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사회의 변화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탐색 - '삶 중심 교과'와 '행복 교과'로서의 성격 재인식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ed with the future social change: focusing on the new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 as the Subjects for Life and Happines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3, 2016년, pp.17 - 32  

왕석순 (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환경 스캐닝의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미래사회의 변화들을 분석하고, 미래사회의 변화로 야기된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 대해 우리 교육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또, 미래 사회의 변화로 야기된 새로운 교육적 요구를 가정과 교육이 어떤 교육적 가치를 발휘하여 담보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가정과교육의 성격이 가진 교육적 가치와 그 당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과교육을 재구조화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래의 주요한 변화는 1)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2) 예측불가능한 각종 자연재해와 각종 사건 사고들로 인한 생활 환경의 위험성 증대, 3)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의 급진전, 4) 국경없는 경제사회의 도래와 직업의 변화, 5) 북한의 변화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미래변화는 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증폭시켜 왔지만, 우리 교육은 여전히 지육교육에 치중하여 구성적 지능 계발에 치중하고 있으며, 정서역량을 학습의 대상으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미래사회의 유연한 인성을 가진 개인을 양성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가정과교육은 현재 우리 교육이 보이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교육적 역할을 담보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가진 교과의 성격을 가진다. 가정과교육은 전통적으로 인간의 실용적 지능 계발에 유리한 인간의 '삶' 전반을 교육내용으로 하는 '삶 중심의 생활교과'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 가정교과는 감사성향, 공감능력, 다양한 친사회적 행동 등의 다양한 행복추구역량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행복 중심 교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삶 중심 교과'의 성격과 '행복 교과'의 성격을 구현할 수 있는 가정과교육의 재구조화를 위해 삶의 틀(나, 가족, 지역사회, 일)과 Alderfer의 ERG 이론에서 제시한 인간의 위계적 욕구(존재, 관계, 성장)를 각각의 축으로 한 2차원의 이론적 틀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재구조화의 이론적 틀(frame)을 재검토하고 방향을 실증하는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loratory study which applied environmental scanning method to analyse a change in a future society tried to diagnose a reaction ability of our education system for the change in the future society. In addition, the study tried to explore an adequate direction for Home Economics Subject to b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의 주요한 변화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마지막으로, 가정과교육을 재구조화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래의 주요한 변화는 1)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2) 예측불가능한 각종 자연재해와 각종 사건 사고들로 인한 생활 환경의 위험성 증대, 3)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의 급진전, 4) 국경없는 경제사회의 도래와 직업의 변화, 5) 북한의 변화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미래변화는 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증폭시켜 왔지만, 우리 교육은 여전히 지육교육에 치중하여 구성적 지능 계발에 치중하고 있으며, 정서역량을 학습의 대상으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여 미래사회의 유연한 인성을 가진 개인을 양성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환경스캐닝에 주로 사용하는 틀은 STEEP라는 것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환경스캐닝은 본격적인 미래 연구 이전에 먼저 외부 환경을 스캔하여 변화의 신호를 찾아보는 방법이다. 환경스캐닝에 주로 사용하는 틀은 STEEP라는 것이 있는데, 사회(society), 기술(technology), 경제(economy), 환경과 자원(ecology), 정치(politics)가 그것이다. 이 다섯 가지의 틀에서 다양한 정보를 모아 변화의 트랜드로 떠오르는 이슈를 찾아내어 미래연구를 수행할 준비를 한다.
인간 행위가 지식과 정보보다는 인간 자신이 지각하는 이미지에 의해서 행동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문제와 가정의 문제들을 가정교과에서 다루고 있지 않다거나, 효과적으로 다루고 있지 못하다는 인식은 여전하다. 대부분의 이미지는 사람이 과거에 겪은 경험의 종합적인 결과로서 형성되어서, 구체적으로 “진실인 것”에 대해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이라고 믿는 것”에 대해 반응한다. 따라서 인간 행위는 지식과 정보보다는 인간 자신이 지각하는 이미지에 의해서 행동하게 되기 때문에 이미지가 매우 중요하다(Wang & Nam,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n, C. H. (2007). The effect of an empathy training program on social competence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Yonsei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Korea. 

  2. Baek, M. K. & Wang, S. S. (2012).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recognition measurement of Home Economics Subjec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2), 101-116. 

  3. Chae, J. H., & Lee, S. H. & Yoo, T. M. (2010). Contribution and Futur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4), 139-154. 

  4. Chae, J. H., & Park, M. J. & Kim, S. G., & Han J. (2011). Instr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Seoul, Kyomunsa. 

  5. Chosun Ilbo. (2014). Retrieved February. 28, 2014, from http://www.chosun.com/ 

  6.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 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377-389. 

