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식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Food Culture Education Textbook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5, 2016년, pp.415 - 425  

이정숙 (고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textbook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food culture and languag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Methods: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textbooks and researches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dietary life related contents were ex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과 같이 교육내용 구성안을 설계하였다.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교재의 주제와 관련된 학습자들의 경험을 상기시키고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킨다면 내용 이해도가 향상될 수 있으므로[42] 제시부분에서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여 교육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질문을 통해 주제 도입을 하고 실물이나 사진으로 문화 내용을 예측하여 학습자들이 발표하게 하여 학습자들이 발표한 것과 본문의 내용이 어떻게 연관되는지 설명함으로써 배경지식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생각된다.
  • 활동수행단계에서는 만드는 법을 단계별로 사진과 설명을 함께 제시하였다. 기존의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요리법 설명 에서는 지나치게 과정을 단순하게 설명하고 있는 반면, 본 교재에서는 필요한 과정은 반드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음식이 완성되면 상차리기와 보관법을 숙지시키고, 완성된 음식을 시식하며 맛에 대해 품평하고 다른 조의 맛과도 비교해 보도록 하였다.
  • 그러나 기존의 결혼이주여성 대상 교재는 조리방법이나 재료손질에 관련된 내용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자료들이 부족하여, 조리 방법을 학습하고자하는 초급 수준의 학습자에 게는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교재에서는 재료뿐만 아니라 조리도구를 사진으로 제시하였고, 조리에 필요한 어휘는 실연을 통해 설명하도록 하였다.
  • 교육대상이 주부로서 가사를 책임져야하는 결혼이주여성이므로 많은 시간을 학습에 할애할 수 없는 형편인 점과 전통 음식문화 교육 시 우선적으로 한국어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고, 전문용어를 사용하기 보다는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이해 하기 쉬운 일상용어를 사용해야 할 것이라는 분석[11,16]을 감안하였다. 또한 선행연구[11-17]와 한식조리서[30-35]를 참고로 하여 한국 식문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식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사회에 빠르게 적응하게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한국식문화 이해의 관점에서 연구된 실질적인 교육 방안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이주 초기의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문화 적응 측면에서 필요한 한국의 식생활문화를 단편적인 음식만들기에 국한하지 않고, 식생활 전반에 걸친 문화적 요소들을 통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한 교육교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 양적평가는 생산성과 효율성에 주로 초점을 두고 있어 이를 통해 참여자의 의미 있는 경험과 변화를 찾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양적분석으로 파악할 수 없는 참여자들의 학습한 경험과 본 교재의 학습을 통해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는지를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36,37].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음식문화 학습경험에 관한 조사를 위해 연구자 소속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1040549-160119-SB-0107-01)을 받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이주 초기의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문화 적응 측면에서 필요한 한국의 식생활문화 학습을 단편적인 음식만들기에 국한하지 않고, 식생활 전반에 걸친 문화적 요소들을 통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한 교육교재를 개발 하고자 실시되었다.
  • 결혼이주여성들은 일반가정식을 배우기를 원하고 있으므로[12,15,16,30,31], 한식조리서[32-35]를 참고로 하여 일반가정식을 목록화한 후 조리과정이 기본적이며 응용가능 성이 큰 음식을 우선 선정하였다. 조리과정이 기본적이거나 기본적인 식생활에 필요한 음식에서부터 조리과정이 복잡하고 어휘가 어려운 음식의 순으로 배치하고자 하였다. 결혼 이주여성 대상 교재 분석에서 조리법이 너무 단순화되어 학습하기가 힘든 점이 지적되었으므로 조리법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지 않고 필요한 최소한의 조리과정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자들이 느끼는 어려움은? 결혼이주자들이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고 안정된 삶을 영위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나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에 대한 기본정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오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낯선 환경에서 오는 적응의 어려움과 언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그리고 생활양식과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질 문화에 대한 한국인들의 배타적인 태도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또한 매우 크다[2].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일상식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교재는 한국어 초급에서 중급정도의 결혼이주여성을 교육 대상으로 하여 30가지 일상식을 담은 30단원으로 구성하였다. 선정한 음식은 콩나물무침, 애호박나물, 시금치나물, 무생채, 콩나물국, 미역국, 소고기무국, 된장찌개, 김치찌개, 북엇국, 오이미역냉국, 멸치조림, 감자조림, 콩조림, 두부조림, 불고기, 생선구이, 김치전, 동태전, 비빔밥, 잡채, 해물파전, 소고기장조림, 닭찜, 떡국, 팥밥, 팥죽, 삼계탕, 배추김치, 깍두기 등이다.
식품섭취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해야할 당면 과제 가운데 하나가 음식문화의 적응이다. 식품섭취는 개인의 생명유지 및 건강, 가족화합, 자녀양육 등 광범위한 범위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주여성들의 음식에 대한 적응은 단순히 새로운 음식을 잘 먹느냐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주부로서의 역할 문제 및 가족갈등에도 영향을 미친다[3]. 결혼이주여성의 식문화적응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의 향후 보건상태 및 질병 유병율과도 관련성이 있고, 가정의 화목, 정신적·신체적으로 건강한 자녀양육, 바람직한 다문화사회 구축 및 사회통합을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한국식문화의 적응을 도와주는 방안의 구축은 절실하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Statistics Korea. 2015 Statistical year book of immigration service on foreign policy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Apr 10].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 

  2. Lee CJ, Kim SG. Soci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of female foreign immigrants in Korea. Korean J Fam Welf 2010; 15(4): 73-91. 

