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남성의 음주패턴과 비만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Drinking Patterns and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Me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1 no.3, 2017년, pp.478 - 491  

김보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이은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alcohol drinking patterns (drinking frequency, drinking quantity, binge drinking frequency and risk drinking) were related to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Methods: A total of 6,749 adult men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남성의 음주 빈도, 음주량, 폭음 빈도 및 위험음주 등의 음주패턴과 비만 및 복부비만과의 관련 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성인 남성들의 음주패턴과 비만 및 복부비만과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성인 남성의 비만 관리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음주패턴과 비만 및 복부비만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 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로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비만 유병률과 위험음주율이 높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후 음주 빈도, 음주량, 폭음 빈도 및 위험음주 등의 음주패턴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인 성인 남성의 음주와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비만 유병률과 위험음주율이 높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후 음주 빈도, 음주량, 폭음 빈도 및 위험음주 등의 음주패턴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인 성인 남성의 음주와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요인 중 음주가 미치는 영향은? 비만은 유전적 요인들과 더불어 신체활동, 영양, 음주, 흡연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중 음주는 비만이나 복부비만의 위험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판단되고있다(Oh, 2009). 알코올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물질로 1그램당 7.1kcal의 에너지를 제공하고(Yeomans,2010), 음식 섭취로 의한 에너지에 알코올 섭취로 추가된 에너지는 양의 에너지 균형(positive energy balance)을 통해 결국 체중을 증가시킨다(Yeomans,2010). 또한 알코올은 그 자체가 지방으로 전환되기보다는 식사량을 증가시키고, 간에서 아세테이트로 전환되어 말초 조직에서의 지방분해와 이용을 방해하는 등 다양한 기전으로 체내 지방의 축적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h, 2009).
국내 성인의 비만 유병률 통계치는 어떠한가? 비만 유병률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1980년 이후 현재까지 2배 이상 증가하였고(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서구사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주요한 공중보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Lee,Yoon, Baek, Hyung, & Kang, 2015). 국내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2015년 기준 남자 39.7%, 여자 26.0%로, 남자는 5명 중 2명, 여자는 4명 중 1명이 비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6).이는 2008년 성인 비만 유병률이 남자 35.
비만 유병률의 통계치는 어떠한가? 비만 유병률의 증가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1980년 이후 현재까지 2배 이상 증가하였고(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서구사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주요한 공중보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Lee,Yoon, Baek, Hyung, & Kang, 2015). 국내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2015년 기준 남자 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if, A. A., & Rohrer, J. E. (2005). Patterns of alcohol drinking and its association with obesity: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BMC Public Health, 5(1), 1-6. 

  2. Baek, S. I., & So, W. Y. (2012).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and the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and the frequency of severe alcohol intoxication. Obesity Research & Clinical Practice, 6(2), e159-e166. https://doi.org/10.1016/j.orcp.2011.08.001 

  3. Breslow, R. A., & Smothers, B. A. (2005). Drinking patterns and body mass index in never smokers: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97-2001.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1(4), 368-376. https://doi.org/10.1093/aje/kwi061 

  4. Bush, K. (1998). The AUDI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 (AUDIT-C): an effective brief screening test for problem drinking.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8(16), 1789-1795. https://doi.org/10.1001/archinte.158.16.1789 

  5. French, M. T., Norton, E. C., Fang, H., & Maclean, J. C. (2010). Alcohol consumption and body weight. Health Economics. 19(7), 814-832. http://dx.doi.org/10.1002/hec.1521 

  6. Kim, J. H., & Chun, S. S. (2014).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atterns of alcohol drinking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1), 99-108. 

  7. Kim, K. B., Ji, C. A., Kim, C. S., Park, H. S., Jeong, T. H., & Kim, M. C. (2008). Lifestyle in relation to increase in weight in korean middle-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Family Medicine, 29, 102-107. 

