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중국, 일본, 미국산 시판 사과식초의 관능적 품질 비교를 위한 SPME-GC/MS, 전자코 및 전자혀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ensory profiles of commercial cider vinegars from Korea, China, Japan, and US by SPME/GC-MS, E-nose, and E-tongu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5, 2016년, pp.430 - 436  

조윤희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구송이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정남혁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까오야핑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호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정민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및 미국산 시판 천연발효 사과식초의 객관적인 향미특성 평가를 위해 SPME-GC/MS, 전자코, 전자혀 및 관능적 분석 특성을 비교하였다. SPME-GC/MS 분석결과, 시판 사과식초의 공통된 휘발성분은 acetic acid 외 isovaleric acid, octanoic acid, phenethyl alcohol, phenethyl acetate 등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한국산 식초에는 acid류가, 미국산 식초에는 acetic ester류가 주된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고, 중국산 식초에는 ethyl acetate 성분이 높은 비율로 확인된 반면, 일본산에서는 acetic acid 비율이 낮았다. 한국산 및 중국산 식초는 전자코 패턴에서 독립된 패턴으로 구분되었고, 모든 식초에서 높은 함량으로 분리된 성분은 Kovats 분석을 통해 acetic acid로 예측되었다. 중국산 및 일본산 식초는 전자혀 분석에서 각각 뚜렷한 맛 패턴의 분리를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신맛이 높게 평가된 식초는 전반적 기호도에서 비교적 높은 평점을 보여주었고, 관능적 냄새, 신맛 및 단맛 항목은 각각 전자코 분석의 PC1, 전자혀의 SRS sensor 및 SWS sensor 값과 $r^2=0.83$ 이상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시판 사과식초는 전자코 및 전자혀 패턴 분석을 통해 한국, 중국, 일본 및 미국산 시료로 구분될 수 있었고, 관능적 평점은 E-sense 분석결과와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어, 관능검사를 대체할 전자코 및 전자혀 분석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lid 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electronic nose, and electronic tongue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sensory profiles of cider vinegars from Korea (K1-2), China (C1-2), Japan (J1-2), and US (U1-2). SPME-GC/MS detected acetic acid as the common vo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및 미국산 사과식초를 대상으로 사과, 사과즙, 사과농축액을 주원료로 정치배양을 거친 시판 천연발효식초의 관능적 특징을 객관적으로 알아보고, 아울러 전자코와 전자혀를 이용한 사과식초의 맛 패턴과 향기성분 분석을 통해 각국의 천연발효 사과식초 관능적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분야에서 전자센서가 사용된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전자코 및 전자혀 분석은 시료의 품질차이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구체적인 성분을 동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진 센서를 배열하여 패턴분석을 가능하게 한다(13,14). 최근 식품분야에서는 전자혀와 전자코를 동시에 이용한 관능품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53종 Barbera wine의 품질 연구(15), Italian red dry wine의 관능품질 예측(16), 사과주스의 관능품질 비교 연구(17), 쓴맛의 정도가 다른 올리브 오일의 품질비교 연구(18) 등 다양한 분야에 E-sensor가 활용되고 있다.
사과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과는 당분, 유기산, 펙틴의 함량이 높고 맛과 향이 상큼한 온대북부 과수로, 기호도가 높고 소비가 꾸준한 과일이다(1,2). 폴리페놀 등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사과는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와 같은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고, 껍질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장운동을 촉진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최근 사과는 생과뿐 만 아니라 샐러드 재료나 사과주, 사과식초, 사과주스, 사과잼 등의 가공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4).
사과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폴리페놀 등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사과는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와 같은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고, 껍질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장운동을 촉진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최근 사과는 생과뿐 만 아니라 샐러드 재료나 사과주, 사과식초, 사과주스, 사과잼 등의 가공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4). 발효식품인 식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체내 젖산을 분해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5,6), 당뇨, 비만 및 혈압상승을 방지하여 그 기능성을 주목받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hin EJ. Development of the natural apple vinegar using apple juice. MS thesis, Hoseo University, Cheonan, Korea (2011) 

  2. Hwang TY, Son SM, Lee CY, Moon KD. Quality changes of fresh-cut packaged Fuji appl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69-473 (2001) 

  3. Shin EJ, Kang BH, Lee SH, See DS, Hur SS, Shin KS, Kim SH, Son SM, Lee JM. Monitoring on alcohol fermentation properties of apple juice for appl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8: 986- 992 (2011) 

  4. Yun HJ, Lim SY, Mur JM, Jeong JW, Yang SH, Kim DH. Changes of functional compounds in,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apples,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Preserv. 14: 239-246 (2007) 

