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 유산균 스타터 ABT-5를 이용한 발효 다크 초콜릿의 항산화 활성 및 향기 성분
Effects of fermentation by the commercial starter ABT-5 on the flavo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rk chocolat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6, 2017년, pp.617 - 624  

고소예 (제주대학교 차세대융복합과학기술협동과정) ,  류지연 (제주대학교 바이오소재공학과) ,  김현아 ((주)제키스) ,  김소미 (제주대학교 차세대융복합과학기술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크 초콜릿을 복합 유산균 스타터인 ABT-5를 이용하여 발효시켰을 때, 항산화 성분과 활성 그리고 향기 성분의 변화를 발효 전 다크 초콜릿과 비교하였다. 발효 시간에 따른 pH의 감소와 적정 산도의 증가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한 lactic acid 성분비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다크 초콜릿의 발효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 12, 그리고 24시간 발효한 다크 초콜릿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발효 전 대조구 대비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한편, 6, 12시간 발효한 다크 초콜릿은 대조구에 대비하여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ROS 발생 및 세포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검출된 4-hydroxy-2,5-dimethyl-3(2H)-furanone와 헤드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검출된 2-furanmethanol은 중요한 향미 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해당 성분들은 발효 다크 초콜릿의 풍미를 증진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유산균을 이용해 다크 초콜릿을 발효했으며, 발효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발효에 의한 다크 초콜릿의 향미 성분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고부가가치 다크 초콜릿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ocolate, one of the most popular confectioneries in the world, is known for its aromatic flavor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rmentation with commercially available lactic acid bacteria, ABT-5, on the flavo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rk ch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용 복합 유산균인 ABT-5를 다크 초콜릿의 발효에 적용하고, 유산균 발효 다크 초콜릿의 항산화 활성과 향미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새로운 컨셉의 다크 초콜릿 제품 개발에 기여하고 유산균 발효 초콜릿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검출된 4-hydroxy-2,5-dimethyl-3(2H)-furanone와 헤드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검출된 2-furanmethanol은 중요한 향미 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해당 성분들은 발효 다크 초콜릿의 풍미를 증진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유산균을 이용해 다크 초콜릿을 발효했으며, 발효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발효에 의한 다크 초콜릿의 향미 성분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고부가가치 다크 초콜릿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을 첨가한 초콜릿 연구가 제과 산업에서도 진행되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1,2), 이러한 추세에 맞춰 최근에는 코코아나 초콜릿 시장과 같은 제과 산업에서도 기능성을 첨가한 초콜릿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 초콜릿은 테오브로마 카카오나무(Theobroma cacao) 의 카카오 열매에서 얻은 코코아 매스, 코코아 버터, 코코아 분말 등의 원료에 설탕, 우유, 버터 등을 혼합하여 만든 기호 식품 으로(4), 녹차, 홍차, 적포도주와 더불어 대표적인 항산화 능력을 가진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5).
복합유산균을 이용해 발효한 다크 초콜릿에서 생길 것으로 보이는 변화는? 한편, 6, 12시간 발효한 다크 초콜릿은 대조구에 대비하여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ROS 발생 및 세포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검출된 4-hydroxy-2,5-dimethyl-3(2H)-furanone와 헤드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검출된 2-furanmethanol은 중요한 향미 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해당 성분들은 발효 다크 초콜릿의 풍미를 증진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유산균을 이용해 다크 초콜릿을 발효했으며, 발효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발효에 의한 다크 초콜릿의 향미 성분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고부가가치 다크 초콜릿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초콜릿은 어떻게 만드는가? 전 세계적으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1,2), 이러한 추세에 맞춰 최근에는 코코아나 초콜릿 시장과 같은 제과 산업에서도 기능성을 첨가한 초콜릿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 초콜릿은 테오브로마 카카오나무(Theobroma cacao) 의 카카오 열매에서 얻은 코코아 매스, 코코아 버터, 코코아 분말 등의 원료에 설탕, 우유, 버터 등을 혼합하여 만든 기호 식품 으로(4), 녹차, 홍차, 적포도주와 더불어 대표적인 항산화 능력을 가진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5). 초콜릿은 함유된 카카오 매스의 함량에 따라 다크 초콜릿(dark, 45% 이상), 밀크 초콜릿(milk, 24-45%), 그리고 가장 함량이 적은 화이트 초콜릿(white, 0%)으로 구분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Hasler CM. Functional foods: Their Role in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Food Technol.-Chicago 52: 63-147 (1998) 

