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서개발 과정을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 조사연구이다. 장서의 중요성과 주로 소규모장서로 운영되는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특히, 학교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중요성은 재론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학교도서관은 자료구입 예산의 부족, 사서교사의 부재 또는 과도한 업무, 관리자의 무관심과, 잦은 전출 등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장서구성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바탕하여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도서관의 장서가 실제로 어떻게 개발되고 관리되는지 그 현상적 과정을 파악하고 업무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상황을 분석하여 실천적 문제들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ge of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 in school libraries based on interviews with 20 teacher-librarians in school libraries. Library Collection is the primary element of a library and collection development is the starting point of librarians' duty. The researchers shed light on such issues as observed in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 in school libraries. Through the visits and observations such problems as aging book collections, lack of support of administrators, imbalance in subject distribution are identified.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