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단량체를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물리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ontaining Functional Monomers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3 no.5, 2016년, pp.347 - 353  

유룡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이서호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박원호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s) were prepared using functional monomers such as 2-carboxyethyl acrylate (${\beta}$-CEA) and acrylic acid (AA) to control the degree of crosslinking. Acrylic PSAs with differen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T_g$) were prepared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단량체 중에 카르복시기를 가지며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β-CEA를 이용하여 첨가량을 증가시켜 가교점을 많이 가질 수 있는 점착제를 공중 합하고 분자량과 유리전이온도 차이에 따른 물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Figure 5는 유리전이온도 차이가 있는 점착제의 경화제량에 따른 박리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a), (b) 모두 경화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박리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점착제의 경우 경화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박리강도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접착에 영향을 미치는 분자의 유연성 즉, 젖음성이 증가하여 박리강도가 향상되었다가 경화제량이 증가하여 가교도가 증가함으로써 응집이 향상되어 젖음성이 감소함에 따른 현상이다.
  • Figure 1은 경화제의 양에 따른 박리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1(a), (b)는 경화제량이 증가할수록 박리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경화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점착제에서 가교도가 높아지면서 점착제가 딱딱해지고 이로 인한 젖음성이 감소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접착보다는 응집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 이것은 접착면에 대 한 점착제의 접착에 관계되는 젖음성이 점착제가 두꺼울 수 록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Figure 3(b)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점착제의 두께에 의해 증가하던 젖음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점착제 두께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진국에서는 어떤 점착제 소재를 개발하고 상품화하고 있는가? 이러한 점착제는 현대의 산업구조가 전기·전자, 자동차, 환경, 정밀화학 및 바이오산업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수요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점착제의 수요도 다변화되어 미국, 유럽 및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점착제의 본래 기능인 점착성 이외에도 내열성, 내구성, 내수성 등의 성능 면이나 전도성, 난연성, 혐기성 등의 기능면에서 또는 환경친화적이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기능성 점·접착 소재를 꾸준히 개발하여 이미 상품화하고 있으며, 전 세계 접착제시장의 85%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국제적인 환경규제, 인건비 상승과 다양한 소비자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환경친화적인 점착제 및 우주·항공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고기능성 첨단산업용 점착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7].
ASTMD903-49 규정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박리강도 측정 과정은? 점착테이프의 박리강도(peel strength) 측정은 ASTM D903-49 규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SAFT(shear adhesion failure temperature)는 온도가 상승하는 가운데 일정한 전단력(shear load)에 대한 열 저항성을 나타낸다. 규격화된 크기로 자른 점착테이프를 SUS304에 2 kg의 고무 롤러로 1회 압착시켜 부착 후 20−30분 경과한 후 1 kg의 무게를 가하고, 0.4 °C/min의 속도로 온도를 상승시켜 점착 테이프가 피착면에서 떨어질때의 온도를 측정하였다[13−17].
점착제란?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adhesive, PSA)라고도 하며, 물, 용제, 빛, 열 등의 다른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지압과 같은 극히 작은 압력으로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착이 가능하고, 이것을 다시 떼어낼 경우에 피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쉽게 떨어지는 접착제로 정의된다. 이러한 점착제는 현대의 산업구조가 전기·전자, 자동차, 환경, 정밀화학 및 바이오산업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수요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M. Sun, M. L. Li, and A. Liu, "A Review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Int. J. Adhes. Adhes., 2013, 41, 98-106. 

  2. E. Sarlin, E. Heinonen, J. Vuorinen, M. Vippola, and T. Lepisto, "Adhesion Properties of Novel Corrosion Resistant Hybrid Structures", Int. J. Adhes. Adhes., 2014, 49, 51-57. 

  3. A. J. Crosby and K. R. Shull, "Adhesive Failure Analysi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1999, 37, 3455-3472. 

  4. A. Ramachandran, T. H. Anderson, L. G. Leal, and J. N. Israelachvili, "Adhesive Interactions between Vesicles in the Strong Adhesion Limit", Langmuir, 2011, 27, 59-73. 