  5. Jo D, Lee HJ, Jeong YJ, Yeo SH, Kwon JH. Quality properties of pear vinegars with high-acidity under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18-424 (2014) 

  6. Jeong EJ, Jeon SY, Baek JH, Cha YJ.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vinegar beverages derived from fruits. J. Life Sci. 21: 292-299 (2011) 

  7. Joo KH, Cho MH, Park KJ, Jeong SW, Lim JH. Effects of fermentation method and brown ric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6: 33-39 (2009) 

  8. Kim YD, Kang SK, Kang SH. Studies on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aesi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695- 700 (1996) 

  9. Lee GD, Kim SK, Lee JM.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of preparation of strawberry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12-817 (2003) 

  10. Legin A, Rudnitskaya A, Lvova L, Vlasov Y, Di Natale C, D'amico A. Evaluation of Italian wine by the electronic tongue: recognition, quantitative analysis and correlation with human sensory perception. Anal. Chem. Acta. 484: 33-44 (2003) 

  11. Hayashi K, Toko K, Yamanaka M, Yoshihara H, Yamafuji K, Ikezaki H, Toukubo R. Sato K. Electric characteristics of lipidmodified monolayer membranes for taste sensors. Sens. Actuator B-Chem. 23: 55-61 (1995) 

  12. Legin A, Rudnitskaya A, Vlasov Y, Di Natale C, Mazzone E, D'Amico A. Application of electronic tongu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mineral water and wine. Electroanal. 11: 814-820 (1999) 

  13. Suh YS, Lee SH, Shang Y, Yoon JR, Lee WJ.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and flavor patterns of Coffea arabica beans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Preserv. 21: 224-230 (2014) 

  14. Noh BS.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using electronic nose and its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48-1064 (2005) 

  15. Buratti S, Benedetti S, Scampicchio M, Pangerod EC.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Italian barbera wines by using an electronic nose and an amperometric electronic tongue. Anal. Chem. Acta. 525: 133-139 (2004) 

  16. Buratti S, Ballabio D, Benedetti S, Cosio MS. Prediction of Italian red wine sensorial descriptors from electronic nose, electronic tongue and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s by means of Genetic Algorithm regression models. Food Chem. 100: 211-218 (2007) 

  17. Bleibaum RN, Stone H, Tan T, Labreche S, Saint-Martin E, Isz S. Comparison of sensory and consumer results with electronic nose and tongue sensors for apple juices. Food Qual. Prefer. 13: 409-42 (2002) 

  18. Apetrei C, Apetrei IM, Villanueva S, De Saja JA, Gutirrez-Rosales F, Rodriguez-Mendez ML. Combination of an e-nose, an etongue and an e-eye for the characterisation of olive oils with different degree of bitterness. Anal. Chem. Acta. 663: 91-97 (2010) 

  19.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s. Cary, NC, USA pp. 119-138 (1982) 

  20. Lee SW, Yoon SR, Kim GR, Kyung HK, Jeong YJ, Yeo SH, Kwon JH. Effect of nuruks and crude amylolytic enzyme on free amino acid and volatile components of brown rice vinegar prepared by static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70-576 (2011) 

  21. Yoon SR, Kim GR, Lee JH, Lee SW, Yeo SH, Jeong YJ, Kwon JH. Properti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nents in brown rice vinegar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and fermentation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7: 733-740 (2010) 

  22. Tesfaye W, GarcaParrilla MC, Troncoso AM. Sensory evaluation of sherry wine vinegar. J. Sens. Stud. 17: 133-144 (2002) 

  23. Giordano L, Calabrese R, Davoli E, Rotilio D. Quantitative analysis of 2-furfural and 5-methylfurfural in different Italian vinegars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to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using isotope dilution. J. Chromatogr. A. 1017: 141-149 (2003) 

  24. Kim GR, Yoon SR, Lee JH, Yeo SH, Jeong YJ, Yoon KY, Kwon J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Korean J. Food Preserv. 17: 616-624 (2010) 

  25. Kang NK, Jun TS, Yang YS, Kim YS.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milk using electronic nose system. J. Sens. Sci. Technol. 23: 320-325 (2014) 

  26. Saevels S, Lammertyn J, Berna AZ, Veraverbeke EA, Di Natale C, Nicolai BM. An electronic nose and a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for assessing apple quality during shelf life. Postharvest Biol. Tec. 31: 9-19 (2004) 

  27. Rudnitskaya A, Legin A, Makarychev-mikhailov S, Goryacheva O, Vlasov Y. Quality monitoring of fruit juices using an electronic tongue. Anal. Sci. 17: i309-i31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