  3. Park YS, Chung YS. Korean traditional food perception and cultural aspect of Korean Mongolian housewives. Korean J Food Cult 2005; 20(1): 35-43. 

  4. Asano K. Yoon JH, Ryu SH.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4): 317-327. 

  5. Kim JH. A study on the dietary patterns affecting acculturation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in urban area.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15; 27(4): 173-189. 

  6. Cho HR. Teaching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beginning learners. J Korean Lang Educ 2000; 11(1): 153-173. 

  7. Lee MH. Teaching Korean through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a teaching plan that considers integrating aspects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culture education. J Korean Lang Cult 2004; 1(1): 143-163. 

  8. Moon KH.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cuisine vocabulary learning for femal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Lang Cult 2013; 9(1): 45-71. 

  9. Heo EH. A study of food word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Lang Cult 2012; 8(1): 207-229. 

  10. Choi WS. A study on the social-cultural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J Asian Women 2007; 46(1): 141-181. 

  11. Kim JE, Kim JM, Seo SH.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2011; 44(4): 312-325. 

  12. Kang YJ, Jeong HS.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to design educational plans. Korean J Food Cult 2013; 28(3): 246-260. 

  13. Kim SH, Kim WY, Lyu JE, Chung HW, Hwang JY.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22-30. 

  14. Kim JM, Lee NH.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2009; 15(4): 405-418. 

  15. Lee JS.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6): 807-815. 

  16. Han YH, Shin WS, Kim JN.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Comp Korean Stud 2011; 19(1): 115-159. 

  17. Cho YA. A study on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risk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in Korea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10. 

  18. Park YI, Jeong HS, Joo NM. A study on multi-cultural family wives adapting to Korean cuisine and dietary patterns. Nutr Res Pract 2010; 4(5): 405-413. 

  19.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Korean with Marriage Immigrants 1. Seoul: Hangulpark; 2010. p. 1-223. 

  20.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Korean with Marriage Immigrants 2. Seoul: Hangulpark; 2010. p. 1-252. 

  21. Kang HH, Kim SJ, Hwang IG. Korean with Marriage Immigrants 3. Seoul: Hawoo Publishing; 2011. p. 1-238. 

  22. Choi EG, Lee MH, Lee YS. Korean with Marriage Immigrants 4. Seoul: Hawoo Publishing; 2011. p. 1-240. 

  23. Lee MH, Kang HH, Kim SJ, Choi EG, Kim HJ. Korean with Marriage Immigrants 5. Seoul: Hawoo Publishing; 2012. p. 1-269. 

  24. Lee MH, Kang HH, Kim SJ, Choi EG, Kim HJ. Korean with Marriage Immigrants 6. Seoul: Hawoo Publishing; 2012. p. 1-271. 

  25. Cho SK, Ko SH, Kim MA, Kim CJ, Woo IH, Woo CH et al. My Mom's Korean Language. Seoul: Ministry of Agriculture; 2007. p. 1-267. 

  26. Lee JH, Kim JS, An KH, Lee YS, Cho HY.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elementary level 1. Seoul: Korean Immigration Service Foundation; 2015. p. 1-208. 

  27. Lee JH, Kim JS, An KH, Lee YS, Cho HY.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elementary level 2. Seoul: Korean Immigration Service Foundation; 2015. p. 1-200. 

  28. Lee MH, Cho HR, Choi EG, Jeong MJ.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termediate level 1. Seoul: Korean Immigration Service Foundation; 2015. p. 1-228. 

  29. Lee MH, Cho HR, Choi EG, Jeong MJ.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termediate level 2. Seoul: Korean Immigration Service Foundation; 2015. p. 1-228. 

  30. Park HW, Moon ST.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female immigrants in rural area for social adjustment education. J Agric Educ Hum Resour Dev 2008; 40(2): 69-91. 

  31. Ju WR, Yang MH. A study on Korean cultural education needs of the immigrant women in Korea. J Korean Lang Cult 2011; 8(1): 175-203. 

  32. Suh KS. Delicious Korean 31. Seoul: Hankookmunwhasa; 2011. p. 1-198. 

  33. Institute of Traditional Korean Food. The Beauty of Korean Food: with 100 Best. Seoul: Hollym; 2008. p. 1-255. 

  34. Chang SY, Cho SJ. A Korean Mother's Cooking Note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9. p. 1-198. 

  35. Korean Food Foundation. The Korean Kitchen. Seoul: Korean Food Foundation; 2014. p. 1-201. 

  36. Lee HJ. A study on the effect of making happiness group program: qualitative approach. Korean J Qual Res Soc Welf 2016; 10(1): 55-75. 

  37. Joo ES, Kim JY.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focusing group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pression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J Korean Gerontol Soc 2012; 32(2): 611-629. 

  38. DietNet. Formation of Food Culture [internet].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16 [cited 2016 Oct 20]. Available from: http://www.dietnet.or.kr. 

  39. Kim JS. International Model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I).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1. p. 1-309. 

  40. Kim MA. A study on the teaching Korean education methodology through cooking activities: for immigrant married woman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2012. 

  41. Choi ES, Lee YJ. Influence of the value perception with Korean food on food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Tour Res 2014; 29(1): 75-95. 

  42. Lee YH. The eff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Korean J Appl Linguist 2012; 28(3): 197-230. 

  43. Williams CL, Berry JW.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refugees: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and practice. Am Psychol 1991; 46(6): 632-641. 

  44. Satia-Abouta J, Patterson RE, Neuhouser ML, Elder J. Dietary acculturation: Applications to nutrition research and dietetics. J Am Diet Assoc 2002; 102(8): 1105-1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