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This study is to suggest legislation and criteria for public service drones for disaster safety in order to enhanc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rones by helping setting right direction of the R&D. Many foreign governments are now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n using drones as public service for disaster safety. Although there are also some efforts to using drones for public service in Korea, domestic laws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the drones for the purpose have not prepared yet. To set a right direction of the R&D, the laws and criteria shall be legislated and established immediately and then we can enhance the efforts to develop related technology for the drone. So this study proposed a performance criteria to fit various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by analyzing the aviation law in overseas. We hope this study can help R&D on the public service drones for disaster safety.
#drone #unmanned aerial vehicle(UAV) #public service #disaster safe #performance standards #aviation law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법안을 비교분석하여 재난안전드론에 관한 법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드론을 운용하는데 문제가 되는 법규의 문제점과 성능기준의 문제점을 시사하고 대책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드론관련 법규를 정리해보면 Table 6처럼 요약할 수 있다. 이런 국외 법규를 참고하여 국내 재난안전드론 관련 법규를 제안하고자한다. 우선 일본의 드론에 대한 고유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은 전파 혼신 발생의 우려로 드론 추락·충돌 사고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국내도 이와 같은 사고예방을 위해 이 부분은 법안 마련 및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재난안전드론 시범사업에 참여한 기종에서 도출된 각각의 성능을 기초로 하여 공통된 성능기준의 척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셋째, 고도 제한 항목의 개정이 필요성이다. 국내 산림의 평균 고도가 482 m, 국내 초고층건물의 평균 높이가 300 m 로서 안전문제가 해결된다면 고도를 상향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Fig. 2처럼 신고절차가 복잡하다는 것이다. 드론의 중량이 12 kg 초과 시에는 지방항공청에 신고를 해야하며, 고도 150 m 이상 비행할 경우에도 지방항공청의 허가가 필요하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가시거리 | 가시거리란? |
드론 조종사가 드론 본체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거리
여기서 말하는 가시거리란 드론 조종사가 드론 본체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거리를 말하며 기상상태와 같은 이유로 본체의 시야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비행이 금지되어 있다. |
재난안전드론 | 재난안전드론의 성능상 가장 큰 문제점은? |
열감지기술과 배터리 기술, 화질, 방폭 등
성능상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열감지기술과 배터리 기술, 화질, 방폭 등이 있다. |
재난안전드론 | 재난안전드론이 사람 대신 투입될 때의 이점은? |
현장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서의 상황 파악이 가능해진다. 또한, 극한 환경 및 광범위 지역 감시 분야에 활용 한다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재난현장에서 사람이 아닌 재난안전드론이 투입된다면 현장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서의 상황 파악이 가능해진다. 또한, 극한 환경 및 광범위 지역 감시 분야에 활용 한다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