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장의 메주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king Meju (Molded Soybean) for Traditional 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5, 2016년, pp.670 - 676  

안용근 (충청대학교 식품영양학부)

초록

서기 530년부터 1950년까지의 고조리서 32권에 수록된 장 만드는 방법 중 메주 만드는 방법을 언급한 225가지 중 재료의 가열방법, 메주의 형태, 메주를 띄우는데 사용하는 용기, 덮개 및 깔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 메주의 콩이나 전분질의 가열 방법은 찌기 57가지, 삶기 58가지, 볶아 삶기 21가지, 밥짓기 2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메주의 형태는 알 41가지, 구형 27가지, 덩어리 22가지, 칼자루형 8가지, 납작형 6가지, 쪼가리형 4가지, 구멍형 1가지, 사각형 1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추장 메주 72가지 중 콩 가열 방법은 삶기 9가지, 찌기 6가지의 순이었고, 전분질의 가열방법은 떡찌기 19가지, 밥 짓기 11가지, 익반죽 삶기 5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콩메주 띄우는 용기는, 가마니 섬 섶 49가지, 독 5가지, 둥구미 멱서리 14가지, 온돌 11가지, 소쿠리 채반 광주리 7가지, 독 5가지, 흙도랑 4가지, 시루 오쟁이 3가지, 바가지 2가지, 시루 2가지, 용수 1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메주 띄우기용 덮개나 깔개는 짚 36가지, 닥나무잎 17가지, 멍석 거적 자리 15가지, 쑥 14가지, 솔잎 11가지, 콩잎 10가지, 도꼬마리잎 6가지, 북나무잎 6가지, 보릿짚 6가지, 뽕잎 6가지, 가랑잎 5가지, 띠풀 5가지, 삿자리 4가지, 헝겊 3가지, 개오동나무잎 2가지, 갈잎 1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매달기는 5가지 밖에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utensils, covers and mats that were used for making meju, the shape of meju, and the heating method used for making meju from the 225 ways of preparing jang mentioned in the 32 volumes of the ancient cook books from 530 AD to 1950. The heating method of traditional me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조리서의 조선시대 장류 메주의 재료 익히기, 메주의 형태, 메주 띄우는 용기 및 깔개 등을 조사하여 전통장 만드는 방법을 복원하고, 새로운 장을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은 메주를 잘 띄워야 한다'라는 말이 나오게 된 이유는? 그래서 장은 메주를 잘 띄워야 한다. 곰팡이가 무성하게잘 떠야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많이 생산하여 콩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많이 분해되어 감칠맛이 깊어지기 때문이다(Ann YG 2005; Jang SM 2009).
훈조가란? 훈조가(燻造價)는 메주를 공물(貢物)로 바치고 받는 댓가이다. 메주를 만드는 곳, 또는 띄우는 곳은 훈조막(燻造幕)이라고 하고, 메주콩은 훈조태(燻造太)라고 하였다.
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장은 콩으로 메주를 쑤어 곰팡이를 띄워서 소금물에 담가 곰팡이의 단백질가수분해효소가 콩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하고, 다른 효소의 작용과 발효도 병행되어 숙성된다. 그래서 장은 메주를 잘 띄워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nn YG, Woo NH. 2012. A study on the classified jang in Goryeo and Chosun Dynasty period. Korean J Food Nutr 25:460-482 

  2. Ann YG. 2005. Food Process and Preservation. pp.50-70. Hyoil 

  3. Ann YG. 2012. Jang in official and royal documents in Chosun Dynasty period. Korean J Food Nutr 25:368-382 

  4. Ann YG. 2015. Korean Traditional Jangs. pp.195-226. Kyomoonsa 

  5. Author and period unknown. Jusikbangmoon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http://ffr.krm.or.kr/base/td003/browse_bible.html) 

  6. Author unknown. 1200. Geogapilyo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72-139. Suhaksa 

  7. Author unknown. 1680. Yorok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82-288. Suhaksa 

  8. Author unknown. 1800a. Goonhakhoedeu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255-1282. Suhaksa 

  9. Author unknown. 1800b. Shieuijeonse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447-1522. Suhaksa 

  10. Author unknown. 1800c. Umsikbangmoon in National Reserch Foundation (in http://ffr.krm.or.kr/base/td003/ browse_bible.html) 

