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갈가자미, Tanakius kitahar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가자미과) 자어의 형태 비교
Comparative Morphology of Tanakius kitaharae and Glyptocephalus stelleri (Pleuronectidae) Larva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8 no.3, 2016년, pp.164 - 174  

장서하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정경미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 ,  박정호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김진구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자미과 (Pleuronectidae)에 속하는 갈가자미 (Tanakius Kitahar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는 성어기 뿐만 아니라 초기생활기에도 외형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오동정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종의 자어 시기의 형태발달과정을 상세히 비교하여 종 동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4~2016년 동안 동해, 남해 및 제주 근해에서 채집된 갈가자미 자어 58개체 및 기름가자미 자어 5개체를 대상으로 분자동정 및 형태 비교를 수행하였다. 갈가자미의 중기자어 (10.23~16.77 mm total length, TL)와 기름가자미의 중기자어 (14.33 mm TL)는 계측값에서 중복되나 지느러미 가장자리 흑색소포의 유무 (갈가자미는 있음 vs. 기름가자미는 없음)와 견대 뒤쪽 흑색소포열의 유무 (갈가자미는 없음 vs. 기름가자미는 있음)에서 구분되었다. 갈가자미의 후기자어 (17.12~24.92 mm TL)와 기름가자미의 후기자어 (27.71~42.67 mm TL)는 계측값에서 잘 구분되었으며, 나아가 꼬리 측면 중앙부 흑색소포군의 개수 (갈가자미는 2개 vs. 기름가자미는 5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담기골의 흑색 소포 형태 (갈가자미는 5~6개의 흑색소포군이 등간격으로 분포 vs. 기름가자미는 담기골 기부를 따라 점모양 흑색소포가 불규칙하게 분포)에서 차이를 보였다. 갈가자미 자어는 전장 23.13~24.92 mm에서 왼쪽 눈이 머리의 등쪽 정중선에 도달하는 반면 기름가자미 자어는 전장 38.66~42.67 mm에서 왼쪽 눈이 머리의 등쪽 정중선에 도달하지 못하여 변태시기에서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nakius kitaharae and Glyptocephalus stelleri, belonging to the family Pleuronectidae, were very similar in external morphology not only during adult periods, but also during larval periods. In this study, we compared larval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two pleuronectids species in detail. Fift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 2~3월 및 2016년 3~6월 동안 통영 욕지도 연안, 경상북도 영덕 연안, 동해 중·남부 근해, 제주 근해에서 채집된 갈가자미와 기름가자미 자어를 분자 수준에서 검증하였으며, 발달단계별 외부형태를 면밀히 관찰하여 자어기의 종 동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과 함께 두 종의 계통학적 관계를 추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가자미와 기름가자미의 두부 형태적 차이점은? 갈가자미와 기름가자미는 Jordan and Starks (1904)와 Schmidt (1904)에 의해 최초 Microstomus kitaharae와 Microstomus stelleri로 각각 보고되었다. 이후 Norman (1934)은 눈꺼풀에 비늘이 있고 두부 무안측에 점액강을 가지지 않은 점에 의거 M. kitaharae를 갈가자미속 (Tanakius)으로 이전하였고, 두부 무안측에 점액강이 있으며 두개골 내에 큰 구멍을 가지는 점에 의거 M. stelleri를 기름가자미속(Glyptocephalus)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Mori (1952), Chyung (1977), Sakamoto (1984), Chiu (1987), Kim and Yoon (1994), Nakabo (2013)는 이 분류체계를 따랐다.
갈가자미와 기름가자미의 두 속이 근연 관계에 있음을 나타내는 자치어기의 유사점은? 이후 Ahlstrom et al. (1984)는 갈가자미속과 기름가자미속은 자치어기에 꼬리의 등쪽과 배쪽의 가장자리부터 중앙까지 연속된 형태의 가로 띠를 가지는 점, 각 가로띠 사이의 배쪽에 흑색소포군을 가지는 점, 전새개골에 미세한 극을 가지는 점 등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두 속이 근연 관계에 있음을 제시하였다. Okiyama and Takahashi (1976)에 따르면, 갈가자미와 기름가자미의 자치어는 왼쪽 눈이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시기와 흑색소포의 모양과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Pertseva-Ostroumova (1961)와 Ahlstrom et al.
변태 완료 후 착저기에 도달하는 시기의 갈가자미의 체장은 얼마인가? 변태가 완료되고 착저기에 도달하는 시기는 갈가자미가 체장 25~27 mm (Okiyama and Takahashi, 1976; Minami, 1983), 기름가자미가 체장 40~50 mm (Okiyama, 1963)일 때로, 노랑가자미(Aritaki et al., 2000)의 전장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hlstrom, E.H., K. Amaoka, D.A. Hensley, H.G. Moser and B.Y. Sumida. 1984. Pleuronectiformes: development. In: Moser, H.G. et al. (eds.), Ontogeny and Systematics of Fishes. Am. Soc. Ichthol. Herpetol, Spec. Publ. 1. Allen Press, Lawrence, KS, pp. 640-670. 

