 독소란? , 2010). 그 중 CPE 독소는 claudin receptor에 작용하여 pore formation, cytotoxicity를 일으키는 독소로, 사람에서 식중독, 항생제 관련 설사(Antibiotic associated diarrhea/AAD) 및 산발적 설사(Sporadic diarrhea/SD)를 일으킨다. 또한 cpe 유전자는 chromosome이나 plasmid 내에 존재하는데, type A C.
Clostridium perfringens의 독소 생산 유무에 따른 분류는 어떻게 되는가? C. perfringens는 4개의 주요한 독소(Alpha, beta, epsilon, iota) 생산유무에 따라 A∼E형으로 분류된다. Type A는 alpha 독소를 생산하며, 사람과 동물에서 가스괴저(clostridial myonecrosis)를 유발하고, 세계각지의 선진국에서 식중독 및 경미한 설사를 유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ynestad, S. and Granum, P.E. 2002. Clostridium perfringens and foodborne infections. Int. J. Food Microbiol. 74, 195-202. 

  2. Deguchi, A., Miyamoto, K., Kuwahara, T., Miki, Y., and Kaneko, I. 2009. Genetic characterization of type A enterotoxigenic Clostridium perfringens strains. PLoS One 4, e5598. 

  3. Enright, M.C. and Sporatt, B.G. 1999. Multilocus sequence typing. Trends Microbiol. 7, 482-487. 

  4. Grant, K., Kenyon, S., Nwafor, I., Plowman, J., Ohai, C., Halford-Maw, R., Peck, M., and McLauchlin, J. 2008.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by real-time PCR, location of enterotoxin gene, and heat resistance. Foodborne Pathog. Dis. 5, 629-639. 

  5. Harrison, B., Raju, D., Garmory, H.S., Brett, M.M., Titball, R.W., and Sarker, M.R. 2005.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isolates from humans with sporadic diarrhea:evidence for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beta2-toxin encoding gene. Appl. Environ. Microbiol. 71, 8362-8370. 

  6. Jin, Y.H., Jung, J.H., Jeon, S.J., Choi, S.S., Kim, Y.G., Oh, Y.H., Choi, S.M., and Jung, K. 2013. Molecular epidemiology of Clostridium perfringens isolated from food poisoning in Seoul, 2013. J. Bacteriol. Virol. 44, 170-176. 

  7. Johansson, A., Aspan, A., Bagge, E., Baverud, V., and Engstrom, B. 2006. Genetic diversity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A isolates from animals,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sludge. BMC Microbiol. 6, 47. 

  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Annual Report 2012-2014.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520.jsp?menuIdsHOME001-MNU1132-MNU0072-MNU0074. 

  9. McClane, B.A. 2005. Clostridial enterotoxins. Handbook on Clostridia, pp. 375-406. In Durre, P. (ed.), CRC Press, Boca Raton, USA. 

  10. McClane, B.A., Robertson, S.L., and Li, J. 2013. Clostridium perfringens, In Doyle, M.P. and Buchanan, R.L. (eds.), Food microbiology: fundamentals and frontiers, 4th ed., pp. 465-489. ASM Press, Washington, DC, USA. 

  11. Miyamoto, K., Wen, Q., and McClane, B.A. 2004. Multiplex PCR genotyping assay that distinguishes between isolates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A carrying a chromosomal enterotoxin gene (cpe) locus, a plasmid cpe locus with an IS1470-like sequence, or a plasmid cpe locus with an IS1151 sequence. J. Clin. Microbiol. 42, 1552-1558. 

  12. Rood, J.I. and Cole, S.T. 1991. Molecular genetics and pathogenesis of Clostridium perfringes. Microbiol. Rev. 55, 621-648. 

  13. Urwin, R. and Maiden, M.C. 2003. Multilocus sequence typing: a tool for global epidemiology. Trends Microbiol. 11, 479-487. 

  14. Uzal, F.A., Vidal, J.E., MaClane, B.A., and Gurjar, A.A. 2010. Clostridium perfringens toxins involved in mammalian veterinary disease. Open Toxinology J. 3, 24-42. 

  15. Wen, Q. and McClane, B.A. 2004. Detection of enterotoxigenic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A isolates in American retail foods. Appl. Environ. Microbiol. 70, 2685-2691. 

  16. Xiao, Y., Wagendorp, A., Moezelaar, R., Abee, T., and Wells-Bennik, M.H.J. 2012. A wide variety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A food-borne isolates that carry a chromosomal cpe gene belong to one multilocus sequence typing cluster. Appl. Environ. Microbiol. 78, 7060-7068. 

  17. Yoo, H.S., Lee, S.U., Park, K.Y., and Park, Y.H. 1997. Molecular typing and epidemiological survey of prevalence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s by multiplex PCR. J. Clin. Microbiol. 35, 228-2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