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중년기 여성을 위한 요실금 예방 및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a Urinary Incontinence Prevention and Self-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in Rural Communities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1 no.1, 2016년, pp.3 - 14  

조경녀 (충청남도 서천군 장상보건진료소) ,  박선아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 urinary incontinence self-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in Korean rural communities. Methods: A one-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severity, knowledge, and attitudes following the intervention. Fifty-six women co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요실금 자가관리 자조모임은 이러한 자가관리 원칙을 적용하여 요실금 자가관리 기술을 배우고, 자신의 건강행위에 대한 활동 계획과 실천을 동료들과 공유함으로써 자신감을 향상을 통해 지속적인 자가관리 행위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olroyd-Leduc et al.(2011)이 제안한 요실금자가관리 기술과 만성질환의 자가관리 원칙을 적용하여 개발한 요실금 자가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기 여성의 요실금 정도와 요실금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및 태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실금의 자가관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2). 요실금의 자가관리는 골반저 근육 강화운동과 방광훈련의 보존적 치료 외에, 수분섭취 조절, 체중조절, 변비예방 등의 생활습관 개선 등을 포함한다(Holroyd-Leduc et al. 2011; Wilde et al.
병원중심의 치료적인 접근으로 개개인에게 요실금 자가관리 행위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어려운 이유는? 2014). 대부분의 여성들이 요실금을 노화로 인한 당연한 증상으로 인식하거나 창피함 등으로 인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경우가 4~20.8% 정도로 낮은 것을 볼때 (김광숙 등 2015; 김춘미 등, 2013; So et al., 2012), 병원중심의 치료적인 접근으로 개개인에게 요실금 자가관리 행위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어렵다.
요실금이 미국에서 사회적인 암으로 불리는 이유는? , 2006). 또한 정신적으로는 우울감과 사회로부터의 고립감을 경험할 수 있어(Sims et al., 2011) 미국에서는 사회적인 암으로 불리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혜경, 홍(손)귀령 (2015). 시설거주 노인여성을 위한 근력강화 훈련이 요실금과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5(1), 35-45. 

  2. 김광숙, 김은경, 박수호 (2015). 일 지역 중년 여성의 요실금 실태 및 교육요구도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 19(1), 1-10. 

  3. 김경주, 김남용, & 홍(손)귀령. (2011). 경로당 여성노인의 요실금 관리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임상사회사업연구, 8(2), 1-22. 

  4. 김문실, 이승희 (2008).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요실금 유병률과 관련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8(1), 92-100. 

  5. 김양순, 강경숙 (2010). 요실금 관리 자기효능 증진프로그램이 요실금 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간호학회지, 5(2), 92-101. 

  6. 김춘미, 이홍자, 김은만 (2013). 농촌 지역 중년기 이후 여성들의 요실금 관련 건강문제와 대처.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3), 368-376. 

  7. 김증임 (2003). 노인 여성의 요로기능증진 10주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4), 439-448. 

  8. 송미숙, 부선주 (2016). 일개 시 지역사회 거주 독거여성노인의 요실금예방 운동프로그램 중재효과. 한국보건간호간호학회지, 30(2), 247-258. 

  9. 송미순 (1999). 요실금 자조관리 교육 프로그램 시범운영의 효과. 서울대학교 간호학연구소, 간호학논문집, 13(2), 205-220. 

  10. 이우숙, 최영신, 이수진, 이교원, 김미옥. (2009). 요실금 관리 프로그램이 혼합성 요실금 환자의 신체적 증상, 일상생활 문제 및 성생활 문제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5(2). 91-102. 

  11. 이주영. (2010). 농촌여성을 위한 요실금 자가 관리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 

  12. 이종원, 송미숙 (2015). 장기요양병원 재가급여 여성노인의 요실금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35(1), 119-133. 

  13. 최순영 (2009). 농촌 중년여성의 요실금 프로그램 효과. 한국농촌간호학회지, 4(2), 94-102. 

  14. Abrams, P., Andersson, K. E., Birder, L., Brubaker, L., Cardozo, L., Chapple, C., et al. (2010). Fourth International Consultation on Incontinence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pelvic organ prolapse, and fecal incontinence.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29(1), 213-240. 

  15. Abrams, P., Smith, A. P., & Cotterill, N. (2015). The impact of urinary incontinenc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a real-world population of women aged 45-60 years: results from a survey in France, Germany, the UK and the USA. BJU international, 115(1), 143-152. 

  16. Dougherty, M. C., Dwyer, J. W., Pendergast, J. F., Boyington, A. R., Tomlinson, B. U., Coward, R. T., et al. (2002). A randomized trial of behavioral management for continence with older rural wome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1), 3-13. 

  17. Holroyd-Leduc, J., Straus, S., Thorpe, K., Davis, D., Schmaltz, H., Tannenbaum, C. (2011). Translation of evidence into a self-management tool for use by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Age Ageing, 40(2): 227-233. 

  18. Hunskaar, S., Lose, G., Sykes, D., & Voss, S. (2004).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in four European countries. BJU international, 93(3), 324-330. 

  19. Junkin, J., & Selekof, J. L. (2007). Prevalence of incontinence and associated skin injury in the acute care inpatient.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34(3), 260-269. 

  20. Lee, Y. S., Lee, K. S., Jung, J.H. et al.(2011). Prevalence of overactive bladder, urinary incontinence,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Results of Korean EPIC study. World Journal of Urology, 29(2), 185-90. 

  21. Liao, Y. M., Dougherty, M. C., Liou, Y. S., & Tseng, J. (2006).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effect on urinary incontinence knowledge, attitudes, and severity: an experiment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1), 29-37. 

  22. Lorig, K..R. & Holman, H. (2003). Self-management education: History, definition, outcomes, and mechanism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6(1), 1-7. 

  23. Subak, L. L., Quesenberry, C. P., Posner, S. F., Cattolica, E., & Soghikian, K. (2002). The effect of behavioral therapy on urinary incontinenc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bstetrics & Gynecology, 100(1), 72-78. 

  24. Petty, R. E., Wegener, D. T., & Fabrigar, L. R. (1997).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8(1), 609-647. 

  25. Resnick, B., Keilman, L. J., Calabrese, B., Parmelee, P., Lawhorne, L., Pailet, J., et al. (2006). Nursing staff beliefs and expectations about continence care in nursing homes.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33(6), 610-618. 

  26. Tannenbaum, C., Brouillette, J., Michaud, J., Korner-Bitensky, N., Dumoulin, C., Corcos, J., ... & Valiquette, L. (2009). Responsiveness and Clinical Utility of the Geriatric Self-Efficacy Index for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7(3), 470-475. 

  27. Teo, J. S., Briffa, N. K., Devine, A., Dhaliwal, S. S., & Prince, R. L. (2006). Do sleep problems or urinary incontinence predict falls in elderly women?.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52(1), 19-24. 

  28. Sims, J., Browning, C., Lundgren-Lindquist, B., & Kendig, H. (2011). Urinary incontinence in a community sample of older adults: prevalence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3(15-16). 1389-98. 

  29. So, A., De Gagne, J. C. and Palmer, M. H. (2012),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in older Korean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Urological Nursing, 6: 51-59. 

  30. Yuan, H. and Williams, B. A. (2010), Knowledge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Chinese community nurses and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8:82-90. 

  31. Yuan, H. B., Williams, B. A., & Liu, M. (2011). Attitudes toward urinary incontinence among community nurses and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38(2), 184-189. 

  32. Wilde, M. H,, Bliss, D. Z., Booth, J., Cheater, F. M,. & Tannenbaum, C. (2014). Self-management of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14(1), 38-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