  2. Aritaki, M., S. Suzuki and K. Watanabe. 2000. 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growth of laboratory reared barfin flounder Verasper moseri. Nippon Suisan Gakk., 66: 446-453. 

  3. Blaxter, J.H.S. 1974. The early life history of fish. Spring-Verlag Berlin, Heidelberg, 765pp. 

  4. Blaxter, J.H.S. 1984. Ontogeny, systematic and fisheries. In: Moser, H.G., W.J. Richards, D.M. Cohen, M.P. Fahay, A.W. Kendall Jr and S.L. Richardson (eds.), Ontogeny and systematic of fishes based on an international symposium dedicated to the memory of Elbert Halvor Ahlstrom. ASIH Spec. Publ. No. 1, 760pp. 

  5. Byun, S.G., S.H. Lee, J.H. Hwang, K.H. Han, K.W. Kang, J.D. Kim, Y.C. Kim and B.I. Lee. 2009. Embryonic and larva development of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Dev. Reprod., 13: 281-289. 

  6. Cha, H.K., H.C. Kwon, J.H. Yang, D.S. Chang and Y.Y. Chun. 2008.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ri (Schmidt) in the East Sea of Korea. Kor. J. Ichthyol., 20: 263-271. 

  7. Chiu, T.S. 1987. Phylogeny and zoogeography of Glyptocephalines (Pisces: Pleuronectidae). Ore. State Univ., 276pp. 

  8.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chisa, Seoul, p. 576. (in Korean) 

  9. Cooper, J.A. and F. Chapleau. 1998. Monophyly and intrarelationships of the family Pleuronectidae (Pleuronectiformes), with a revised classification. Fish. Bull. 96: 686-726 

  10. Eschmeyer, W.N., R. Fricke and J.D. Fong. 2015. Species by family/subfamily in catalog of fishes. Calif. Acad. Sci., http://researcharchive.calacademy.org/research/ichthyology/catalog/speciesbyfamily.asp. Accessed February 2016. 

  11. Fujita, S. 1965. Early development and rearing of two common flatfishes, Eopsetta grigorjewi (Herzenstein) and Tanakius kitaharai (Jordan and Starks). Nippon Suisan Gakk., 31: 258-262. 

  12.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eic Acids Symp., 41: 95-98. 

  13. Han, K.H. and Y.U. Kim. 1997a. Development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Bull. Mar. Sci. Yosu Nat. Fish. Univ., 6: 39-47. 

  14. Han, K.H., J.T. Park, D.S. Jin, S.I. Jang and J.K. Cho. 2001.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Kor. J. Ichthyol., 13: 161-165. 

  15. Ji, H.S., J.K. Kim and B.J. Kim. 2016. Molecular phylogeny of the families Pleuronectidae and Poecilopsettidae (PISCE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with a proposal for a new classification. Ocean Sci. J., 51: 299-304. 

  16. Jordan, D.S. and E.C. Starks. 1904. List of fishes dredged by the Steanler Albatross off the coast of Japan in the summer of 1900, with descriptions of new species and a review of the Japanese Macrouridae. Bull. U. S. Fish. Comm., 22: 577-630. 

  17. Kim, B.J. 2011. Fish species of Korea. In: National Institution of Biological Resources (ed),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ertebrates. Nat. Ins. Biol. Res., Incheon, pp. 54-56. 

  18. Kim, I.S. and C.H. Youn. 1994. Taxonomic revision of the flounders (Pisces: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Kor. J. Ichthyol., 6: 99-131. 

  19.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Seoul, 615pp. (in Korean) 

  20. Kim, J.K., Y.U. Kim and S.G. Byun. 2000.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Chelon lauvergnii from Korea. Kor. J. Ichthyol., 12: 137-145. 

