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화학 I, II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Students' Perceptions about High School Chemistry I, II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1 no.6, 2017년, pp.369 - 377  

박현주 (조선대학교 화학교육과) ,  임희준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생을 연구대상으로 과학과 선택 교과 '화학 I'과 '화학 II' 에 대한 선택 이유, 학습량, 내용 수준, 흥미, 수업 형태, 선호 수업 등과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비례층화표집 방식으로 선별된 총 126개 고등학교에서 화학 교과를 선택한 자발적 참여 학생 총 1,087명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이 화학 교과를 선택한 주된 이유는 화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기초학문', '대학 전공 관련' 등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화학 I, II 교과의 학습량과 내용 수준을 약 60% 정도가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화학을 어렵다고 인식하는 이유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화학 I과 화학 II 모두, 내용 자체의 어려움과 암기해야 할 많은 내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 교과의 흥미도의 경우, 화학 I의 43.9%, 화학 II의 52.0%의 학생들이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화학 교과에 흥미가 없는 이유는 화학 내용 자체의 어려움, 관심과 재미가 없어서, 화학의 기초가 없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화학 교과의 주된 수업 형태는 강의식 설명식 수업이었지만,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 형태는 주로 실험실습과 실생활 연계나 과학자 이야기 활용으로 나타났다. 화학 교과에서 실험 활동에 대한 주된 실태는 한 학기에 1~5회 또는 실험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하고 많은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업과 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chemistry subjects: reasons for choosing chemistry, learning volume and content difficulty, interests, teaching/learning methods, preferable classes etc. A total of 1,087 students who took chemistry subjects at 126 hig...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화학 I에서 다루었던 물, 공기, 용액, 현대 화학과 우리 생활 내용을 화학 II로 이동하고, 화학결합, 분자구조 등 이전 교육과정에서 화학 II에서 다루던 화학의 기본 내용을 화학 I에서 다루게 함으로써 화학 I 과목에서 화학적 개념이나 현상, 원리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화학 I에 새로 포함된 원소의 주기성, 오비탈, 공유경합 분자 모형, 유효 핵전하 등의 내용은 이전 교육과정에서 화학 II에 배치되어있을 때에도 내용이 추상적이고 실생활과 관련이 낮아서 학생들이 어렵다고 느끼는 내용으로 제시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고등학교 선택 교과 화학 I과 화학 II의 교육과정 실행 실태를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화학 I을 선택한 주된 이유는 화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기초학문’, ‘대학 전공 관련’ 때문이며, 화학 II를 선택한 주된 이유는 ‘대학 전공 관련’, ‘관심과 흥미’, ‘기초학문’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의 적합성을 학생의 인식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이양락8이 제시한 교육과정 적합성에 근거를 두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고등학교 선택 교과 화학 I과 화학 II의 교육과정 실행 실태를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은 어떤 활동인가? 교육은 개인적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미래지향적 활동이다.1 따라서 미래 사회에 대한 신중한 통찰을 통한 학교 과학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화학 I과 화학 II 교육과정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화학 I의 경우,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경험과 관련된 주제 중심의 내용을 강조하며, 화학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화학의 기본 개념을 지도함을 강조하였다. 이에 반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화학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공기, 물, 용액, 현대 화학과 우리 생활의 4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것에 반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화학의 언어, 개성있는 원소(원자의 구조와 주기적 성질), 아름다운 분자 세계(화학 결합, 분자의 구조), 닮은꼴 화학 반응(산화 환원, 산과 염기)을 다루고 있어 대주제만 보더라도 그 성격이 상당히 다름을 알 수 있다.4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화학 I에서 다루었던 물, 공기, 용액, 현대 화학과 우리 생활 내용을 화학 II로 이동하고, 화학결합, 분자구조 등 이전 교육과정에서 화학 II에서 다루던 화학의 기본 내용을 화학 I에서 다루게 함으로써 화학 I 과목에서 화학적 개념이나 현상, 원리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화학 I에 새로 포함된 원소의 주기성, 오비탈, 공유경합 분자 모형, 유효 핵전하 등의 내용은 이전 교육과정에서 화학 II에 배치되어있을 때에도 내용이 추상적이고 실생활과 관련이 낮아서 학생들이 어렵다고 느끼는 내용으로 제시된 것이다.
국가 과학과 교육과정이 학교 과학교육의 실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이유는? 1 따라서 미래 사회에 대한 신중한 통찰을 통한 학교 과학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학교 과학교육은 국가 과학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국가 과학과 교육과정은 학교 과학교육의 실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국가 수준의 과학과 교육과정은 그 시대에서 지향하는 전반적인 교육의 목표를 반영하면서 과학교육의 목표, 내용, 전략, 교수학습 자료뿐만 아니라 교육 내용의 시간적, 순서적 배열, 사회적 조직과 평가 과정을 전체로 구조화한 과학 교수의 전반적인 계획을 포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an, M. 2020/2050 Forum Report: Future of Korean Education and Development;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Korea. 2008. 

  2. Mullis, I. V. S.; Martin, M. O.; Foy, P.; Drucker, K. T. International Results in Reading;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Chestnut Hill, MA, 2009. 

  3. Jeong, 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2, 36, 354. 

  4.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14: 2009. 

  5. Kim, J.; Hong, M.; Lee, M.; Jeong, E.; Kwak, Y.; Sim, J.; Lee, C.; Choi, W.; Park, S.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7th National High-school Science Elective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RRC 2006-7, 2006. 

  6. Jung, H. Focused on High School Science, Chemistry I, Chemistry II,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7th curriculum for Science.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1. 

  7. Mullis, I. V. S.; Martin, M. O.; Kennedy, A. M.; Trong, K. L.; Sainsbury, M. PIRLS 2011 assessment framework;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Chestnut Hill, MA, 2009. 

  8. Lee, Y. R. A Study on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for the Year of 2004. Annual Report;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Korea. 2006. 

  9. Stuckey, M; Hofstein, A.; Mamlok-Naaman, R.; Eilks, I. Journal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013, 49, 1. 

  10. Lee, E.; Cho, Y.; Kim, E.; Yoo, R.; Kim, D.; Park, K.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7, 51, 73. 

  11. Sim, J.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4, 17, 53. 

  12. Yoon, J.; Kang, 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 16, 515. 

  13. Lee, 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4, 24, 298. 

  14. Shim, K.; Lee, M.; Lee, J.; Yuk, K.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2004, 32, 181. 

  15. Kwak, 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4, 24, 1028. 

  16. Jeong, 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6, 26, 155. 

  17. Jeong, E.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2006, 34, 1745. 

  18. Kim, M.; Cho, M.; Kim, 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011, 15, 473. 

  19. You, 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2, 30, 473. 

  20. Kwak, Y.; Son, J.; Kim, M.; Gu, J.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4, 34, 321. 

  21. Park, H.; Son, Y.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7, 23, 281. 

  22. Messick, S. American Psychologist 1995, 50, 741. 

  23.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 2015-7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