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섭취빈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ntake Frequency of Pohang's Local Food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5 = no.80, 2016년, pp.214 - 230  

백서영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장순옥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이연정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포항시민들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적 특성과 섭취빈도 및 기호도를 조사 연구함으로써 향토음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앞으로의 효과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포항시민들의 포항향토음식에 대한 관심도는 대체로 높게 나타났고, 향토 음식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맛과 영양으로 나타났으며, 포항향토음식 발전에 가장 필요한 것은 조리법의 표준화 및 단순화로 나타났다. 또한, 포항향토음식에 대한 가치 인식은 건강과 관련된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고, 50대 이상과 거주연한 이 26년 이상으로 오래된 집단이 가장 높은 인지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포항향토음식의 섭취빈도 및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과메기", "물회", "구룡포대게", "회국수", "모리국수", "피데기오징어", "물곰탕", "홍치밥식해", "제사밥식해", "고래고기", "개복치", "두치찜", "문어회", "물가자미무침회", "물가자미조림", "물가자미튀김", "군수 소라산적", "생미역무침", "미역귀요리", "시금장", "부추요리", "부추달걀말이", "곡강시금치", "송이요리", "노란콩잎무침", "푸른콩잎장아찌", "푸른콩잎물김치", "포항해맞이빵", "검은돌장어요리", "고추찜", "고추잎나물무침", "산나물비빔밥", "도토리묵무침", "오이미역찬국", "동동주" 등 거의 모든 항목에서 50대 이상, 26년 거주이상 집단이 가장 높은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나타내었고, 대체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연한이 길수록 높은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나타내었다. 향후 포항향토음식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홍보에 힘써야 할 것이며, 전문 판매점을 보급시킴과 동시에 전통의 맛을 유지하면서 현대감각에 맞게 개발하고 보편화시켜 세계적인 음식으로 만들고, 신세대의 입맛에 맞게 조리법의 변형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reate a momentum for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local foods and provide base line data for the presentation of future effective development direction by investigating and researching cognitive characteristics, intake frequency, and preference about local foods tar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항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인지도와 기호도, 섭취빈도 및 특성을 분석하여 향토음식을 재조명하고, 현시점에서의 보존과 개발, 전통성의 유지와 변형 필요성,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공존을 통해서 외래 방문객이 즐겨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향토음식을 발전 계승시키며, 외래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특별음식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포항시민들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적 특성과 섭취빈도 및 기호도를 조사 연구함으로써 향토음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앞으로의 포항향토음식의 효과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음식은 무엇인가? 향토음식은 그 지역의 기후나 토양 등 자연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는 그 지방의 고유한 음식으로, 그 지역의 주민들은 직간접적으로 즐겨 먹어 왔으며, 현재도 먹고 있는 음식으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는 공간적 범위 내에서 생활문 화를 바탕으로 하는 동질감의 표현이라고 할 수있다(Yoon HR 2015).
북부지방의 기후특성에 따른 음식의 맛은? 일반적으로 지방마다 음식 맛이 다른 것은 그지방의 기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북부지방은 여름이 짧고 겨울이 길어서 음식의 간이 남쪽에 비하여 싱거운 편이고, 매운맛은 덜하다. 음식의크기도 큼직하고, 양도 푸짐하게 마련하여 그 지방 사람들의 품성을 나타내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 SB, Park KT (2003).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local menus using medicinal cooked food in Chonan area.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5(2):9-22. 

  2. Hall CM, Sharples L (2003).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urism of taste.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Butterworth Heinemane 1-24. 

  3. Jang SO, Lee YJ (2009). A study of residents' recognition and tourism merchandising intention of native local foods in Yeongcheon reg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5(4):452-466. 

  4. Jin YH, Kim SH, Kim GY (2001). A study of traditional cuisine as tourism resource. Korean J culture & Tourism 3(2):49-83. 

  5. Jung WS, Hwang SJ (2014). A study on the percep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local traditional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Kyungsan city.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120-132. 

  6. Kim BL, Oh YJ (1998). A study on traditional foods in Kwangju and Chunnam areas, Korean J Tourism Information Society 1(2):195-226. 

  7. Kim GH, JO MS (2002). A study on determination factors for traditional food development in Jeju. Korean J Culture & Tourism 4(1):115-138. 

  8. Kim HC (2014).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motivation of Korean local food customers -Focus on Wando tourists-. Korean J Tourism Research 39(2):1-16. 

  9. Kim MJ, Jeon HM (2013). A study on effects of native local foods selection attributes in Gyeong- Ju area -Focusing on Byulchaeban-. Korean J Soc Tourism Management 28(5):111-129. 

  10. Ko BS, Kang SW (2004). A study on the perception for regional food in Dae-gu area.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0(4):15-30. 

  11. Lee HW (2010). A study on satisfaction degree for menu quality of the regional cuisine in Gangwon province.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6(5):1-13. 

  12. Lee SH, Park YB (2002).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 utilizable cooking peculiar of an Andong locality.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8(3):147-168. 

  13. Lee YJ (2006). The impact of recognition for local food on the frequency of visiting for local food restaurants -Focusing on residents in Kyungsangdo areas.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2(6):840-848. 

  14. Lee YJ, Choi SK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for native foods in Gyeongju area.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7(1):157-174. 

  15. Lee YJ, Kim SC (2008). A study of residents consciousness of local food menus excavation and development in Gyeongju ar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549-559. 

  16. Min K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foods and tourism merchandising in Gimje area. Korean J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4(3):295-309. 

  17. Min YH, Park GS (2010). A study perception of Kyung-Book local foods b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1):72-78. 

  18. Moon SS (2012).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 centering around Jeongeup area. Korean J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6(6):435-445. 

  19. Park GT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of native local foods -Centering around Gimhae, Gyeongnam province-.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7(2):98-110. 

  20. Shin AS (2000). A research of traditional & native local foods in Busan.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6(2):67-78. 

  21. Son YJ (2005). A stud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regional cuisine in Kyonggi province. Korean J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1(2):1-14. 

  22. Yoon HR (2015). Study on tourism customers' 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s local food and specialty agricultural products by life-style -Focus in the Yesan Region. Korean J Society of Dietary Culture 30(2):170-181. 

  23. Yoon SK (1994). Study on native local foods in Andong region. Korean J Society of Dietary Culture 9(1):61-69. 

  24. Yoon US, Song TH (1995). A study of the conciousness on the Korean folk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11(2):145-152. 

  25. http://www.ipohang.org/open_content 

  26. https://ko.wikipedia.org/wiki/ 

  27. 南出隆久(2001). 일본속의 한국음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pp 57-66. 

  28. 김상보 (2002). 생활속의 향토음식문화. 신광출판사, p413-422. 

  29. 포항시 농업기술센터 (2004). 포항전통의 맛. pp 1-7. 

  30. 한국관광공사 (1993). 향토음식 관광상품화 방안 pp 12-23. 

  31. 농촌진흥청 (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교문사, pp 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