  21. Kim, J.K., J.H. Ryu, S. Kim, D.W. Lee, K.H. Choi, T.Y. Oh, K.S. Hwang, J.N. Kim, H.J. Kwun, H.S. Ji and J.N. Oh. 2011. An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Korea. Hangeul graphics, Busan, 275pp. 

  22.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 

  23. Lee, H.W., S.J. Lee, J.H. Yang, J.B. Lee, H.K. Cha and J.K. Kim. 2014. Occurrence of eggs and larvae of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Pleuronectidae, Pisces) off Wangdol-cho, East Sea. Kor. J. Fish. Aquat. Sci., 47: 654-658. 

  24. Lee, S.J. and J.K. Kim. 201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Pleuronectidae (Pisces) eggs in the western margin of the East Sea. Ocean Sci. J., 51: 13-20. 

  25. Minami, T. 1983. The early life history of a flounder Tanakius kitaharai. Bull. Jap. Soc. Sci. Fish., 49: 527-532. (in Japanese) 

  26. Mori, T. 1952. Check list of the fishes of Korea. Hyogo Univ. Agric., Biol., 1: 1-228. 

  27. Nakabo, T. 201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3rd ed. Tokai University Press, Hadano, pp. 1675-1683 (in Japanese). 

  28. Narimatsu, Y., A. Yamanobe and M. Takahashi. 2007. Reproductive cycle, age, and body size at maturity and fecundity of female willowy flounder Tanakius kitaharai. Fish. Sci., 73: 55-62. 

  29. Nelson, J.S. 2016. Fishes of the world. 5th ed. John Wiley and Sons, Inc., Hoboken, NJ, pp. 399-400. 

  30. Norman, J.R. 1934. A systematic monograph of the flat fishes (Heterosomata). Vol. I. Psettodidae, Bothidae, Pleuronectida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London, pp. 1-459. 

  31. Okiyama, M. 1963. Young of the witch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Schmidt) at metamorphosis stages. Bull. Jpn. Sea. Reg. Fish. Res. Lab., 11: 101-108. 

  32. Okiyama, M. and K. Takahashi. 1976. Larval stages of the right eye flounders (Subfamily Pleuronectinae) occurring in the Japan Sea. Bull. Jpn. Sea. Reg. Fish. Res. Lab., 27: 11-34. (in Japanese, English abstract) 

  33. Okiyama, M. 2014.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pp. 1450-1479. 

  34. Park, K.D., J.G. Myoung, Y.J. Kang and Y.U. Kim. 2005.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ichthy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 off Tongyoung, Korea. J. Kor. Fish. Soc., 38: 385-392. 

  35. Pertseva-Ostroumova, T.A. 1961. The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far-eastern flounders. Tr. Inst. Okeanol. Akad. Nauk SSSR. Mosk., pp. 1-484. 

  36. Pushchina, O.I. 2000. Specific features of feeding of the Glyptocephalus stelleri and Acanthopsetta nadeshnyi in the northwestern Sea of Japan. J. Ichthyol., 40: 247-252. 

  37. Richardson, S.L. 1981. Pelagic eggs and larvae of the deep sea sole, Embassichthys bathybius (Pisces: Pleuronectidae), with comments on generic affinities. Fish. Bull., 79: 163-170 

  38. Russell, F.S. 1976. The eggs and planktonic stages of British marine fishes. Academic Press, London, pp. 1-524. 

  39.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40. Sakamoto, K. 1984. Interrelationships of the family Pleuronectidae (Pisces: Pleuronectiformers). Mem. Fac. Fish. Hokkaido Univ., 31: 95-215. 

  41. Schmidt, P.J. 1904. Fishes of the eastern seas of the Russian Empire. Scientific results of the Korea-Sakhalin Expedition of the Emperor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1900-1901. St. Petersburg. xi+1-466, 6pls. (in Russian) 

  42. Tamura, K., D. Peterson, N. Peterson, G. Stecher, M. Nei and S. Kumar.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43. Thompson, J.D., D.G. Higgins and T.J. Gibson.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 Acid Res., 22: 4673-4680. 

  44. Tokranov, A.M. 2008. Specific features of distribution and some features of biology of Korea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Pleuronectidae) in waters off Kamchatka in the Sea of Okhotsk. J. Ichthyol., 48: 759-769. 

  45. Ward, R.D., T.S. Zemlac, B.H. Innes, P.R. Last and P.D. Hebert. 2005. DNA barcoding Australia's fish species. Philos. Trans. R. Soc. London B., 360: 1847-18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