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및 실존적 안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xistential Well-being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4 no.4, 2017년, pp.286 - 295  

심미라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  김진 (세경대학교 간호과) ,  최수경 (기독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dentifies spiritual care as a component of health and thus nursing care. There is a need to identify how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xistential well-being affects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9 nurses in G metropo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 영적간호역량 정도와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영적간호역량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포함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의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 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평균 2.
  •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 영적간호역량 정도와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또한 간호사의 종교적 특성은 영적간호수행의 영향 요인이 아니며[8,9], 기독교적 관점의 ‘영적간호모듈’ 교육 프로그램 후에도 간호사의 영적안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10].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종교적 안녕을 배제한 실존적 안녕을 변수로 선택하여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영적간호제공자의 필수 자질로 여겨지는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과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표준화된 영적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에서 정의한 건강이란 무엇인가? 간호의 대상인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 ․ 심리적 요소와 함께 영적 차원의 영역이 상호 통합되어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독특한 존재로 이해되고 있다[1]. 1998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건강을 ‘단지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영적 안녕이 역동적이며 완전한 상태’로 재정의함으로써, 영적차원이 종교적 신념이나 행위의 의미를 넘어 인간 내적 자원의 총체로서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필수적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2].
실제 현장에서 영적 간호를 수행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실제로 임상현장에서 많은 간호사들은 영적간호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영적간호에 대한 접근방법을 터득하지 못하여 혼란과 무력감을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서 보고 된 바 있다[5]. 이는 현실적으로, 영적 차원의 추상성, 심리적 영역과의 구분의 모호함, 종교적 개념과의 혼용 및 과학적 회의론 등으로 인해 대상자의 영적 간호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도 있지만[6] 무엇보다도 영적간호를 수행해야 할 간호사들이 체계적인 영적간호교육 및 훈련을 제공받지 못한 데에서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5]. 따라서 간호사가 영적간호 제공자로서 갖추어야 할 필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영적간호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7], 효과적인 교육 내용의 구성을 위해서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 정도 및 그 영향요인을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영적간호수행을 위해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무엇인가? 이에 외국에서는 간호과정을 적용할 때 영적간호가 포함된 사정, 진단, 중재 및 평가의 지침(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NANDA;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Nursing Outcomes Classification, NOC)이 수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질환으로 인해 삶의 위기에 처한 환자들의 실제적, 잠재적 영적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하고 높아진 대상자들의 영적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영적간호역량이 절실히 요구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atson J. Nursing: Human science and human care. A theory of nursing. New York: National League for Nursing; 1988. p. 55-56. 

  2. Ustun B, Jakob R. Re-defining 'Health'. Bull World Health Organ. 2005;83(11):802. 

  3. Ra JR. Effects of a spiritually based training program on the spiritual and psychosocial wellbeing, and leadership of preceptor nurses [dissertation]. Seoul: Catholic University; 2011. p. 14-18. 

  4. Fish S, Shelly JA. Spiritual care: The nurse's role. Illinois: Inter Varsity Press; 1978. p. 22-23. 

  5. Kang SR.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5):803-812. 

  6. McSherry W. The principal components model: A model for advancing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within nursing and health care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6;15(7):905-917.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648.x 

  7. Narayanasamy A. ASSET: A model for actioning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education and training in nursing. Nurse Education Today. 1999;19(4):274-285. https://doi.org/10.1054/nedt.1999.0637 

  8. Shin SJ, Choi MH. A study for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Chung-Ang Journal of Nursing. 2004;8(1):15-26. 

  9. Choi GH.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perception of spiritual needs of patients an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4):2245-2259. 

  10. Jeong JO, Jo HS, Kim SH. Effect of the spiritual care modul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6;22(1):51-62.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1.51 

  11. Baldacchino DR. Teaching on the spiritual dimension in care: The perceived impact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008;28(4):501-512. https://doi.org/10.1016/j.nedt.2007.09.002 

  12. van Leeuwen R, Cusveller B. Nursing competencies for spiritual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48(3):234-246.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4.03192.x 

  13. Yoo SY.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spiritual car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3):332-343. https://doi.org/10.7475/kjan.2013.25.3.332 

  14. Kim J, Choi S. Influence of self-esteem, empathy and existential well-being on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22(3):328-337. https://doi.org/10.7739/jkafn.2015.22.3.328 

  15. Jung MJ, Eun Y.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Base on the ASSET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73-683.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73 

  16. Shih FJ, Gau ML, Mao HC, Chen CH, Lo CH. Empirical validation of a teaching course on spiritual care in Taiw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6(3):333-346. 

  17.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8.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107-129. 

  19. Papa MJ. Communicator competence and employee performance with new technology: A case study.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1989;55(1):87-101. 

  20. Rubin RB, Martin MM, Bruning SS, Power D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1991 October; Atlanta. 

  21. Hur G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2003;47(6):380-408. 

  22.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eplau LA, Perman D, editor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2. p. 224-236. 

  23. Cho SH. The effects of a middle-aged Christian men's sense of religious and existential well-being on their self-identity and meaning of life [dissertation]. Cheonan: Baekseok University; 2009. p. 59-62. 

  24. van Leeuwen R, Tiesinga LJ, Middel B, Post D, Jochemsen H. An instrument to measure nursing competencies in spiritual c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scale. In: van Leeuwen R, editor. Towards nursing competencies in spiritual care.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Press; 2007. p. 131-151. 

  25. Lee HS. Effect of the occupational stress and self esteem on mental health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3):251-25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251 

  26. Sung MH, Kim YA, Ha MJ.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4):547-555. 

  27. Song HJ, Lee SM.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3):220-229.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20 

  28. Im SI, Park J, Kim HS.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 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74-282. https://doi.org/10.5807/kjohn.2012.21.3.274 

  29. Choi SS, Hur HK.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6;2(2):109-120. 

  30. Seo I, Yong J, Park J, Kim J. Spiritual and psychosocial effects of the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 o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6):726-734. https://doi.org/10.4040/jkan.2014.44.6.7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