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분자 열매(Rubus coreanus Miquel)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Antioxidant Activity and Effective Compounds of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ed by Different Solven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3 no.3, 2016년, pp.474 - 482  

진동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성종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동섭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식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contains anthocyanin, tannins, gallotannin, gallic acid, ferulic acid and phenolics. It brightens the eyes and protects the liver and kidneys. It was effective for anti-ag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form the excellence of black raspber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의 chloroform: methanol (CM, 2:1, v/v), 70% methanol, 70% ethanol의 용매별로 추출하여 anthocyanin, total phenol,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능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환원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educing power)을 측정하여 복분자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능력을 비교하여 생활습관병 예방과 건강기능 식품개발의 목적으로 이들의 소비 효율성을 높이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천연 항산화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리류에 들어있는 활성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식물체의 경우 이차 대사산물의 방어체계, 효소와 같은 보호 기작이 발달되어 있어서 식물체에서 항산화 물질을 탐색,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2]. 이러한 식물체 중에서도 베리류는 polyphenols, phenolic acids, flavonoids 및 carotenoids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vitamin B 복합물과 vitamin C, anthocynin 등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러한 천연화합물들은 체내에서 단백질의 변성이나 지질 과산화, DNA 손상 등을 일으키는 ROS 및 free radical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과 이에 대한 상호 작용을 통해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그 중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성 관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및 남부지방, 중부지방과 일본, 미국, 유럽 등의 해발 50~1,000 m 지역의 산기슭 양지에 자생하며 5~6월에 연한 홍색의 꽃이 피고, 7~8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핵과(核果)는 둥글고 붉은색으로 익은 후 검붉은 색으로 완숙되어 단맛과 신맛,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어 초여름에 열매를 수확하여 식용하고 있다[4].
복분자는 무엇인가? 이러한 식물체 중에서도 베리류는 polyphenols, phenolic acids, flavonoids 및 carotenoids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vitamin B 복합물과 vitamin C, anthocynin 등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러한 천연화합물들은 체내에서 단백질의 변성이나 지질 과산화, DNA 손상 등을 일으키는 ROS 및 free radical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과 이에 대한 상호 작용을 통해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그 중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성 관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및 남부지방, 중부지방과 일본, 미국, 유럽 등의 해발 50~1,000 m 지역의 산기슭 양지에 자생하며 5~6월에 연한 홍색의 꽃이 피고, 7~8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핵과(核果)는 둥글고 붉은색으로 익은 후 검붉은 색으로 완숙되어 단맛과 신맛,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어 초여름에 열매를 수확하여 식용하고 있다[4]. 원산지로 알려진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Rubus속식물 약 20여종의 미성숙 과실을 증기로 쪄서 햇볕에 말린 것을 복분자라고 정의하여 강장제 등과 같은 약용으로 쓰이고 있고 우리나라는 약용과 술에 사용하고 있다[5].
유럽과 미국에서 보고된 복분자의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유럽과 미국에서도Rubus 속 식물의 열매를 나무딸기류(raspberry)로 통칭하며 이 속에 속하는 식물은 400여종 이상이 있다고 한다[6]. 약을 보하고 속을 덮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안색을 좋게 하고 빈또 한방에서는 기를 더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백발을 억제하고 오장을 편하게 하며 해산 후 허뇨를 줄이며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불임증 치료 등 많은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7]. 이러한 복분자의 영양성분으로는 무기질인 인과 철, 칼륨이 풍부하며 특히 citric acid 및 astraglin과 같은 유기산과 비타민 C가 많이 포함되어 있고 tannins, gallotannin, gallic acid, ferulic acid, protocatechuic acid,epicatechin, ellagic acid 그리고 anthocyanin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8], 복분자에서 분리한 탄닌의 항산화 활성[9], 페놀화합물에 의한 효소적 지질과산화 억제활성[10], 진통 항염작용[11], 위염과 류마티즘 관절염에 대한 항염증효과[12], 복분자 추출물에 의한 내피세포 유래 NO 합성효소의 활성과 발현증가[13] 등이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R. C. Cristina and J. Rudolf, Free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activity) of natural dissolved organic matter, Marine Chem., 177, 668 (2015). 

