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에서 종 분포 모델을 이용한 두 침입외래식물,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 예측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i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3 no.3, 2016년, pp.189 - 200  

이승현 (한국환경공단)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우주 (인하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종분포 모델은 어떤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이 어떻게 확장되고 어떤 환경 요인이 이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두 침입외래종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과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의 분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종의 현재의 분포지에서 기후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이 두 종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Maxent (the maximum entropy) 모델을 이용하였다. 이 두 종의 출현 자료는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와 우리나라의 식물종 데이터베이스에서, 생물기후 자료는 WorldClim 자료로부터 얻었다. 모델을 수행한 결과, 자생지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 결과보다 전지구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이 연구 대상종의 잠재적 분포지를 잘 설명하였다. 이들 종의 분포에 기여한 기후환경 요인으로서 돼지풀에서는 최건월의 강수량과 연평균온도가, 물참새피에서는 연평균온도와 최한사분기의 평균온도가 선정되었다. Maxent 종분포 모델은 외래종의 침입을 예측하고 이들의 확산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would b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how invasive alien species spread over the country and what environmental variables contribute to their distribu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wo invasive alien species, the common ragweed (Ambr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3)에 중점을 두고 있고, 잠재적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종 분포 모델을 적용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Cho and Lee 2015).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교란 생물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분포지 유형이 상이한 외래침입식물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과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를 대상으로 자생지, 전지구, 한반도의 공간규모에서 분포를 파악하고, 기후 환경요인을 변수로 하는 종 분포 모델을 적용하여 한반도에서 이들의 잠재적인 분포지역을 예측하고, 이들 식물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기후 환경요인을 식별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표본 위치정보와 기후 환경요인을 변수로 하는 Maxent 방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에서 분포 유형이 상이한 외래침입식물인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인 분포지역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두 종에 적용한 Maxent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AUC (수신자 조작 특성 곡선의 아랫부분 면적) 값이 모두 0.
  • 본 연구에서는 표본 위치정보와 기후 환경의 자료를 이용하여 종 본포 모델로 한반도에서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 분포지를 예측하였는데, 이 두 종의 현재 분포지가 서로 상이한 것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후 환경요인만을 환경변수로 사용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 연구 대상종이 외래식물인 점에 착안하여 이들의 자생지에서 분포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생육가능지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자생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한반도에서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를 예측한 것이 이들 식물이 도입된 지역까지 포함한 전세계에서 위치 정보를 이용한 것보다 실제 한반도에서 이들의 분포를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우리나라에 외래식물이 얼마나 있다고 보고되었는가? 2000). 최근 우리나라에서 외래식물은 40과 321종이 분포한다고 보고되었다 (Lee et al. 2011).
침입외래종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이중에서 환경부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식물 14종을 ‘생태계교란 생물’로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내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침입외래식물은 고유식물에 대한 경쟁배타에 의한 고유종의 감소와 멸종, 생태계 다양성 파괴 및 고유 식생 파괴와 교란에 의한 생육 기반 훼손, 교잡에 의한 유전적 혼돈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isholm 2009).
침입외래종이란 무엇인가? 침입외래종 (invasive alien species, IAS)은 정상적으로는 발견되지 않는 자연 환경에 우연히 또는 의도적으로 도입된 생물로서, 새로운 환경에서 확산 능력이 켜서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한다 (Richardson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ustin, M. 2007.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cological theory: A critical assessment and some possible new approaches. Ecological Modelling 200: 1-19 

  2. Barnes, M.A., Jerde, C.L., Wittmann, M.E., Chadderton, W.L., Ding, J., Zhang, J., Purcell, M., Budhathoki, M. and Lodge, D.M. 2014. Geographic selection bias of occurrence data influences transferability of invasive Hydrilla verticillata distribution models. Ecology and Evolution 4: 2584-2593. 

