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손바닥선인장인 백년초(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와 천년초(Opuntia humifusa) 열매의 외관 및 성분을 비교하였다. 시료 간 외형을 장축, 단축, 중량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측정, 비교하였으며, 색도를 측정하여 외관을 비교하였다. 크기와 무게는 천년초 열매가 백년초 열매에 비해 작았으나, 단축 대비 장축의 비가 백년초 열매는 1.63, 천년초 열매는 1.90으로 천년초 열매가 백년초 열매에 비해 크기가 작은 대신 좀 더 길쭉한 모양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색도의 경우 L값과 b값은 천년초 열매가, a값은 백년초 열매가 높았는데, 열매시료간의 ${\Delta}E$값은 19.80으로 나타나 색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의 함량은 백년초 열매가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반면 조회분 함량은 천년초 열매가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식이섬유 함량은 백년초와 천년초 열매 모두 유사한 수준으로 높은 함량(52.7~53.4%)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식이섬유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알로에와 해조류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두 시료에서 K과 Ca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한국인이 주로 섭취하는 과일의 K과 Ca함량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고, Ca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된 멸치와 비슷한 Ca함량을 나타내었다.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전체 합이 천년초 열매가 백년초 열매에 비해 높았으나 필수 아미노산의 비율은 백년초 열매가 천년초 열매에 비해 소폭 높았고, 모든 시료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시료별 특성이 달랐는데, 백년초 열매의 경우 tyrosine의 함량이 높고 천년초 열매에 존재하지 않는 taurine이 존재한 반면, 천년초 열매의 경우 glutamic acid의 함량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든 시료에서 GABA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백년초와 천년초 열매가 외관특성 및 성분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손바닥선인장 열매의 가공제품 개발 시 종에 따른 외관과 성분함량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특히 손바닥선인장 열매의 경우 식이섬유와 Ca의 함량의 높아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untia humifusa fruits were investigated. The length of minor and major axis, and weight of O. ficus-indica and O. humifusa fruits were compared as the morphological featur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such as color, moisture, crude protein, ash, fat, dietary fiber, mineral, and amino aci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손바닥선인장 열매의 가공을 위해서는 이러한 종에 따른 특성들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선인장 열매를 이용한 식품 가공품 개발에 있어 종에 따른 열매의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백년초와 천년초 열매의 외관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손바닥선인장인 백년초(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와 천년초(Opuntia humifusa) 열매의 외관 및 성분을 비교하였다. 시료 간 외형을 장축, 단축, 중량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측정, 비교하였으며, 색도를 측정하여 외관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년초의 특징은 무엇인가? saboten)과 내륙지방의 천년초 선인장(Opuntia humifusa) 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백년초는 우리나라의 제주도 등지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귀화 식물로,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자라는 열대성 식물로 멕시코가 원산지이며, 높이가약 1~2 m까지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2). 반면 수 년에서 수십 년 경작이 가능한 다년생 식물인 천년초 선인장은 내륙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는 국내 토종 선인장으로,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백년초와 달리 영하 20℃의 혹한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며, 토양에서 약 30 cm 정도 높이로 자란다 (3).
백년초 열매에 꽃은 언제 피는가? 손바닥선인장의 가식부위는 크게 열매와 줄기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선인장 열매는 서양배(prickly pear)라고 명명 되며 여러 종류의 선인장에서 과실을 얻을 수 있다(4). 백년초 열매는 매년 4~5월경에 작고 파란 열매가 열려 5~6월경에는 열매에 꽃이 핀다. 이후 꽃이 지면서 열매가 커져 11~12월 경 열매가 익어 수확하게 된다.
백년초 열매는 언제 수확하게 되는가? 백년초 열매는 매년 4~5월경에 작고 파란 열매가 열려 5~6월경에는 열매에 꽃이 핀다. 이후 꽃이 지면서 열매가 커져 11~12월 경 열매가 익어 수확하게 된다. 붉은 천연 색소를 가지고 식이 섬유, 칼슘, 철분 등 무기질 성분이 풍부하고 핑크빛이 도는 빨간 열매의 상큼한 맛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ark CM, Kwak BH, Park SH, Kim H, Rhyu DY (2013)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Opuntia humifusa and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Plant Res, 26, 519-525 

  2. Lee YC, Pyo YH, Ahn CK, Kim SH (2005) Food functionality of Opuntia ficus-indica var. cultivated in Jeju island. J Food Sci Nutr, 10, 103-116 

  3. Jang SY, Kim MH, Hong G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heonnyuncho frui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365-373 

  4. Saenz C (2000) Processing technologies: an alternative for cactus pear (Opuntia spp.) fruits and cladodes. J Arid Environ, 46, 209-225 

  5. Jeon ER, Park ID (2006) Effect of Angelica plan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tter cakes and cook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62-68 

  6. Joubert E (1993) Processing of the fruit of five prickly pear cultivars grown in South Africa. International J Food Sci Technol, 28, 377-387 

  7. Kim NY, Cho AR, Jung SJ, Kim KH, Lee HJ, Lee S, Yook H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pcakes added with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8-64 

  8. Song JH, Park JS, No YJ, Choi HJ (2011)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Opuntia humifusa fruit. Korean J Food Nutr, 24, 12-16 

  9. Kim MJ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by different addition ratios of prickly pear powder during storage. M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p 1 

  10. Jung BM, Kim DS, Joo N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cookies prepared with Opuntia humifusa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1-10 

  11. Kim MH, Hong GJ (2009) Quality properties of Jeolpyun supplemented with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15-420 

  12. Cho EJ, Kim MJ, Choi WS (2007)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with added with prickly pear (Cheonnyuncho)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903-910 

  13.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14. Jung BM, Han KA, Shin TS (2011) Food components of different parts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harvested from Yeosu, Jeonnam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271-1278 

  15. Shin DS, Han GJ (2016)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nuncho (Opuntial hunifusa) stems and fruit. Korean J Food Preserv, 23, 89-96 

  16. Saenz C (2013) Chem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Opuntia spp.. In: Agro-industrial utilization of cactus pear, Saenz (Editor), FAO, Rome, Italy, p 9 

  17. Oliveira ACM, Balaban MO (2006) Comparison of a colorimeter with a machine vision system in measuring color of gulf of mexico sturgeon fillets. Appl Eng Agric, 22, 583-587 

  18. AOAC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ry, Washington DC, USA 

  19. Rodriguez R, Jimenez A, Fernandez-Bolanos J, Guillen R, Heredia A (2006) Dietary fibre from vegetable products as source of functional ingredients. Trends Food Sci Tech, 17, 3-15 

  20. Kim JH, Kim MJ, Oh HK, Chang MJ, Kim SH (2007) Seasonal variation of mineral nutrients in Korean common fruits and vegetabl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60-875 

  21. Kim IS, Lee TG, Yeum DM, Cho ML, Park HW, Cho TJ, Heu MS, Kim JS (2000)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ld air dried anchov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73-980 

  22. Jung HW, Chung H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mino acid content of cookies with GABA-enhanc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13-1820 

  23. Na HS, Kim JY, Park HJ, Choi GC, Yang SI, Lee JH (2013) Comparison of the nutrient components of figs based on their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20, 336-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