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의 10년간 종단적 검증
Ten-year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entally Ill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8 no.3, 2016년, pp.127 - 147  

배성우 (경북대학교) ,  박병선 (강릉원주대학교) ,  김이영 (수성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10년에 걸쳐 추적 조사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구지역의 1개 사회복귀시설에 등록한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유사실험설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험집단은 시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23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시설에 등록되어 있으나 자발적인 의사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정신장애인 23명으로 구성되었다. 초기측정 후 매 1년 간격으로 10년 동안 총 11회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선형모형(HLM)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사회재활서비스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신사회재활서비스의 효과성은 10년 동안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기간 동안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은 볼록포물선의 궤적을 나타내며 변화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한 다양한 정신사회재활서비스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그 영향력이 10년 이상 장기적으로 지속되었다. 마지막으로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10-year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by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entally il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area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단계에서 연구자가 관심이 있는 독립변수를(본 연구에서는 더미코딩 한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의 구분이 독립변수임) 모델에 산입하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거쳐 제시되는 마지막 결과물은 독립변수(개입의 정도)가 각각의 종속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치를 제공한다.
  • 다층모형의 분석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많은 연구자들은 연구의 주된 관심이 되는 독립변수를 투입하기 이전에 무조건부모형(unconditional model)의 탐색을 권장하고 있다(Hox, 2010). 본 연구는 독립 변수의 투입에 앞서, 연구대상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성장모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총 4개의 무조건부모형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Model 1은 절편만 모형화한 ‘무조건부모형’이다.
  • 본 연구는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되는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10년간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10년간 반복측정을 통하여 이들에게 제공된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 그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HLM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주요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중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상자의 경우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형태를 보이는 반면,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는 비교집단에서는 삶의 질이 감소하거나 초기치를 유지하는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장애인들이 참여하는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은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앞선 2005년과 2011년에 발표된 두 연구의 후속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총 10년에 걸쳐 제공된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실험집단의 경우, 연구대상자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의 수나 참여빈도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나 재활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별한 통제를 실시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주제는 정신장애인들이 제공받은 개별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정도와 참여빈도가 재활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이 10년 동안 제공받은 서비스의 효과를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검증하고자 함에 있음을 밝힌다.
  •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에 제시하였다.
  • 2단계에서 연구자가 관심이 있는 독립변수를(본 연구에서는 더미코딩 한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의 구분이 독립변수임) 모델에 산입하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거쳐 제시되는 마지막 결과물은 독립변수(개입의 정도)가 각각의 종속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치를 제공한다.

가설 설정

  • 불편감 영역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분석에 앞서 무조건부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7>과 같이 선형적 성장을 가정한 모형의 Deviance statistic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1차 곡선을 가정한 모형의 Deviance statistic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불편감 영역에서는 선형적 변화만을 가정한 모형을 채택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기측정치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Model 1은 절편만 모형화한 ‘무조건부모형’이다. 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삶의 질이 변화하지 않을 것임을 가정한 모형이다. Model 2는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삶의 질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함을 것을 가정한 ‘무조건부 성장모형’이며, Model 3은 1차 곡선(포물선 형태)의 변화를 가정한 ‘무조건부 1차곡선모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장애인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어떠한 지원을 하는가? 이러한 정신장애인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사회정신보건의 이념 아래 정신건강증진센터, 사회복귀시설 등을 설치하여 운영함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재활, 사회복귀를 지원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6). 특히, 대부분의 정신보건시설에서 지역사회정신건강의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서 정신사회재활모델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이 확대되었다.
삶의 질의 정의는 무엇인가? 삶의 질(Quality of Life)은 한 개인이 자원과 기회에 접근 및 건강상태뿐 아니라 자신이 생활하는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움을 느끼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Eack and Newhill, 2007), 최근 정신장애인에게 있어서 그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지표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Narvaez et al., 2008).
우리나라에서의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특히, 정신장애인의 증상완화나 기능의 회복이라는 단편적인 측면만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경험하는 주관적인 회복의 과정과 이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이라는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시각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이 두드러지고 있다(이정숙·이선영, 2014). 그러나 이러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은 다양한 개인적·임상적·사회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그중에서도 정신장애로 인해 나타나게 되는 증상, 사회적 기능의 저하, 장기적인 치료와 재활 등이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저해하는 요인들이 되고 있다(김희국,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소형, 2002,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의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삶의 질",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이영, 2006, "사회복귀시설의 통합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1년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1): 175-193. 

  3. 김이영.배성우, 2005, "사회복귀시설의 이용정도가 정신장애인의 재활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6(1): 27-50. 

  4. 김정숙.이선영.이경옥.김소영, 2013,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증진센터 서비스 이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7(2): 23-5. 

  5. 김희국, 2014,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능과 증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24(3): 65-82. 

  6. 박병선.배성우, 2013, "정신사회재활서비스 사정 및 성과 척도개발: 정신사회재활모델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1(1): 114-142. 