  2. Ares G, Besio M, Gimenez A, Deliza R. Relationship between involvement and functional milk desserts intention to purchase. Influence on attitude towards packaging characteristics. Appetite 55: 298-304 (2010) 

  3. Belscak-Cvitanovic A, Komes D, Dujmovic M, Karlovic S, Biskic M, Brncic M, Jezek D. Physical, bioactive and sensory quality parameters of reduced sugar chocolates formulated with natural sweeteners as sucrose alternatives. Food Chem. 167: 61-70 (2015) 

  4. Kang S, Lee JS, Jeong A, Kim E, Park S. The effects of using artificial sweeteners and coffee grounds in chocolate fill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lycemic index. J. Appl. Biol. Chem. 57: 307-312 (2014) 

  5. Lee E, Kum J, Hwang Y, Tu O, Jo H, Kim J, Chae Y.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capacities and polyphenolic contents of commercially available cocoa-containing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356-1362 (2012) 

  6. Kim B, Kim, D, Lee S, Shin H. Preparation of coated citric acid for sensory improvement of chocolate products. KSBB J. 10: 443-448 (2010) 

  7. Hooper L, Kay C, Abdelhamid A, Kroon PA, Cohn JS, Rimm EB, Cassidy A. Effects of chocolate, cocoa, and flavan-3-ols on cardiovascular health: a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Am. J. Clin. Nutr. 95: 740-751 (2012) 

  8. Suazo Y, Davidov-Pardo G, Arozarena I. Effect of fermentation and roasting on the phenolic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coa from Nicaragua. J. Food Qual. 37: 50-56 (2014) 

  9. Alanon M, Castle S, Siswanto P, Cifuentes-Gomez T, Spencer JP. Assessment of flavanol stereoisomers and caffeine and theobromine content in commercial chocolates. Food Chem. 208: 177-184 (2016) 

  10. Katz DL, Doughty K, Ali A. Cocoa and chocolate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tioxid. Redox Sign. 15: 2779-2811 (2011) 

  11. Lamuela-Raventos RM, Romero-Perez AI, Andres-Lacueva C, Tornero A. Review: health effects of cocoa flavonoids. Food Sci. Technol. Int. 11: 159-176 (2005) 

  12. Sokolov AN, Pavlova MA, Klosterhalfen S, Enck P. Chocolate and the brain: neurobiological impact of cocoa flavanols on cognition and behavior. Neurosci. Biobehav. R. 37: 2445-2453 (2013) 

  13. Konar N, Toker OS, Oba S, Sagdic O. Improving functionality of chocolate: A review on probiotic, prebiotic, and/or synbiotic characteristics. Trends Food Sci. Tech. 49: 35-44 (2016) 

  14. Wilson PK. Centuries of seeking chocolates medicinal benefits. Lancet 376: 158-159 (2010) 

  15. Park K, Kim BK. Lactic acid bacteria in vegetable fermentations. 4th ed. pp. 187-211. In: Lactic Acid Bacteria: Microbi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Lahtinen S, Ouwehand AC, Salminen S, von Wright A (ed).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2011) 

  16. Juvonen R, Honkapaa K, Maina NH, Shi Q, Viljanen K, Maaheimo H, Virkki L, Tenkanen M, Lantto R. The impact of fermentation with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on rhe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ureed carrots (Daucus carota L.). Int. J. Food Microbiol. 207: 109-118 (2015) 

  17. Dickson-Spillmann M, Siegrist M, Keller C. Attitudes toward chemicals are associated with preference for natural food. Food Qual. Prefer. 22: 149-156 (2011) 

  18. Chen Y, Huang Y, Bai Y, Fu C, Zhou M, Gao B, Wang C, Li D, Hu Y, Xu N. Effects of mixed cultur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actobacillus plantarum in alcoholic fermenta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itrus vinegar. LWT-Food Sci. Technol. 84: 753-763 (2017) 

  19. Pogaeiae T, Maillard M, Leclerc A, Herva C, Chuat V, Yee AL, Florence V, Thierry A.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screen diverse cheese-related bacteria for their ability to produce aroma compounds. Food Microbiol. 46: 145-153 (2015) 

  20. Jia R, Chen H, Chen H, Ding W. Effects of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GG on product quality and fatty acids of goat milk yogurt. J. Dairy Sci. 99: 221-227 (2016) 

