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특성화고 학생의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19 no.3, 2016년, pp.309 - 328  

유상은 (전북대학교 대학원) ,  손홍찬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직소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의 특징으로 동료들에 대한 의무감 때문에 학생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짐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수업이 학습자의 호기심과 동기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수학 개념과 공식의 가치인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out if a mathematics lesson with Jigsaw model can help to change such negative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 to a positive on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athematics lessons applied Jigsaw model can help to inspire curiosity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는 어떤 절차들이 있는가? 첫 번째 단계는 원 모둠 구성(Jigsaw groups or Home groups) 및 전문가 학습지(Expert sheet) 배포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원 모둠이 구성되고 구성원들은 전문가 학습지를 받거나 선택한다. 이 때, 원 모둠의 구성원의 수는 수업에 쓸 전문가 학습지의 개수와 일치해야 하는데, 이는 모든 구성원의 성공기회의 균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두 번째 단계는 전문가 모둠에서의 협동학습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모둠의 각 구성원들은 같은 학습 자료를 할당받은 다른 모둠의 구성원들과 전문가 모둠(Expert groups)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의 모둠 구성원을 가르치기 위해 전문가 모둠에서 자신들이 맡은 학습 자료에 관해 정보를 교환하며, 연구하고, 내용을 습득하여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 세 번째 단계는 원 모둠에서의 협동학습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전문가가 된 학생은 다시 자신의 원 모둠으로 돌아가 모둠 구성원을 가르치고 자신이 공부하지 않은 분야에 대해 학습한다. 네 번째 단계는 개별평가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전체 학습 단원에 대해 개별평가를 받는다.
협동 학습의 모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Jigsaw 모형은 협동학습의 모형 중 하나인데 지금까지 알려진 협동 학습의 모형에는 STAD, TGT, TAI, CIRC, Jigsaw, LT, GI 등이 있다(Johnson, Johnson, & Stanne, 2000; Johnson, Johnson, 2009; Slavin, 1980). 여기서 STAD (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모형은 평가방식 및 이의 활용에 특징이 있는데, 각 학생들은 사전 검사 총합의 사전검사 횟수에 대한 산술평균인 기본 점수를 가지고 있고, 협동학습 후 개별 평가를 통해 얻은 점수가 기본 점수에 비해 얼마나 향상 되었는지 향상 점수를 계산하고 모둠 구성원들의 향상 점수에 대한 산술평균을 모둠의 점수로 한다.
Jigsaw 모형의 이름은 어떻게 붙여진 것인가? Jigsaw라는 이름은 원 모둠이 전문가 모둠으로 나뉘어졌다가 다시 원 모둠으로 돌아오는 모습이 마치 조각그림 맞추기 게임(Jigsaw Puzzle)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다(정문성, 2006). Jigsaw Puzzle에서 각 Puzzle이 전체 그림의 완성에 중요한 것처럼, 모둠의 각각 구성원들은 전체 학습의 완성을 위해 본질적인 것이며 이것이 Jigsaw 모형을 효과적으로 만든다(Aronson,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수학, 과학, 기술.가정.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3. 교육부 (201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4.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 (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경문사. 

  5.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9. 

  6.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틍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19-31. 

  7. 서종진 (2002). 수학에서 협동 학습에 관한 기초연구. 수학교육, 14, 229-250. 

  8. 송현선 (2009).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수학 교재 재구성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시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우정호 (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1. 이민찬, 길양숙 (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 (情意) 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 성취 집단별 차이. 수학교육, 37(2), 147-158. 

  12. 임소라(2012). 특성화 고등학교 수학교육의 실태및 개선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전성연, 최병연, 이흔정, 고영남, 이영미 (2010). 협동학습 모형 탐색. 학지사. 

  14. 정문성 (1995). 열린교육에서의 협동학습. 열린교육연구, 3(1), 11-21. 

  15. 정문성 (1999). 중학교 교실에서 협동학습구조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협동적 논쟁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28(0), 121-150. 

  16. 정문성 (2006).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17. 최승현, 황혜정 (2014).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8(1), 19-44. 

  18. 최승현, 황혜정, 남근천 (2013).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과 진단 평가 및 보정학습자료 개발 연구-'변화와 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409-434. 

  19. 한주, 채정현 (2011). 동기 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청소년의 성과 친구단계' 단원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4), 87-103. 

  20. 홍진곤, 조승래 (2003).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수학교육, 42(3), 327-335. 

  21. 황정규(1997). 정의적 행동특성, 사회계층, 학교성적의 인과관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사대논총, 2. 1-44. 

  22. Aronson, E. (2000). Jigsaw classroom. https://www.jigsaw.org. 

  23. Clarke, J. (1994). Pieces of the puzzle: the jigsaw method. In Sharan, S. (Ed.), Handbook of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pp. 34-50). Greenwood Press. 

  24. Doymus K., Karacop, A, & Simsek, U. (2010). Effect of jigsaw and animation technique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subjects in electrochemistry. Education Tech Research Development, 58(6), 671-691. 

  25. Davis-McGibony, C. Michele (2010). Protein-sequencing jigsaw.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7(4), 409-411. 

  26. Holliday, D. C. (2002). Jigsaw IV: using student/teacher concerns into improve jigsaw III.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465687). Retrieved from ERIC database. 

  27. Johnson, D. W., Johnson, R. T. (2009). An educational psychology success story: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nd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8(5), 365-379. 

  28. Johnson, D. W., Johnson, R. T., & Holubec, E. (2001). 학생들과 함께 하는 협동학습. (추병완 역), 서울 : 백의. (영어 원작은 1994년출판). 

  29. Johnson, D. W., Johnson, R. T., & Stanne M. B. (2000).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 meta-analysis. University of Minnesota. 

  30. Lucas, C.A. (2000). Jigsaw lesson for operation of complex numbers. PRIMUS, 10(3), 219-224. 

  31. Slavin, R. E. (1978). Student teams and comparison among equals: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student attitu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 532-538. 

  32. Slavin, R. E. (1980). Cooperative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2), 315-342. 

  33. Slavin, R. E. (1990). Student team learning in the Mathematics. In David, N.(Ed.), Using cooperative learning in the math: A handbook for teacher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4. Slavin, R. E. (1991).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71-82. 

  35. Steinbrink, J. E., & Stahl, R. J. (1994). Jigsaw lllJigsaw ll+cooperative test review: application to the social classroom. In R. J. Stahl (Ed.),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A handbook for teachers(pp. 133-153). New York: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6. Vansickle, R. L.(1994). Jigsaw II: cooperative learning with "Expert Group"specialization. In R. J. Stahl (Ed.),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A handbook for teachers(pp. 98-132). New York: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7. Yoo, S. E, & Son, H. C.(2015). A Study on Jigsaw Model Appli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J. Korean Soc. Math. Educ., Ser. D, 19(4). 195-2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