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재난안전드론 도입을 위한 법규 및 성능기준 기초연구

Related Laws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Public Service Drones for Disaster Safety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legislation and criteria for public service drones for disaster safety in order to enhanc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rones by helping setting right direction of the R&D. Many foreign governments are now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n using drones as public service for disaster safety. Although there are also some efforts to using drones for public service in Korea, domestic laws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the drones for the purpose have not prepared yet. To set a right direction of the R&D, the laws and criteria shall be legislated and established immediately and then we can enhance the efforts to develop related technology for the drone. So this study proposed a performance criteria to fit various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by analyzing the aviation law in overseas. We hope this study can help R&D on the public service drones for disaster safety.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법안을 비교분석하여 재난안전드론에 관한 법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법안을 비교분석하여 재난안전드론에 관한 법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드론을 운용하는데 문제가 되는 법규의 문제점과 성능기준의 문제점을 시사하고 대책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드론을 운용하는데 문제가 되는 법규의 문제점과 성능기준의 문제점을 시사하고 대책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런 국외 법규를 참고하여 국내 재난안전드론 관련 법규를 제안하고자한다.

    국내외 드론관련 법규를 정리해보면 Table 6처럼 요약할 수 있다. 이런 국외 법규를 참고하여 국내 재난안전드론 관련 법규를 제안하고자한다. 우선 일본의 드론에 대한 고유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은 전파 혼신 발생의 우려로 드론 추락·충돌 사고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국내도 이와 같은 사고예방을 위해 이 부분은 법안 마련 및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이에 따라 재난안전드론 시범사업에 참여한 기종에서 도출된 각각의 성능을 기초로 하여 공통된 성능기준의 척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재난안전드론 시범사업에 참여한 기종에서 도출된 각각의 성능을 기초로 하여 공통된 성능기준의 척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고도 제한 항목의 개정이 필요성이다.

    셋째, 고도 제한 항목의 개정이 필요성이다. 국내 산림의 평균 고도가 482 m, 국내 초고층건물의 평균 높이가 300 m 로서 안전문제가 해결된다면 고도를 상향해야한다고 생각한다.

  • 첫째, Fig. 2처럼 신고절차가 복잡하다는 것이다.

    첫째, Fig. 2처럼 신고절차가 복잡하다는 것이다. 드론의 중량이 12 kg 초과 시에는 지방항공청에 신고를 해야하며, 고도 150 m 이상 비행할 경우에도 지방항공청의 허가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거리
가시거리란?
드론 조종사가 드론 본체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거리

여기서 말하는 가시거리란 드론 조종사가 드론 본체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거리를 말하며 기상상태와 같은 이유로 본체의 시야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비행이 금지되어 있다.

재난안전드론
재난안전드론의 성능상 가장 큰 문제점은?
열감지기술과 배터리 기술, 화질, 방폭 등

성능상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열감지기술과 배터리 기술, 화질, 방폭 등이 있다.

재난안전드론
재난안전드론이 사람 대신 투입될 때의 이점은?
현장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서의 상황 파악이 가능해진다. 또한, 극한 환경 및 광범위 지역 감시 분야에 활용 한다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재난현장에서 사람이 아닌 재난안전드론이 투입된다면 현장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서의 상황 파악이 가능해진다. 또한, 극한 환경 및 광범위 지역 감시 분야에 활용 한다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7)

  1. 1. S. R. Kim, C. S. Park, C. O. Kim, J. I. Lee, "A study on the Safety Standard for Explosion Prot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7, No. 1, pp.57-64, 1992. 3. 
  2. 2. S. W.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ostatic Eliminator and Evaluating Method of Explosion-Protection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6, pp.49-54, 2014. 
  3. 3. D. Y. Kim, S. G. Yoon, S. W. Choi, "A drone to Extinguish a Fire and Search People in the Scene of Fire", Journal of th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p.1546-1548, 2015. 
  4. 4. Ballve, M. THE DRONES REPORT: Market forecasts, regulatory barriers, top vendors, and leading commercial applications, Business Insider, 2015. 3. 27. 
  5. 5. Center for Economic Development, University of Alaska, "Unmanned Aircraft Systems: An Economiic Development Strategy for Alaska", 2015.1. 
  6. 6. AGRiP & NLC-RISC, "Use and Regulation of Drones by Local Government Entities & Schools", 2015.7. 
  7. 7. S. Y. Lim, "In the disaster site safe use of drones", Science Policy, Vol.25, No.6, pp.16-19, 2015. 
  8.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ort Press Release", Korea, 2016. 02. 22. 
  9.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AQ", Korea, 2015.10. 
  10.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viation Act, Article 23 and Article 68 of the Enforcement Rule", Korea, 2015.10. 
  11. 11. Unmanned Aircraft System Management Enforcement Rules for People, "Aviation Act", China, 2015. 
  12.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Aviation Act", Japan, 2015. 02. 
  13. 13. Transport Canada, "Aviation Act", Canada, 2015. 
  14. 14. FAA, "Modernization and Reform Act", USA, 2012 
  15. 15.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Unmanned Aerial Systems Faa Continues Progress toward Integration into the National Air-space", GAO-15-610, 2015.7. 
  16. 16. Henry H. Perritt, Jr., Eliot O. Sprague, "Drones", VAND. J. ENT. & TECH. L., Vol. 17, No. 3, 2015. 
  17. 17. Presidential Menorandum: Promoting Economic Competitiveness While Safeguarding Privacy, Civil Rights, and Civil Liberties in Domestic Use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2015.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