  7. 박병선.임성옥.배성우, 2013,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1(3): 63-92. 

  8. 보건복지부, 2016, 2016년 정신보건사업안내,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9. 배성우.김이영, 2005,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의 종단적 검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 69-94. 

  10. 배성우.김이영.손지아, 2011, "사회복귀시설 재활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7(1): 2032-225. 

  11. 서득문, 2016, "정신건강증진센터 이용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용표, 2000, "지역사회 정신보건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재활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정숙.이선영, 2014,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회복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6): 457-465. 

  14. 황태연.박찬일.이종국.고영.이명수.이우경, 2001,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정신사회재활 성과에 대한 3년간의 추적조사", 사회정신의학, 6(2): 130-138. 

  15. Bartels, S. J., and Pratt, S. I., 2009, "Psychosocial Rehabilit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Recent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22: 381-385. 

  16. Burns, T., 2007, "Evolution of Outcome Measures in Schizophrenia",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1(suppl.50), :s1-s6. 

  17. Eack, S. M., and Newhill, C. E., 2007, "Psychiatric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Schizophrenia Bulletin, 33(5): 1225-1237. 

  18. Fitzgeralda, P. B., Anthony, R. A., Castella, de., Filia, K., Collins, J., Brewer, K., Williams, C. L., Davey, P., and Kulkarni, J., 2003, "A Longitudinal Study of Patient-and Observer-rated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Psychiatry Research, 119: 55-62. 

  19. Fleury, M. J., Grenier, G., Bamvita, J. M., Tremblay, J., Schmiz, N., and Caron, J., 2013,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a Longitudinal Study of Users with Severe Mental Disorde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1: 92. 

  20. Herbener, E. S., and Harrow, M., 2001, "Longitudinal Assessment of Nega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Schizoaffective Patients, Other Psychotic Patients, and Depressed Patients, Schizophrenia Bulletin, 27(3): 527-538. 

  21. Karow, A., Wittmann, L., Schottle, D., Schafer, I., Lambert, M., 2014, "The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in Clinical Practic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16(2): 185-195. 

  22. Kumazakia, H., Kobayashia, H., Niimuraa, H., Kobayashia, Y., Ito, S., Nemotoe, T., Sakuma, K., Kashima, H., and Mizuno, M., 2012, "Lower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Anxiety Symptoms after the Discharge of Elderly Patients with Remitted Schizophrenia: A 5-year Longitudinal Study", Comprehensive Psychiatry, 53: 946-951. 

  23. Landolt, K., Rossler, W., Bruns, T., Ajdacic-Gross, V., Galderisi, S., Libiger, J., Naber, D., Derks, E. M., Kahn, R. S., and Fleischhacker, W. W., 2012, "Unmet Needs in Patients with First-episode Schizophrenia: A Longitudinal Perspective", Psychological Medicine, 42: 1461-1473. 

  24. Michalaka, E. E., Torresa, I. J., Bonda, D. J., Lama, R. W., and Yathama, L. N.,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in First episode Mania: A Longitudinal Analysis", Bipolar Disorders, 15: 188-198. 

  25. Narvaez, L. M., Twamley, E. W., McKibbin, C. L., Heaton, R. K., and Patterson, T. L., 2008, "Subjective and Objective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98: 201-208. 

  26. Pan, A. W., Chen, Y. L., Chung, L. I., Wang, J. D., Chen, T. J., and Hsiung, P. C., "A Longitudinal Study of the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Utilizing a Linear Mixed Effect Model", Psychiatry Research, 198: 412-419. 

  27. Pilling, S., Bebbington, P., Kuipers, E., Garety, P., Geddes, J., Matrindale, B., Orbach, G., and Morgan, C., 2002, "Psychological Treatments in Schizophrenia: II.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Social Skills Training and Cognitive Remediation", Psychological Medicine, 32: 783-791. 

  28. Ritsner, M. S., Arbitman, M., Lisker, A., and Ponizovsky, A. M., 2012a, "Ten-year Quality of Life Outcomes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II. Predictive value of psychosocial factors", Quality of Life Research, 21: 1075-1084. 

  29. Ritsner, M. S., Lisker, A., and Arbitman, M., 2012b, "Ten-year Quality of Life Outcomes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s: I. Predictive Value of Disorder-related Factors", Quality of Life Research, 21(5): 837-847. 

  30. Wilkinson, G., Hesdon, B., Wild, D., Cookson, R., Farina, C., Sharma, V., Fitzpatrick, R., and Jenkinson, C., 2000, "Self-report Quality of Life Measure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The SQL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7(1): 42-46. 

  31. Hox, J. J., 2010, Multilevel Analysis(2nd ed), New York: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32. Raudenbush, S. W., and Bryk, A. S., 2002,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33. Singer, J. D., and Willet, J. B., 2003,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