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Checklist Development for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 Form Work in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7 no.6, 2017년, pp.587 - 594  

조예림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신윤석 (Department of Plant&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신재권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산업은 전체산업분야들 중에서 가장 많은 재해사망자를 발생시키는 산업분야이다. 국내 건설업의 사고부상자는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거의 대부분 발생한다. 또한 전체 공종 중 거푸집 공사에서 가장 많은 재해자가 발생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재해에 취약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에 대하여 안전점검사항을 제시하고 어떤 항목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야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규모 사업장에 대하여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중 가장 많은 재해가 발생하는 거푸집 공사의 위험요소에 대한 점검사항을 명확히 제시하고 중점적으로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했던 재해 사례 70,618건을 분석하여 위험요인 및 사고 예방 대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점검 항목을 안전관리전문가 5명에게 검토 받은 후 현장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실제로 발생했던 재해의 위험 요인을 도출하여 만든 체크리스트이기 때문에 현장의 작업자들에게 잘못된 점을 명확히 지시하여 시정하는 것이 가능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고 재해율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struction industry generates the greatest number of disasters. Laborer injury at construction sites is mostly reported by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Moreover, of the injuries, the greatest number is related to formwo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ecklist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대적으로 재해에 취약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에 대하여 안전점검사항을 제시하고 어떤 항목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야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규모 사업장에 대하여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중 가장 많은 재해가 발생하는 거푸집 공사의 위험요소에 대한 점검사항을 명확히 제시하고 중점적으로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50억 원 미만의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 중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감소시키고자 위험도에 따라 중점적으로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작업에 대한 위험 요인을 도출하고 점검 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2012년에서 2014년까지 3년 동안 국내 건설 현장에서 발생했던 재해 사례 70,618건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 현장에서 발생했던 재해 현황과 기존에 연구되었던 문헌 및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체크리스트 등을 조사하였다. 위험 요인을 도출하고 점검 항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실제로 2012년에서 2014년까지 3년간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했던 재해 사례 70,618건 중 공사금액이 50억 원 미만인 중소규모 현장에서 기인물이 거푸집 및 동바리인 재해를 포함하여 거푸집 공사 중에 발생했던 재해사례 9,396건을 분석하여 위험 요인 및 사고 예방 대책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업은 재해발생에 관하여 어떤 산업인가? 건설업은 재해자가 많이 발생하고 중대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산업이다. 고용노동부에 의하면[1], 지난해 발생한 전체 산업재해자 수 90,656명 중 기타의 사업재해자 수가 29,692명(32.
고용노동부에 의한 산업재해자 수 중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건설업은 재해자가 많이 발생하고 중대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산업이다. 고용노동부에 의하면[1], 지난해 발생한 전체 산업재해자 수 90,656명 중 기타의 사업재해자 수가 29,692명(32.8%)으로 가장 많았고 건설업이 26,570명(29.3%)으로 전체 산업 중 두 번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건설업의 재해 사망자 수는 554명으로 전체산업 중 홀로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하였다.
50억 원 미만의 중소규모 사업장이 건설업 사고부상자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이유는? 8%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2]. 그 원인 중 하나로 중소규모 현장에서의 미흡한 안전점검을 꼽을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에는 정부와 사업주의 사업장에 대한 역할에 대해 명시되어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occurrence, Sejong-si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27 p. 

  2. Korea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4 Investigate Industrial Accident Cause(occupational diseases). Ulsan-si (Korea): Korea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5. 776 p. 

  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ww.law.go.kr.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41168#0000. 

  4. Jung GM. A study on the proposing an efficiency action plan based on analyzing current status of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 [master's thesis].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63 p. 

  5. Park SH. A Study on Suggestions Safety Management Checklist by the System Form [master's thesis]. [Gyeongsan-si (Korea)]: Yeungnam University; 2009. 64 p. 

  6.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Risk Assessment Model for Construction Industry. Ulsan-si (Korea): Korea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1. 535 p. 

  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5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Sejong-si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6. 761 p. 

  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Sejong-si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5. 751 p. 

  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Sejong-si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529 p. 

  1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Sejong-si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439 p. 

  1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Sejong-si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454 p. 

  1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08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Sejong-si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09. 1093 p. 

  13. Roh TW, Kang KS.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guidance(Focused on construction disaster).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16 Dec;18(4):47-55. 

  14. Ahn KY, Kang KS. Research on construction safety assessment topic areas : Focusing on domestic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15 Dec;17(4): 1-12. 

  15. Ahn KY.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education/ management and safety appliance in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08 Mar;10(1):33-40. 

  16. Shin WC, Kwon JH, Lee YS. Case study on prevention of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14 Sep;16(3):63-70. 

  17. Moon SW, Yang BS. USN-base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a Temporary Structure of Concrete Form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2012 Mar;32(2D): 159-66. 

  18. An SJ, Song SH. Integrated safety risk assessment and response preparation on construction site formwork using FMECA method.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12 Sep;14(3):39-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