  11. Author unknown. 1800d. Jusikbangmoon in National Reserch Foundation. (in http://ffr.krm.or.kr/base/td003/ browse_bible.html) 

  12. Author unknown. 1800e. Juchan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176-1109. Suhaksa 

  13. Bang SY. 1917. Chosunyorijebeop. Sinmoonkwan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546-1626. Suhaksa 

  14. Bang SY. 1946. Chosuneumsikmandneunbeop. Daeyanggongsa. pp.385-407 

  15. Beengheogak LS. 1815a. Gyuhapchongse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578-641. Suhaksa 

  16. Bingheogak LS. 1815b. Booinpilji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526-1545. Suhaksa 

  17. Choi HG. 1830. Nongjeonghoiy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933-997. Suhaksa 

  18. Choi YJ, Cho SH, Chung RW, Kim EM, Won SI, Cha GH, Kim SH, Lee HG. 2007. Investigation of fermented soybean sauce o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23:107-123 

  19. Chosun Dynasty. 1731.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1731. 7. 22. Gyemi Danyangdaek. 1838. Umsikchaek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209-1229. Suhaksa 

  20. Danyangdaek. 1838. Umsikchaek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209-1229. Suhaksa 

  21. Duamnoin. 1752. Mincheonjipseol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381-403. Suhaksa 

  22. Ga SH. 530. Jeminyosool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55. Suhaksa 

  23. Ha SW. 1600. Jubangmoon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99-310. Suhaksa 

  24. Hong MS. 1715. Sanrimgyeongje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321-351. Suhaksa 

  25. Jang SM. 2009. The quality and potential of DHEA formation after the addition of diosgenin of yam (Dioscorea spp.)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Korean J Food Nutr 22:449-455 

  26. Jeon SE. 1450. Sangayorok in Hong KY, Yoon TS. 2004. Gonogseogukyeokchongseo. pp.89. Nongchonjinhungcheong 

  27. Jo JH. 1939. Chosunyoribeop. Kwanghanseorim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251-2318. Suhaksa 

  28. Ju K. 1400. Guseonsineunse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42-187. Suhaksa 

  29. Kang HM. 1483. Sasichanyoch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88-198. Suhaksa 

  30. Kim S. 1500. Soounjapba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98-209. Suhaksa 

  31. King of Chosun. 1784. Ilseongrok. 1784. 3. 15. Gyeogja 

  32. Lee GC. 1850. Ohjooyeonmoojangjeonsango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006-1175. Suhaksa 

  33. Lee GY. 1924. Chonsunmoossangsinsikyorijebeop. Yeongchangseorim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636-1791. Suhaksa 

  34. Lee KH, Kim ND, Yoo JY. 1997. Surve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meju for and of ka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390-396 

  35. Lee P. 1740. Somoonsaseol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374-380. Suhaksa 

  36. Lee SJ. 1596. Daedushi. Bonchogandmok. pp.876-879. in Gomoonsa. 1998 

  37. Lee SM. 1934. GanpyeonChosunyorijebeop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1931-1974. Suhaksa 

  38. Lee SM. 1935. Shinyoengyangyoribeop. Singookseorim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009-2076. Suhaksa 

  39. Lee SY, Park NY, Kim JY, Choi H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depending during fermentation by differently shaped meju and adding starter. Korean J Food Nutr 25: 505-512 

  40. Park JG. 1778. Bookhakeu 

  41. Park SD. 1676. Saekkyeong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279-281. Suhaksa 

  42. Seo YG. 1827. Imwonshipyookjee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642-794. Suhaksa 

  43. Son M. 1103. Keyrimyoosa 

  44. Wang SJ. 1621. Goonbangbo 

  45. Yoo JL. 1766. Jeungbosanrimgyeongje in Lee SW. 1992. Collections of Korea Classic Food Books. pp.404-458. Suhaksa 

  46. Yoo JY, Kim HG, Kim WJ. 1998.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in Kangweondo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908-915 

  47. Yoo JY, Kim HG. 1998.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jus of nation-wide colle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259-267 

  48. Yoon W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manufacture with various soybeans. MS Thesis, Kyungpook Univ.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