  21. Cagno RD, Filannino P, Gobbetti M. Lactic acid fermentation drives the optimal volatile flavor-aroma profile of pomegranate juice. Int. J. Food Microbiol. 248: 56-62 (2017) 

  22. Dongmo SN, Sacher B, Kollmannsberger H, Becker T. Key volatile aroma compounds of lactic acid fermented malt based beverages-impact of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Food Chem. 229: 565-573 (2017) 

  23. Cagno RD, Minervini G, Rizzello CG, Angelis MD, Gobbetti M. Effec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on antioxidant, texture, color and sensory properties of red and green smoothies. Food Microbiol. 28: 1062-1071 (2011) 

  24. Salmeron I, Fucinos P, Charalampopoulos D, Pandiella SS. Volatile compounds produced by the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NCIMB 8826 in cereal-based substrates. Food Chem. 117: 265-271 (2009) 

  25. Wah TT, Walaisri S, Assavanig A, Niamsiri N, Lertsiri S. Co-culturing of Pichia guilliermondii enhanced volatile flavor compound formation by Zygosaccharomyces rouxii in the model system of Thai soy sauce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160: 282-289 (2013) 

  26. Park J, Moon H, Oh J, Lee J, Choi K, Cha J, Lee T, Lee M, Jung H.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development of a starter for fermented milk. Korean J. Food Preserv. 20: 712-719 (2013) 

  27. Zoumpopoulou G, Pot B, Tsakalidou E, Papadimitriou K. Dairy probiotics: Beyond the role of promoting gut and immune health. Int. Dairy J. 67: 46-60 (2017) 

  28. Carnasecchi S, Schneider Y, Lazarus SA, Coehlo D, Gossa F, Raul F. Flavanols and procyanidins of cocoa and chocolate inhibit growth and polyamine biosynthesis of human colonic cancer cells. Cancer Lett. 175: 147-155 (2002) 

  29. Cheung LM, Cheung PCK, Ooi VEC.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 81: 249-255 (2003) 

  30.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995) 

  3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32. Bozaniae R, Lovkoviae S, Jelieiae I. Optimising fermentation of soymilk with probiotic bacteria. Czech J. Food Sci. 29: 51-56 (2011) 

  33. Kang HR, Koh SY, Ryu J, Osman A, Lee CK, Lim JH, Kim HA, Im GH, Cho SK.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ocolate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CK10. Korean J. Food Preserv. 23:576-584 (2016) 

  34. Kaprasob R, Kerdchoechuen O, Laohakunjit N, Sarkar D, Shetty K. Fermentation-based biotransformation of bioactive phenolics and volatile compounds from cashew apple juice by select lactic acid bacteria. Process Biochem. 59: 141-149 (2017) 

  35. Filannino P, Azzi L, Cavoski I, Vincentini O, Rizzello CG, Gobbetti M, Cagno RD. Exploitation of the health-promoting and sensory properties of organic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163: 184-192 (2013) 

  36. Oh BT, Jeong SY, Velmurugan P, Park JH, Jeong DY. Probioticmediated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fruit fermentation to yield functionalized products for augmented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J. Biosci. Bioeng. 124: 542-550 (2017) 

  37. Sun YP, Chou CC, Yu RC. Antioxidant activity of lactic-fermented Chinese cabbage. Food Chem. 115: 912-917 (2009) 

  38. Seo YH, Kim IJ, Yie AS, Min HK.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581-585 (1999) 

  39. Chen C, Wang L, Wang R, Luo X, Li Y, Li J, Li Y, Chen Z. Phenolic contents,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proliferative capacity of different varieties of oats. Food Chem. 239: 260-267 (2018) 

  40. Mercier P, Yerushalmi L, Rouleau D, Dochain D. Kinetics of lactic acid fermentation on glucose and corn by Lactobacillus amylophilus. J. Chem. Technol. Biot. 55: 111-121 (1992) 

  41. Nichols NN, Sharma LN, Mowery RA, Chambliss CK, van Walsum GP, Dien BS, Iten LB. Fungal metabolism of fermentation inhibitors present in corn stover dilute acid hydrolysate. Enzyme Microb. Tech. 42: 624-630 (2008) 

  42. Ha JS, Park SK, Park CH, Seung TW, Guo TJ, Kang JY, Lee DS, Kim JM, Lee U, Heo HJ.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new green extract against $H_2O_2$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673-67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