  2. K. W. Lin, B. W. Wang, C. M. Wu, M. H. Yen, B. L. Wei, C. F. Hung and C. N. Lin, Antioxidant prenylated phenols of Artocarpus plants attenuate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damage on human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Phytochem. Letters, 14, 190 (2015). 

  3. H. K. Ju, E. J. Cho, M. H. Jang, Y. Y. Lee, S. S. Hong, J. H. Park and S. W. Kwon, Characterization of increased phenolic compounds from fermented Bokbunja (Rubus coreanus Miq.) and related antioxidant activity, J. Pharm. Biomed. Anal., 49, 820 (2009). 

  4. K. H. Kwon, W. S. Cha, D. C. Kim and H. J. Shin, A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05 (2006). 

  5. M. K. Lee, H. S. Lee, G. P. Choi, D. H. Oh, J. D. Kim, C. Y. Yu and H. Y. Lee,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from Rubus coreanus Miq,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5 (2003). 

  6. S. J. Kim, H. J. Lee, K. H. Park, C. O. Rhee, I. J. Lim, H. J. Chung and J. H. Moon, Isolation and identificaion of low molecular phenolic antioxidants from ethtylacetate layer of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29 (2008). 

  7. S. J. Kim, J. Y. Kim and S. H. Baek, Effect of composts fermented with Korean medicinal herb wastes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Rubus coreanus Miquel (Bokbunja), Korean J. Plant Res., 4, 243 (2011). 

  8. M. W. Lee,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Korean J. Pharmacogn., 39, 200 (1995). 

  9. K. H. Kim, Y. A. Lee, J. S. Kim, D. I. Lee, Y. W. Choi, H. H. Kim and M. W. Lee, Antioxidative activity of tannins from Rubus coreanum, Yakhak Hoeji, 44, 354 (2000). 

  10. I. Yoon, J. Y. Cho, J. H. Kuk, J. H. Wee. M. Y. Jang, T. H. Ahn and K. H. Park,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98 (2002). 

  11. J. W. Choi, K. T. Lee, J. H. Ha, S. Y. Yun, C. D. Ko, H. J. Jung and H. J. Park,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iga-ichigoside F1 and 23-hydroxytormentic acid obtained from Rubus coreanus, Biol. Pharm. Bull, 26, 1436 (2003). 

  12. J. H. Nam, H. J. Jung, J. W. Choi, K. T. Lee and H. J. Park, The anti-gastropathic and anti-rheumatic effect of nigaichigoside F1 and 2,3-hydroxytormentic acid isolated from the unripe fruits Rubus coreanus in a rat model, Biol. Pharm. Bull., 29, 967 (2006). 

  13. H. J. Yoon, S. Y. Park, S. T. Oh, K. Y. Lee and S. Y. Yang, Extract of Rubus coreanus fruits increases expression and activity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in the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J. Life Sci., 21, 44 (2011). 

  14. H. S. Kim, Y. Duan, M. A. Kim and S. H. Jang, Content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pulpy and seed in wild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J. Environ. Sci. Int., 23, 1791 (2014). 

  15. Y. Wang, J. Zhu, X. Meng, S. Liu, J. Mu, C. Ning, Comparison of polyphenol, anthocyanin and antioxidant capacity in four varieties of Lonicera caerulea berry extracts, Food Chem., 197, 522 (2016). 

  16. J. G. Kim, H. L. Kim, S. J. Kim and K. S. Park, Fruit quality, anthocyanin and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45 blueberry cultivars grown in Suwon, Korea, J. Zhejiang University-Science B (Biomed. Biotechnol.), 14, 793 (2013). 

  17. E. L. Jing, T. F. Song, H. Q. Zeng, L. Chang and P. N. Shao, Total flavonoids content,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osla chinensis Maxim. cv. Jiangxiangru, LWT-Food Sci. Technol., 64, 1022 (2015). 

  18. Y. Duan, M. A. Kim, H. S. Kim, J. H. Seong, Y. G. Lee, D. S. Kim and H. S. Chung, Effects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seed extra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J. Life Sci., 24, 386 (2014). 

