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화장용 크림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Emulsion Stability for Cosmetic Facial Cream Emulsion Using Mixed Nonionic Emulsifie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7 no.5, 2016년, pp.527 - 531  

홍인권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수인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보라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준호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승범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장품 제조의 기본원리인 유화과정은 섞이지 않는 두 액체성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한 쪽의 액체를 다른 쪽의 액체에 분산하여 안정화된 유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9), EMU-02 (HLB = 12.9), EMU-03 (HLB = 12.4), EMU-04 (HLB = 12.5)이다. 4종류의 혼합유화제 모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고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 제조 시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는 감소하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종류의 혼합유화제를 사용한 유화액 모두 층분리는 일어나지 않아 56일까지의 유화액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유화액의 점도는EMU-01 > EMU-02 > EMU-03 > EMU-04로 크게 측정되었으며, 입자 크기는 $EMU-01{\approx}EMU-02$ > $EMU-03{\approx}EMU-04$로 측정되어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할 경우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ulsification is a fundamental process of cosmetics manufacture which produces stabilized emulsion by dispersing the liquid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by adding an emulsifier in an immiscible liquid. Various types of emulsifiers can produce various cosmetic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외에도 저장 온도의 변화, 입자끼리의 반발력 측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유화액의 안정성을 규명한다[5-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 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 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유화액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조된 유화액을 25℃의 온도에서 보관한 후 8주간 유화액의 점도, 입자 크기, 입자 크기 분포 등을 측정하였다. 보관기간에 따른 유화액의 점도는 Brookfield 점도계(DV-II+ Pro, Brookfield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입자 크기 및 입자 크기 분포는 입자 크기 측정장치(Zen 3600, Malvern)와 광학현미경(KB-320, Optinit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광학현미경의 배율은 400배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 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 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각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
  • 유화액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조된 유화액을 25℃의 온도에서 보관한 후 8주간 유화액의 점도, 입자 크기, 입자 크기 분포 등을 측정하였다. 보관기간에 따른 유화액의 점도는 Brookfield 점도계(DV-II+ Pro, Brookfield Co.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화장용 크림 유화액 제조에 사용한 o/w 제형의 비이온성 유화제는 큰 HLB 값을 갖는 친수성 유화제와 작은 HLB 값을 갖는 친유성 유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Table 1과 같이 polyoxyethylene (20) stearyl ether (HLB = 15.3)과 polyoxyethylene (2) stearyl ether (HLB = 4.9), polyoxyethylene (20) oleyl ether (HLB = 15.3)과 polyoxyethylene (2) oleyl ether (HLB = 4.9),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HLB = 14.9)과 sorbitan monostearate (HLB = 4.0), 그리고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HLB = 15.0)과 sorbitan monooleate (HLB = 4.3)을 각각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각 비온성 유화제의 구조는 Figure 1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 화장용 크림 유화액 제조에 사용된 수상성분(water phase)으로는 초순수, glycerin, butylene glycol, methyl paraben을 사용 하였고, 유상성분(oil phase)으로는 mineral oil, octyldodecyl myristate (ODM), glyceryl stearate, glyceryl stearate & PEG-100 stearate, cetyl alcohol, glyceryl stearate, propylparaben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화장용 크림 유화액 제조에 사용한 o/w 제형의 비이온성 유화제는 큰 HLB 값을 갖는 친수성 유화제와 작은 HLB 값을 갖는 친유성 유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Table 1과 같이 polyoxyethylene (20) stearyl ether (HLB = 15.
  • Figure 2는 유화액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8주 동안의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는 큰 HLB 값을 갖는 친수성 유화제와 작은 HLB 값을 갖는 친유성 유화제를 각각 1.0 wt%와 0.3 wt% 혼합하여 혼합유화제로 사용하였다. 이때각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무엇을 평가하였는가?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
4종류의 혼합유화제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9), EMU-02 (HLB = 12.9), EMU-03 (HLB = 12.4), EMU-04 (HLB = 12.5)이다. 4종류의 혼합유화제 모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고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 제조 시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는 감소하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화과정은 무엇인가? 화장품 제조의 기본원리인 유화과정은 섞이지 않는 두 액체성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한 쪽의 액체를 다른 쪽의 액체에 분산하여 안정화된 유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 Nesterenko, A. Drelich, H. Lu, D. Clausse, and I. Pezron, Influence of a mixed particle/surfactant emulsifier system on water- in-oil emulsion stability, Colloids Surf. A, 457, 49-57 (2014). 

  2. J. Y. Yeon, B. R. Shin, T. G. Kim, J. M. Seo, C. H. Lee, S. G. Lee, and H. B. Pyo, A Study on emulsion stability of o/w and w/s emulsion according to HLB of emulsifier, J. Soc. Cosmet. Sci. Korea, 40(3), 227-236 (2014). 

  3. K.-Y. Kyoung and C.-K. Lee, Development and prospect of emulsion technology in cosmetics, J. Soc. Cosmet. Sci. Korea, 32(4), 227-236 (2006). 

  4. P. Yunita, S. Irawan, and D. Kania, Optimization of water-based drilling fluid using non-ionic and anionic surfactant additives, Procedia Eng., 148, 1184-1190 (2016). 

  5. K. C. Powell and A. Chauhan, Interfacial effects and emulsion stabilization by in situ surfactant generation through the saponification of esters, Colloids Surf. A, 504, 458-470 (2016). 

  6. A. Baruah, D. S. Shekhawat, A. K. Pathak, and K. Ojha,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in zwitterionic- anionic mixed-surfactant based fracturing fluids, J. Pet. Sci. Eng., 146, 340-349 (2016). 

  7. X.-Y. Shi, H. Gao, V. I. Lazouskaya, Q. Kang, Y. Jin, and L.-P. Wang, Viscous flow and colloid transport near air-water interface in a microchannel, Comput. Math. Appl., 59, 2290-2304 (2010). 

  8. J. A. K. Horwitz and A. Mani, Accurate calculation of Stokes drag for point-particle tracking in two-way coupled flows, J. Comput. Phys., 318, 85-109 (2016). 

  9. M. Frenkel, Z. Krauz, and N. Garti, Brominated surfactants as emulsifiers and weighting agent: I. Preparation and surface properties, Colloids Surf. B, 5(4), 353-362 (1982). 

  10. R. J. Hunter, Foundations of Colloid Science,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2001). 

  11. M. Koroleva, A. Tokarev, and E. Yurtov, Simulation of flocculation in w/o emulsions and experimental study, Colloids Surf. A, 481, 237-24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