  3. Beaumont, L.J., Gallagher, R.V., Leishman, M.R., Hughes, L. and Downey, P.O. 2014. How can knowledge of the climate niche inform the weed risk assessment process? A case study of Chrysanthemoides monilifera in Australia. Diversity and Distributions 20: 613-625. 

  4. Bernez, I., Ferreira, M.T., Albuquerque, A. and Aguiar, F. 2005. Relations between river plant richness in the Portuguese floodplains and the widespread water knotgrass (Paspalum paspalodes). Hydrobiologia 551: 121-130. 

  5. Cha, S.H., Kim, W.H. and Kim, J.H. 2002.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ermination of seeds in Ambrosia arfemisiifolia var. elatior.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5: 163-170. (in Korean) 

  6. Chisholm, R. 2009. The ecology, economics, and management of alien invasive species. In, Levin, S.A. (ed.), The Princeton Guide to Ec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USA. pp. 731-739. 

  7. Cho, K.-H. and Lee, S.H. 2015.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 waterfront alien plant,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 206-215. (in Korean) 

  8. Cho, K.H. and Shin, D.H. 2001.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with geomorphology and disturbance in the riparian zone of Seunggi Stream, Incheo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 273-280. (in Korean) 

  9. Dullinger, S., Kleinbauer, I., Peterseil, J., Smolik, M. and Essl, F. 2009. Niche based distribution modelling of an invasive alien plant: Effects of population status, propagule pressure and invasion history. Biological Invasions 11: 2401-2414. 

  10. Elith, J. and Leathwick, J.R. 2009.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ogical explanation and prediction across space and time.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40: 677-697. 

  11. Elith, J., Graham, C.H., Anderson, R.P., Dudik, M., Ferrier, S., Guisan, A., Hijmans, R.J., Huettmann, F., Leathwick, J.R., Lehmann, A., Li, J., Lohmann, L.G., Loiselle, B.A., Manion, G., Moritz, C., Nakamura, M., Nakazawa, Y., Overton, J.M., Peterson, A.T., Phillips, S.J., Richardson, K., Scachetti-Pereira, R., Schapire, R.E., Soberon, J., Williams, S., Wisz, M.S. and Zimmermann, N.E.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 129-151. 

  12. EU COST. 2014. Sustainable Management of Ambrosia artemisiifolia in Europe (SMARTER). Europ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http://www.ragweed.eu. Assessed 26 October 2014. 

  13. GBIF. 2014.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http://www.gbif.org. Assessed 16 January 2014. 

  14. Guisan, A. and Thuiller, W. 2005.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 offering more than simple habitat models. Ecology letters 8: 993-1009. 

  15. Huang, W.Z and Hsiao, A.I. 1987. Factors affecting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Paspalum distichum. Weed Research, UK 27: 405-415. 

  16. ISSG. 2014.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The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the Species Survival Commission (SSC) of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http://www.issg.org/database/welcome/. Assessed 13 October 2014. 

  17. Kim, Y.H., Kil, J.H., Hwang, S.M. and Lee, C.W. 2013.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s in Korea. Weed & Turfgrass Science 2: 138-151. (in Korean) 

  18. KMA. 2012.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81-20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in Korean) 

  19. KNA. 2014.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Korea National Arboretum. http://www.nature.go.kr. Assessed 22 January 2014. (in Korean) 

  20. Kumar, C.R.A and Mittal, D.D. 1993. Habitat preference of fishes in wetlands in relation to aquatic vegetation and water chemistry. Journal of the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90: 181-192. 

  21. Lee, H.J., Kim, Y.O. and Chang, N.K. 1997. Allelopathic effects on seed germination and fungus growth from the secreting substances of some plant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0: 181-189. 

  22.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 87-101. (in Korean) 

  23. Leiblein-Wild, M.C., Kaviani, R. and Tackenberg, O. 2014. Germination and seedling frost tolerance differ between the native and invasive range in common ragweed. Oecologia 174: 739-750. 

