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출산 후 체중변화와 생활양식
Body Weight Changes and Lifestyle in Women within 1 year after Childbirth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3 no.2, 2016년, pp.88 - 95  

정재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혜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효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Gestational weight gain and prepregnancy body weight are important factors of childbirth outcomes, which further cause obesity, metabolic diseases, or psychological problems later in women's lives. Changes in diet, westernized lifestyle, traditional postpartum care, and childbirth at old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산 후 모성건강의 회복이나 변화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연구나 실무에서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에 특히 임신 중 급격한 체중변화와 이로 인한 건강의 영향, 체중조절의 양상, 여성들의 생활양상 등에 대한 구체적 자료 들을 보다 다양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의 출산 후 체중감소 양상을 파악하고자 출산 후 경과 기간이 1년 이내인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과 출산과정에서 나타난 체중변화의 양상과 생활양식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임부 및 출산 후 여성들의 체중변화 현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당뇨병의 특징은 무엇인가? 무엇보다도 임신으로 인한 체중증가는 산전, 분만 중의 합병증 유발뿐 아니라 산후에도 유방암, 심질환, 당뇨병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건강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임신성 당뇨병은 비만이나 고령임부에 빈발하는데 이 여성들은 출산 후 1년에 6%, 2년에 15%, 3년에 45%가 성인 당뇨병으로 발전하고,10) 비만하지 않은 여성보다 2형 당뇨발생률이 약 8배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11) 뿐만 아니라 산후 체중증가로 인해 30~70%의 여성이 신체상과 자존감의 저하, 부부관계 손상, 우울증, 폭식, 양육능력 저하 등의 사회 ․ 심리적 문제까지 경험하기 때문에12) 출산 후 여성들의 건강회복과 관리에 보다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
임신으로 인한 체중증가가 야기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무엇보다도 임신으로 인한 체중증가는 산전, 분만 중의 합병증 유발뿐 아니라 산후에도 유방암, 심질환, 당뇨병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건강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임신성 당뇨병은 비만이나 고령임부에 빈발하는데 이 여성들은 출산 후 1년에 6%, 2년에 15%, 3년에 45%가 성인 당뇨병으로 발전하고,10) 비만하지 않은 여성보다 2형 당뇨발생률이 약 8배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여성들의 출산 후 체중 증가는 어떤 문제를 경험하게 하는가? 특히 임신성 당뇨병은 비만이나 고령임부에 빈발하는데 이 여성들은 출산 후 1년에 6%, 2년에 15%, 3년에 45%가 성인 당뇨병으로 발전하고,10) 비만하지 않은 여성보다 2형 당뇨발생률이 약 8배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11) 뿐만 아니라 산후 체중증가로 인해 30~70%의 여성이 신체상과 자존감의 저하, 부부관계 손상, 우울증, 폭식, 양육능력 저하 등의 사회 ․ 심리적 문제까지 경험하기 때문에12) 출산 후 여성들의 건강회복과 관리에 보다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Birth and death [Internet]. Seoul: 2015 [cited 2016 Jan 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2/index.board 

  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Cheongj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p. 72. 

  3. Women's Health Nursing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Women's health nursing. 8th ed. Paju: Soomoonsa; 2016. 

  4. Blackburn ST. Maternal, fetal, and neonatal physiology: a clinical perspective. 4th ed. St. Louis: Saunders; 2013. 

  5. Kim SM, Lee J, Ahn BH, Park SB, Kim KM, Kim HS, et al. A prospective study for weight changes associated with pregnancy. J Korean Acad Fam Med. 2001;22(6):895-903. 

  6. Scholl TO, Hediger ML, Schall JI, Ances IG, Smith WK. Gestational weight gain, pregnancy outcome, and postpartum weight retention. Obstet Gynecol. 1995;86(3):423-7. 

  7. Mun SH, Kim JY. A study on women's health and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fter Korean postpartum management. J Orient Obstet Gynecol. 2003;16(4):144-60. 

  8. Lim JH, Lee SL, Choi EM, Kang MJ. A study about factors influencing on postpartum body composition, change of BMI and body fat. J Orient Obstet Gynecol. 2002;15(1):175-84. 

