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글씨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Upper Limb Coordinated Movement Based Task Oriented Approach on Improving Handwrit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5 no.1, 2016년, pp.77 - 87  

김미지 (브레인 감각통합 발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한글 글씨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각 접근이 한글 글씨 쓰기 수행의 질과 글씨쓰기 준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5~10세의 발달성 협응장애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을 통해 두 집단으로 나뉘어 사전-사후 검사로 진행하였다. 두 집단은 과제중심접근 중재군과 과정중심접근 중재군으로 5주 동안 40분씩 주 2회 중재를 받았다. 글씨쓰기 수행은 한글 자모 쓰기 검사로 측정하고, 글씨쓰기 준비요소인 상지 운동 기능, 시 지각 기능과 시 운동기능은 각각 운동 유창성 평가(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중 미세운동조절의 하위검사 일부, 한국판 시 지각 발달 검사(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 개정된 시 운동기술 평가(Test of Visual Motor Skills-Revised: TVMS-R)로 평가하였다. 고찰 : 본 연구는 과제중심접근법을 적용하여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글씨쓰기 수행도를 향상시킨다는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과정중심접근법과 과제중심접근법이 글씨쓰기 준비기술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글씨쓰기 중재방법을 제시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ask-oriented approach based on upper limb coordinated movement on the ability of the Korean handwriting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DCD). Methods/Design :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ed as a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글자는 각 언어별로 고유한 형태를 지니므로 언어권 별로 중재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국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때문에 본 연구는 국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에게 두 가지 중재방법이 아동의 한글 글씨쓰기 수행기술과 글씨쓰기 준비기술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국내에서 실시된 글씨쓰기와 관련한 연구로는 뇌성마비 아동의 글씨 쓰기에 관한 연구(Kim, Bae, Jun, Jang, & Song, 2015; Kim, Han, & Jang, 2015)와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쓰기 명료도와 시 지각 능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Min, Jung, Jung, & Kang, 2008)등이 있었으나,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한글 글씨 쓰기 어려움의 특성과 중재효과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이 발달성 협응 장애아동의 한글 글씨쓰기 과제수행의 향상을 불러오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중재 방법에 따른 글씨쓰기 준비기술 향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중재 방법에 따른 글씨쓰기 준비기술 향상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첫째, 상지 협응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과제중심적 접근 훈련은 발달성 협응장애아동의 한글글씨쓰기 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달성 협응장애란? 발달성 협응장애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는 운동협응의 어려움이라는 신경발달학적 특성을 가지는 질환으로, 자신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자세를 바꾸며 복잡한 과제를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가진다(Barnhart, Davenport, Epps, & Nordquist, 2003). 발달성 협응장애는 유병율이 최소 5~6%정도로 이 중 5~10%의 학령기아동이 학습운동기술의 문제와 학교생활 참여에의 어려움을 겪는다(Niemejjer, Smits-Egelsman, & Schoemaker, 2007; Miller, Polatajko, Missiuna, & Mandich, 2001).
발달성 협응장애아동의 글씨쓰기 특징 중 멈춤현상의 의미와 문제점은? 단어 사이에서 멈춤 시간(pausing)이 긴 ‘멈춤현상(pausi­ng phenomenon)’도 특징 중 하나이다. 멈춤현상은 자동적인 글쓰기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 적기, 기억해서 적기, 이름쓰기 그리고 10분 동안 자유 글쓰기와 같은 과제에서 글자를 적어나가기가 느리다(Chang & Yu, 2010; Prunty, Barnett, Wilmut, & Plumb, 2013; Rosenblum & Livneh-Zirinski, 2008).
글씨쓰기 준비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글씨쓰기 수행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명료도와 속도다(Mather & Roberts, 1995). 또한 효율적이고 능숙한 글씨쓰기를 위해 필요한 글씨쓰기 준비기술에는 시 지각, 눈-손 협응, 시각-운동 통합, 운동지각, 미세운동 협응, 손의 기민성, 손 안 조작 등의 지각-운동 기술의 통합된 능력이 있다(Kephart, 197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nks, R., Rodger, S., & Polatajko, H. J. (2008). Mastering handwriting: How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succeed with CO-OP.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28(3), 100-109. 

  2. Barnhart, R. C., Davenport, M. J., Epps, S. B., & Nordquist, V. M. (2003).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Physical Therapy, 83, 722-731. 

  3. Brown, T., & Unsworth, C. (2009). Construct validity of the Test of Visual-Motor Skills-Revised (TVMS-R): An evaluation using the Rasch Measurement Model.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6(3), 133-145. 

  4. Bruininks, R. H. (2005).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Minneapolis, MN: Pearson Assessment. 

  5. Case-Smith, J. (2002).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handwriting.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1), 17-25. 

  6. Chang, S. H., & Yu, N. Y. (2010). Characterization of motor control in handwriting difficulties in children with or withou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2(3), 244-250. 