  24. Lim, D.O and Hwang, I.C. 2006.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 ology 20: 281-288. (in Korean) 

  25. Middleton, B.A. 1998. The water buffalo controversy in Keoladeo National Park, India. Ecological Modelling 106: 93-95. 

  26. NIER. 2012. Invasive Alien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27. Okuma, M and Chikura, S. 1984. Ecology and control of subspecies of Paspalum distichum L., Chikugo suzumenohie, growing in creeks in the paddy area on the lower reaches of the Chikugo River in Kyushu. 4. Possibility of reproduction by seeds. Weed Research, Japan 29: 45-50. 

  28. Padalia, H., Srivastava, V. and Kushwaha, S. 2014. Modeling potential invasion range of alien invasive species, Hyptis suaveolens (L.) Poit. in India: Comparison of MaxEnt and GARP. Ecological Informatics 22: 36-43. 

  29. Phillips, S.J. 2013. Maxent Software for Species Habitat Modeling, version 3.3.3k. http://www.cs.princeton.edu/-schapire/maxent/. Assessed 13 October 2014. 

  30. Phillips, S.J., Anderson, R.P. and Schapire, 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31. QGis DT. 2014. Quantum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ttp://www.qgis.org. Assessed 26 October 2014. 

  32. Qin, Z., DiTommaso, A., Wu, R.S. and Huang, H.Y. 2014. Potential distribution of two Ambrosia species in China under projected climate change. Weed Research, UK 54: 520-531. 

  33. Richardson, D.M., Pysek, P., Rejmanek, M., Barbour, M.G., Panetta, F.D. and West, C.J. 2000. Naturalization and invasion of alien plants: concepts and definition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6: 93-107. 

  34. Shibayama, H. 1988. Ecology of aquatic weeds in creeks of the paddy growing area in the lower reaches of the Chikugo river. Bulletin of the Kyushu National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25: 1-75. 

  35. Smolik, M.G., Dullinger, S., Essl, F., Kleinbauer, I., Leitner, M., Peterseil, J., Stadler, L.-M. and Vog, G. 2010. Integrat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interacting particle systems to predict the spread of an invasive alien plant. Journal of Biogeography 37: 411-422. 

  36. Stroh, H.G. 2006. Contribution to the ephemeral wetland vegetation along riverbanks and lakeshores of Western Thrace (NE Greece). Tuexenia 26: 353-388. 

  37. Swets, J.A. 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240: 1285-1293. 

  38. Tererai, F and Wood, A.R. 2014. On the present and potential distribution of Ageratina adenophora (Asteraceae) in South Africa.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95 (5):152-158. 

  39. Thuiller, W., Richardson, D.M., Pysek, P., Midgley, G.F., Hughes, G.O. and Rouget, M. 2005. Niche-based modelling as a tool for predicting the risk of alien plant invasions at a global scale. Global Change Biology 11: 2234-2250. 

  40. USDA. 2014. The PLANTS Database. National Plant Data Tea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Greensboro, NC 27401-4901, USA. http://plants.usda.gov.Assessed 26 October 2014. 

  41. Wang, R and Wang, Y.Z. 2006. Invasion dynamics and potential spread of the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Ageratina adenophora (Asteraceae) in China.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2: 397-408. 

  42. Weber, E. 2003. Invasive Plant Species of the World: a Reference Guide to Environmental Weeds. CABI Publishing, Wallingford, UK. 

  43. WorldClim. 2014. WorldClim-Global Climate Data. http://www.worldclim.org. Assessed 13 October 2014. 

  44. Yang, X.Q., Kushwaha, S.P.S., Saran, S., Xu, J.C. and Roy, P.S. 2013. Maxent modeling for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 Justicia adhatoda L. in Lesser Himalayan foothills. Ecological Engineering 51: 83-87. 

  45. Zimmermann, N.E., Edwards Jr., T.C., Graham, C.H., Pearman, P.B. and Svenning, J.-C. 2010. New trends in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Ecography 33: 985-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