  9. Gore SA, Brown DM, West DS. The role of postpartum weight retention in obesity among women: a review of the evidence. Ann of Behav Med. 2003;26(2):149-59. http://dx.doi.org/10.1207/S15324796ABM2602_07 

  10. Jang HC, Cho YM, Park KS, Kim SY, Lee HK, Kim MY, et al. Pregnancy outcome in Korea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gnosed by the Carpenter-Coustan criteria. J Korean Diabetes Assoc. 2004;28(2):122-30. 

  11. Nhis.or.kr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cited 2014 Oct 9].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2538 

  12. Vernon MM, Young-Hyman D, Looney SW. Maternal stress,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during new mothers' first year postpartum. Women Health. 2010;50(6):544-62. http://dx.doi.org/10.1080/03630242.2010.516692 

  13. Yun YS. Obesity in women: effect of pregnancy and menopause. J Korean Acad Fam Med. 2002;23(5):553-64. 

  14. Lee DT, Seo YS, Son YS, Moon EM, Jin YJ. Estimation of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nd its reliability for overweight middle aged women.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07;14(1):1-8. 

  15. Seo EK. A study on dietary intake, anthropometric values, blood lipids, and low-density lipoprotein size in normal and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16. Chs.cdc.go.kr [Internet]. Chu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5 [cited 2015 Jan 2]. Available from: https://chs.cdc.go.kr/chs/index.do. 

  17. Ogden CL, Carroll MD, Kit BK, Flegal KM.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ult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2011-2012. JAMA. 2014;311(8):806-14. http://dx.doi.org/10.1001/jama.2014.732 

  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besity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4 Jan 2].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9. Bautista-Castano I, Henriquez-Sanchez P, Aleman-Perez N, Garcia-Salvador JJ, Gonzalez-Quesada A, Garcia-Hernandez JA, et al. Maternal obesity in early pregnancy and risk of adverse outcomes. PLoS One. 2013;8(11):e8041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80410 

  20. El-Chaar D, Finkelstein SA, Tu X, Fell DB, Gaudet L, Sylvain J, et al. The impact of increasing obesity class on obstetrical outcomes. J Obstet Gynaecol Can. 2013;35(3):224-33. http://dx.doi.org/10.1016/S1701-2163(15)30994-4 

  21. Schummers L, Hutcheon JA, Bodnar LM, Lieberman E, Himes KP.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by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 population-based study to inform prepregnancy weight loss counseling. Obstet Gynecol. 2015;125(1): 133-43. http://dx.doi.org/10.1097/AOG.0000000000000591 

  22. Li N, Liu E, Guo J, Pan L, Li B, Wang P, et al. Maternal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ional weight gain on pregnancy outcomes. PloS one. 2013;8(12):e8231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82310 

  23. Aune D, Saugstad OD, Henriksen T, Tonstad S. Maternal body mass index and the risk of fetal death, stillbirth, and infant dea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14;311(15):1536-46. http://dx.doi.org/10.1001/jama.2014.2269 

  24. Ahn SH, Kim MO. Postpartum weight retention: patterns and related factors during 3 months postpartum.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05;9(1):19-32. 

  25. Lee SE, Lee EJ. The effectiveness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postpartum weight retention for pregnant women. Korean J Health Promot. 2004;4(2):98-109. 

  26. Stang J, Hufman LG. Position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obesity, reproduction, and pregnancy outcomes. J Acad Nutr Diet. 2016;116(4):677-91. http://dx.doi.org/10.1016/j.jand.2016.01.008 

  27. Endres LK, Straub H, McKinney C, Plunkett B, Minkovitz CS, Schetter CD, et al. Postpartum weight retention risk factors and relationship to obesity at 1 year. Obstet Gnecol. 2015;125(1):144-52. http://dx.doi.org/10.1097/AOG.0000000000000565 

  28. Soltani H, Fraser RB. A longitudinal study of maternal anthropometric changes in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women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Br J Nutr. 2000;84(1):95-101. http://dx.doi.org/10.1017/S0007114500001276 

  29. Park JY, Kim NH.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middle-aged adults. J Korean Biol Nurs Sci. 2011;13(3):245-52. 

  30. Kim HA. Influences of the parents' food habits and health beliefs on child obesit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31. Ronnberg A, Hanson U, Ostlund I, Nilsson K. Effects on postpartum weight retention after antenatal lifestyle interventiona secondary analysi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cta Obstet Gynecol Scand. 2016;95(9):999-1007. http://dx.doi.org/10.1111/aogs.129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