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mporary Definition of 'GARDEN' - Keyword Analysis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5, 2016년, pp.1 - 11  

우경숙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서주환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 환경조경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는, 정원과 성격이 비슷한 도시공원의 도입으로 인해 정원과 공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정원의 개념에 혼란이 시작되었다. 결국 정원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정원의 정의는 자연과학, 사회학 및 문화학 등 여러 분야의 총합으로 다양하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정원의 개념적 범위를 파악하여 정원과 관련된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이 연구에 사용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다른 유사한 연구, 특히 조경분야의 의미론 연구의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high interest in gardens and garden design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age of the term 'garden' is extremely varied and complex, and there has been very little academic research made on the meaning of garden.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뉴스와 블로그를 통하여 일반들이 생각하는 정원의 키워드를 도출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프로그램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였다. 두 가지 결과를 종합하여 정원의 개념적 범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에 대한 가치와 역할의 범주가 확장되고 있지만, 정원 용어에 대한 자료 및 연구가 부족하여, 정원이 라는 용어의 시대적 정의를 파악하는데 집중하였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를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의 정원 관련 연구를 통하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정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지만,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문제로 보고, 정원이라는 용어의 시대적 정의를 파악 하기 위해 신문기사와 블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원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정원의 사전적인 의미는 ‘집에 딸린 뜰이나 동산’(한국민족 문화대백과, www.naver.
사람들의 정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최근 사회적으로 정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은 정원을 단순히 자연을 보는 것이 아니라, 휴양, 체험, 교육, 먹거리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정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국가, 지자체 등에서 정원박람회, 정원 디자인 공모전, 어린이 정원 학교, 정원 아카데미, 국가 정원, 민간 정원 등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해 활동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를 문헌 연구와 빅데이터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한 정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첫째, 현대에 들어 정원은 사적인 영역보다 공적인 영역에서 이용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과거와는 다른 정원의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정원은 사적인 성격의 정주공간인 아파트, 주택 등의 공간부터 내 집 앞의 동산, 뜰 등과 같이 공적인 성격의 공원, 순천만국가정원 등 개방된 공간까지 인간 활동이 이루어지는 범주로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원은 사람들의 사적인 공간에서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실천적인 행동으로 흥미를 느끼고 도덕적인 삶을 추구하여 만족감을 높인다. 또 공적인 공간에서는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여가의 역할까지 하고 있다.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에서 전혀 다른 특징을 보이며, 영역이 확대되어 정원의 기능을 광범위하게 해석해야 한다. 정원의 기능 및 영역의 확대는 환경, 자연, 사회, 문화, 건축, 역사, 경제 등 모든 분야와 관련이 있으며, 기능을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K. Y.(1974) Housing and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 1043-1044. 

  2. An, B. W.(1987) Landscape garden planning, design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4(3): 3059-3059. 

  3. Calcagno, A. M.(2000) Conservation of historic & cultural environment 23-24 September 200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4): 85-102. 

  4. Choi, E. J. and K. P. Hong(1994)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eyeon-jong Garden, Buyong-dong Bogil-d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1): 1135-1148. 

  5. Chung, D. O.(1974) A study on Korean garden in Li Dynas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 251-262. 

  6. Chung, D. O.(1978) On the from and composition of the artificial ponds and lakes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6(1): 1001-1016. 

  7. Chung, D. O.(1982)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ditional landscape pond gardens of Korea and Japa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1): 41-62. 

  8. Jang, I. Y. and S. S. Shin(2010)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the view of complexity theor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2): 75-85. 

  9. Joo, N. C.(2009) Gardens of South Korea. Seoul: Korea University Press. 

  10.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1999) Landscape Plan. Seoul: Munundang. 

  11. Kim, B. K. and K. K. Kim(2015) Language network analysis of the cruise tourism issues. Tourism Research 40(4): 1-20. 

  12. Kim, H. G. and J. E. Yu(2011) The Yongsan Governor General Official Residence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histor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2): 118-129. 

  13. Kim, Y. D.(1995)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4): 4043-4062. 

  14. Kim, Y. M.(2007) A preliminary study of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inciples of traditional garde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2): 72-85. 

  15. Ko, J. H., A. Y. Kim, Y. G. Kim, K. J. Nam, S. J. Park, J. H. Bae, J. S. Sung, J. H. Yoo, Y. J. Lee, W. J. Jung, S. H. Ju, J. M. Choi and H. S. Hong(2010) Landscape Meet with a Text. Gyeonggi-do: Namudosi. 

  16. Kwon, J. W., E. Y. Park, K. P. Hong andM. H. Hwang(2013) Suggestions on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gardens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106-113. 

  17. Lee, W. H. and Y. K. Kim(2006) A study on the transitional aspects in designing elements of Korean gardens that reflected during mid- 19th century to mid-20th sentur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2): 56-69. 

  18. Min, K. H.(1992) Beauty of the Korean garden as perceived by five senses and its spiritual symbolis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0(2): 5-18. 

  19. Park, E. Y., S. J. Yoon, K. P. Hong and M. H. Hwang(2013) Current state of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problems aspects, in overseas countri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75-82. 

  20. Park, E. Y.(2008) Layer concept-based garden interpret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3): 1-7. 

  21. Park, E. Y.(2011)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presen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2): 28-38. 

  22. Park, J. S., W. H. Lee and Y. K. Kim(2005) A basic study on Koreanstyle house garden at Bukchon villag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3): 37-49. 

  23. Park, K. Y.(1984) Research on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 185-209. 

  24. Park, Y. D. and Y. D. Shin(1992) A study on the traditional garden style of Sang Ju distric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2): 62-75. 

  25. Shin, H. D.(2015) A study of the implemented Korean traditional garden design elements on Tashkent Seou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5): 40-54. 

  26. Shin, S. S. and B. H. Kwack(1991) Basic studies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garden in traditional dwell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9(1): 31-52. 

  27. Shin, S. S. and M. W. Lee(1998) Applic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ing techniques to the modern hous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6(3): 41-53. 

  28. Sim, J. Y. and K. J. Zoh(2015)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1-12. 

  29. Sim, W. K.(1999)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gardens in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3): 1-15. 

  30. Suh, J. H.(2000)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urie. 

  31. Woo, K. K.(1987) Appreciation the traditional garden and combining a modern landscap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6(1): 165-170. 

  32. Yoo, J. I., W. H. Lee, C. C. Paek and Y. K. Kim(2005) A study on the building background and arrangement of garden in Unbo’s hous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1): 102-113. 

  33. Yoon, K. B.(1982) A study on the garden terms in Goryeo Dynas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1): 28-40. 

  34. Yun, Y. H., K. E. Lee, B. W. Park and H. G. Cho(1990) The space organization and home garden style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8(2): 2095-2110. 

  35. ZHAOZILONG(2016) Comparing Big Data Research Trend in Korea and China by Text Mining,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36. Zoh, K. J. and J. H. Kim(2001) Characteristics of representing traditional gardens in landscape design through analyzing the entry plans of Seoul Park in Par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6): 84-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