  7. Han, J. R. (2005). Educational Gerontology. Seoul, Hakjisa. 

  8. Jang, J. H. (2014). 2030 미래사회 및 직업생활의 변화와 교육적 접근 방안. The Autumn Conference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of 2014, pp 35-51. 

  9. Jeon, S. K. (2014). The plan for development of subsequent curriculum based on the section 'family life' of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courses and key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4), 35-50. 

  10. Jeong, J. W. (2013). The Influen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ubjective Happiness : with priority given to the unit Understanding of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Korea. 

  11. Jeong, H. S. (2013). Family Life Education. Seoul, ShinJeong. 

  12. Jeong, O. B. (2015). Child Development. Seoul, Hakjisa. 

  13. Jo, S. M. (2012). The Effects on the Prosocial Behaviors in Instruction of the unit, Caring of Family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in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Korea. 

  14. Jun, M. K. & Oh, K. S. (2010).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Low Fertility.Aged Socie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95-116. 

  15. Kim, S. H. (2013). The Influen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n Middle Students' Developing Empathy- with priority given to the unit understanding of family values for middle school -.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Korea. 

  16. Kim, J. H. (2002). The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to Parents, Adolescent's Empathy, and Their Conflict-resolution Strategies to Frie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학생 7대 안전교육 표준안 강사요원 연수 강의 자료집. 

  1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12). KRIVET Issue Brief, vol. 22. 

  19. Kwak, B. S. (2014). 미래사회의 인재상과 새 교육과정의 방향, The Summer Conference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of 2014, pp 13-30. 

  20. Kwon, S. M. (2008). Positive psychology. Seoul, HakjiSa. 

  21. Lee, K. W., Baek, K. S., & Lee, S. M. (2013). 미래사회 국가 교육과정의 방향. 2020 한국 초.중등교육의 향방과 과제-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Seoul, HakjiSa. 61-82. 

  22. Lee, K. H. & Kwak, Y. S. (2013). 학습자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2020 한국 초.중등교육의 향방과 과제-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Seoul, HakjiSa. 83-106. 

  23. Lyubomirsky. S. (2007). How to be happy. Oh, H. K. translslated. Seoul. JiSik Nomad. 

  24. Noddings, N. (2007). Happiness and Education. Lee J. H. translslated. Seou. Hak yi Dang. 

  25. OECD(2015). http://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STAT# 

  26. Peterson. C. (2010).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Moon, Y. R. et al. translslated. Seoul. Moolpure. 

  27. Park, M. S. (2012). 공동체를 위한 소비생활교육. The Winter Conference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of 2012. pp77-89. 

  28. Park, M. H. (2012).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Happiness in the School Curriculum : Focusing to enhance Capabilities of Happiness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4), 117-132. 

  29. Redmond, M. V. (1989). The functions of empathu (decentering) in human relations. Human Relations, Vol. 42 No. 4, pp. 593-606. 

  30.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1-14. 

  31. Vaillant. G. (2010). Conditions for happiness: What Makes Us Happy?. Lee D. N. translslated. Seoul. Frontier. 

  32. Wang, S. S. (2003). Document Research to Identify the Goal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5(2), 79-99. 

  33. Wang, S. S.(2009). Analysis of Family Life Education in Korean Public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5(2), 249-274. 

  34. Wang, S. S.(2011). 가정과학 교육과정 개정 시안-가정과학 시안 발표-. 실과(기술.가정) 공통교과 및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시안 토론회 자료집.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pp129-142. 

  35. Wang, S. S.(2013a). 한국사회: 건강가정에서 길을 찾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생활과학의 기여: 건강가정 및 행복의 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한 가정과교육의 행복교육안 탐색, The Autumn Conference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of 2013(66th), pp 265-284. 

  36. Wang, S. S.(2013b). 실용적 지능과 행복 역량을 키우기 위한 가정 교과서의 미래 방향. 교과서 연구, 73호, pp39-43. Korea Textbook Research Foundation. 

  37. Wang, S. S. & Kim, S. G. (2010). Character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cultivating gratitude disposition and Car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Summer Conference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of 2010. pp133-159 

  38. Wang, S. S. & Kim, S. G.(2011). The Charact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 on Gratitude and Caring.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7(1), 117-142. 

  39. Wang, S. S., & Kwon, Y. J., Kim, J. W., & Jeong, M. K.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교과의 가정과교육 분야 교육과정 개발(안). 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제 1차 워크숍 자료집.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pp 70-91. 

  40. Wang, S. S., & Nam, S. J. (2008). Preliminary Home Economics Teachers' Image of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205-221. 

  41. Wang, S. S., & Lim, Y. M. (2014). The effects of population education on the recognition of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4), 147-164. 

  42. Yang, J. S. & Yoo, T. M. (2015). Relations of Key Competencie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3), 1-18. 

  43.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0]. 

  44. 교육과학기술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