  19.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 (1958). 

  20. A. Floegel, D. O. Kim, S. J. Chung, S. I. Koo and O. K. Chun,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 Anal., 24, 1043 (2011). 

  21. J. Ortuno, R. Serrano, M. J. Jordan and S. Banon,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status and oxidative stability in lamb meat reinforced with dietary rosemary diterpenes, Food Chem., 190, 1056 (2016). 

  22. R. Raudonis, L. Raudone, V. Jakstas and V. Janulis, comparative evaluation of post-column free radical scavengin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s for screening of antioxidants in strawberries, J. Chromatogr. A, 1233, 8 (2012). 

  23. M. Singhal, A. Paul and H. P. Singh, Synthesis and reducing power assay of methyl semicarbazone derivatives, J. Saudi Chem. Soc., 18, 121 (2014). 

  24. N. Chorfa, S. Savard and K. Belkacemi, An efficient method for high-purity anthocyanin isomers isolation from wild blueberries and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od Chem., 197, 1226 (2016). 

  25. Y. M. Ji, M. Y. Kim, S. H. Lee, G. Y. Jang, M. Li, N. Yoon, K. M. Kim, J. Lee and H. S. Jeong, Effects of acidic treatments for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extraction on black bean (Glycine max Merri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594 (2015). 

  26. R. L. Prior, G. Cao, A. Martin, E. Sofic, J. McEwen, C. O'Brien, N. Lischner, M. Ehlenfeldt, W. Kalt, G. Krewer and C. M. Mainland, Antioxidant capacity as influenced by total phenolic and anthocyanin content, maturity, and variety of Vaccinium species, J. Agric. Food Chem., 46, 2686 (1998). 

  27. Y. J. Seo, J. S. Kim, J. C. Kim, Y. K. Kim, Y. S. Ahn and S. W. Cha, Effects of fertilization and co-application of compost tea on fruit growth and accumulation of anthocyanin in Omija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Soil Sci. Fert., 47, 547 (2014). 

  28. S. Y. Hwang, H. M. Choi and S. Y. Lim, Total phenolics of dried Platycodon grandiflorum and its effect on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84 (2013). 

  29. H. K. Kim and K. J. Joo, Antioxidative capac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methanol extract from Zizyphus juju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50 (2005). 

  30. Y. J. Cho, S. S. Chun, H. J. Kwon, J. H. Kim, S. J. Yoon and K. H. Lee, Comparison of phsiological activities between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okbunja (Rubus coreanum 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90 (2005). 

  31. E. J. Kim, J. Y. Choi, M. Yu, M. Y. Kim, S. Lee and B. H. Lee,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 (2012). 

  32. V. Vaithiyanathan and S. Mirunalini, Assessment of anticancer activity: A comparison of dose-response effect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ic extracts of Pergularia daemia (Forsk), Oral Sci. Int., 13, 24 (2016). 

  33. P. C. Wootton, A. Moran and L. Ryan, Stability of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23 commercially available vegetable juices before and after in vitro digestion measured by FRAP, DPPH, ABTS and Folin-Ciocalteu methods, Food Res. Int., 44, 217 (2011). 

  34. K. I. Berker, K. Guclu, I. Tor and R. Apak, Comparative evaluation of Fe(III) reducing power-base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in the presence of phenanthroline, batho-phenanthroline, tripyridyltriazine (FRAP), and ferricyanide reagents, Talanta, 72, 1157 (2007). 

  35. C. C. Wong, H. B. Li, K. W. Cheng and F. Chen, A systematic survey of antioxidant activity of 30 Chinese medicinal plants using th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Food Chem, 97, 705 (2006). 

  36. D. D. Quy, E. A. Artik, L. T. N. Phuong, H. H. Lien, E. S. Felycia, I. Suryadi and Y. H. Ju,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imnophila aromatica, J. Food Drug Anal., 22, 296 (2014). 

  37. C. A. Rice-Evans, N. J. Miller and G. Paganga,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 Med., 20, 93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