  5. Z. Czech and R. Pelech, "The Thermal Degradation of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Based on Butyl Acrylate and Acrylic Acid", Prog. Org. Coat., 2009, 65, 84-87. 

  6. H. Murakami, K. Futashima, M. Nanchi, and S. I. Kawahara, "Unique Thermal Behavior of Acrylic PSAs Bearing Long Alkyl Side Groups and Crosslinked by Aluminum Chelate", Eur. Polym. J., 2011, 47, 378-384. 

  7. Z. Czech, A. Kowalczyk, R. Pelech, R. J. Wrobel, L. Shao, Y. Bai, and J. Swiderska, "Using of Carbon Nanotubes and Nano Carbon Black for Electrical Conductivity Adjustment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Int. J. Adhes. Adhes., 2012, 36, 20-24. 

  8. F. Robertson, Y. Wang, and H. Rosing, "An Oligomeric Switch that Rapidly Decreases the Peel Strength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t. J. Adhes. Adhes., 2014, 55, 64-68. 

  9. D. Sowa, Z. Czech, and L. Byczynski, "Peel Adhesion of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on Selected Substrates Versus Their Surface Energies", Int. J. Adhes. Adhes., 2014, 49, 38-43. 

  10. S. M. Sun, M. L. Li, and A. Liu, "A Review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Int. J. Adhes. Adhes., 2013, 41, 98-106. 

  11. A. Diethert, V. Korstgens, D. Magerl, K. Ecker, J. Perlich, S. V. Roth, and P. Muller-Buschbaum, "Structure and Macroscopic Tackiness of Ultrathi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s",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2, 4, 3951-3958. 

  12. A. Diethert, K. Ecker, Y. Peykova, N. Willenbacher, and P. Muller-Buschbaum, "Tailoring the Near-surface Composition Profiles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s and the Resulting Mechanical Properties",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1, 3, 2012-2021. 

  13. Y. Peykova, O. V. Lebedeva, A. Diethert, P. Muller-Buschbaum, and N. Willenbacher, "Adhesive Properties of Acrylate Copolymers: Effect of the Nature of the Substrate and Copolymer Functionality", Int. J. Adhes. Adhes., 2012, 34, 107-116. 

  14. M. S. Yang, S. W. Ko, and H. J. Choi, "Anti-static Additive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Its Effect on Light Leakage in Liquid Crystal Display", J. Ind. Eng. Chem., 2010, 16, 162-165. 

  15. A. K. Singh, D. S. Mehra, U. K. Niyogi, S. Sabharwal, and G. Singh, "Breathability Studies of Electron Beam Curable Polyureth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Bio-medical Application", Radiat. Phys. Chem., 2014, 103, 75-83. 

  16. B. Pang, C. M. Ryu, and H. I. Kim, "Effect of Naphthyl Curing Agent Having Thermally Stable Structure on Properties of UV-cur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 Ind. Eng. Chem., 2014, 20, 3195-3200. 

  17. Y. Peykova, S. Guriyanova, O. V. Lebedeva, A. Diethert, P. Muller-Buschbaum, and N. Willenbacher,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Adhesive Properties of Acrylate Copolymers", Int. J. Adhes. Adhes., 2010, 30, 245-254. 

  18. G. H. Park, K. T. Kim, Y. T. Ahn, H. I. Lee, and H. M. Jeong, "The Effects of Graphene on the Properties of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J. Ind. Eng. Chem., 2014, 20, 4108-4111. 

  19. T. Staicu, M. Micutz, and M. Leca, "Electrostatically and Electrosterically Stabilized Latices of Acrylic Copolymers Used as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rog. Org. Coat., 2005, 53, 56-62. 

  20. F. Zhang, H. P. Wang, C. Hicks, X. Yang, B. E. Carlson, and Q. Zhou, "Experimental Study of Initial Strengths and Hygrothermal Degradation of Adhesive Joints between Thin Aluminum and Steel Substrates", Int. J. Adhes. Adhes., 2013, 43, 14-25. 

  21. D. Satas,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2nd eds., Van Nostrand Reinhold Co., 1989. 

  22. D. Satas, "Handbook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3rd eds., Van Nostrand Reinhold Co.,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