  7. Choi, Y. J. & Kim, K. M. (2008). Effectiveness of task-oriented approach for children with develo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3), 13-22. 

  8. Denton, P. L., Cope, S., & Moser, C. (2006). The effects of sensorimotor-based intervention versus therapeutic practice on improving handwriting performance in 6-to 11-year-ol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1), 16-27. 

  9. Erhardt, R. P., & Meade, V. (2005). Improving handwriting without teaching handwriting: The consultative clinical reasoning process.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2(3), 199-210. 

  10. Feder, K., Majnemer, A., & Synnes, A. (2000). Handwriting: Current trend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7(3), 197-204. 

  11. Graham, S., Berninger, V., Weintraub, N., & Schafer, W. (1998). Development of handwriting speed and legibility in grades 1-9.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2(1), 42-52. 

  12. Ham, B. H., Kim, S. K., Lee, J. S., & Jeon, B. J.(2012).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in handwrit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2), 55-71. 

  13. Hammill, D. D., Pearson, N. A. & Voress, J. K. (1993).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2nd ed.). Austin, TX: Pro-Ed. 

  14. Jeong, H. D. (2004). A Review of the Handwriting Assessment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5(2), 115-133. 

  15. Jolly, C., & Gentaz, E. (2013). Analysis of cursive letters, syllables, and words handwriting in a French second-grade child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nd comparison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ntiers in psychology, 4. 1-10. doi: 10.3389/fpsyg.2013.01022 

  16. Kephart, N. C. (1971). The slow learner in the classroom (2nd ed.). Columbus, OH: Charles E. Merill. 

  17. Kim, E. H., Bae, M. J., Jun, H. Y., Jang, C., & Song, M. O. (2015).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on Writing Intelligibility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3(1), 11-21. 

  18. Kim, Y. K., Han, S. S., & Jang, C. (2015).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ndwriting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3(1), 1-10. 

  19. Mandich, A. D., Polatajko, H. J., Macnab, H. I., & Miller, L. T. (2001).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What is the evidence?. Physical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 20, 51-68. 

  20. Mchale K, Cermak SA(1992). Fine moto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findings and provisional implications for children with fine motor problem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6(10), 898-903. 

  21. Mather N, Roberts R(1995). Inform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written language: A practitioner's guide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linical Psychology Publishing Company. 

  22. Miller, L. T., Polatajko, H. J., Missiuna, C., & Mandich, A. D. (2001). A pilot trial of a cognitive treatmen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20, 183-210. 

  23. Min, K. C., Jung, M. Y., Jung, B. I., & Kang, D. H. (2008). Relationships Between Handwriting Legibility and Visual Perception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3), 1-12. 

  24. Niemejjer, A. S., Smits-Egelsman, B. C. M., & Schoemaker, M. M. (2007). Neuromotor task training for childe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controlled trial.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9, 406-411. 

  25. Rho, G. Mo., Hong, E. K., Kim, K. M.(2011).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postural control and hand function in child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0(3), 377-392. 

  26. Pollock, N., Lockhart, J., Blowers, B., Semple, K., Webster, M., Farhart, L., et al. (2009). Handwriting assessment protocol-2nd edition. Hamilton: McMaster University. 

  27. Prunty, M. M., Barnett, A. L., Wilmut, K., & Plumb, M. S. (2013). Handwriting speed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re they really slower?.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4(9), 2927-2936. 

  28. Rosenblum, S., & Livneh-Zirinski, M. (2008). Handwriting process and produc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27(2), 200-214. 

  29. Roberts, G. I., Siever, J, E., & Mair, J. A. (2010). Effects of a kinesthetic cursive handwriting intervention for grade 4-6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5), 745-755 

  30. Smits-Engelsman, B. C., Niemeijer, A. S., & van Galen, G. P. (2001). Fine motor deficiencies in children diagnosed as DCD based on poor grapho-motor ability. Human Movement Science, 20(1), 161-182. 

  31. Sugden, D. A., & Wright, H. C. (1998). Motor coordination disorders in children. London, England: Sage Publications. 

  32. Sudsawad, P., Trombly, C. A., Henderson, A., & Tickle-Degnen, L. (2002). Testing the effect of kinesthetic training on handwriting performance in first-grad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1), 26-33. 

  33. Wilcox AL, & Polatajko HJ. (1993). Verbal self-guidance as a treatment techniqu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bstract).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 83-105. 

  34. Weintraub, N., & Graham, S. (1998). Writing legibly and quickly: A study of children's ability to adjust their handwriting to meet common classroom demands. Learning Disability Research Practice, 13(3), 146-152. 

  35. Weintraub, N., Yinon, M., Hirsch, I., & Parush, s. (2009). Effectiveness of sensorimotor and task-oriented handwriting intervention in elementary achoole-aged students with handwriting difficulties.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29(3), 125-134. 

  36. Zwicker, J. G., & Hadwin, A. F. (2007). Cognitive versus multisensory approaches to handwriting interven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29(1), 40-4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