  8. Kim, S. J., & Cho, Y. C. (2015). The association of AUDIT Levels with obesity indices, liver function tests, and serum lipid levels in male health checkup examin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5), 3230-3242. http://dx.doi.org/10.5762/KAIS.2015.16.5.3230 

  9. Koh-Banerjee, P., Chu, N., Spiegelman, D., Rosner, B., Colditz, G., Willett, W., et al. (2003). Prospective study of the association of changes in dietary intake, physical activity,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with 9-y gain in waist circumference among 16587 US me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8(4), 719-727.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5).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Retrieved March 20, 2017,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6_02.do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Retrieved March 20, 2017,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12.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4). 2014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3(4), 217-221. https://doi.org/10.7570/kjo.2014.23.4.217 

  13. Lee, J. H. (2012). Analysis for drinking behavior in korean adults and proposal of screening tool for at-risk drinking: result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Lee, K. (2012). Gender-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drinking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Public Health Nutrition, 15(10), 1917-1924. https://doi.org/10.1017/s136898001100365x 

  15. Lee, S. M., Yoon, Y. D., Baek, J. H., Hyung, K. R., & Kang, H.R. (2015). Assessing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impacts of major health risk factors and regulatory policie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 

  16. Lukasiewicz, E., Mennen, L. I., Bertrais, S., Arnault, N., Preziosi, P., Galan, P., et al. (2005). Alcohol intake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and waist -to-hip ratio: the importance of type of alcoholic beverage. Public Health Nutrition, 8(3), 315-320. https://doi.org/10.1079/phn 2004680 

  17. Oh, S. W. (2009). Effects of alcohol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18(1), 1-7. 

  18. Park, K. Y., Park, H. K., & Hwang, H. S. (2017).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obesity and alcohol drinking pattern in normal-weight, middle-aged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3. Public Health Nutrition, 20(12), 2192-2200. http://dx.doi.org/10.1017/S1368980017001045 

  19. Ra, J. S., & Kim, H. S. (2015). Combined influence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on ischemic heart disease in korean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3), 540-550.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3.540 

  20. Rehm, J., Room, R., Graham, K., Monteiro, M., Gmel, G., & Sempos, C. T. (2003). The relationship of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and patterns of drinking to burden of disease: an overview. Addiction, 98(9), 1209-1228. https://doi.org/10.1046/j.1360-0443.2003.00467.x 

  21. Rohrer, J. E., Rohland, B. M., Denison, A., & Way, A. (2005). Frequency of alcohol use and obesity in community medicine patients. BMC Family Practice, 6(1), 1-8. http://dx.doi.org/10.1186/1471-2296-6-17 

  22. Shelton, N. J. & Knott, C. S. (2014).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alorie intake and overweight and obesity in English adul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4(4), 629-631. https://doi.org/10.2105/ajph.2013.301643 

  23. Sherwood, N. E., Jeffery, R. W., French, S. A., Hannan, P. J., & Murray, D. M. (2000). Predictors of weight gain in the Pound of Preven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4(4), 395-403. http://dx.doi.org/10.1038/sj.ijo.0801169 

  24. Tolstrup, J. S., Heitmann, B. L., Tjonneland, A. M., Overvad, O. K., Sorensen, T. I., & Gronbaek, M. N. (2005). The relation between drinking pattern and body mass index and waist and hip circum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9(5), 490-497. http://dx.doi.org/10.1038/sj.ijo.0802874 

  25. Traversy, G., & Chaput, J-P. (2015). Alcohol consumption and obesity: an update. Current Obesity Reports, 4(1), 122-130. http://dx.doi.org/10.1007/s13679-014-0129-4 

  26. Wakabayashi, I. (2010).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Japanese men and women. Journal of Atherosclerosis and Thrombosis, 17(7), 695-704. http://dx.doi.org/10.5551/jat.3517 

  27. Wannamethee, S. G., Shaper, A. G., & Whincup, P. H. (2005). Alcohol and adiposity: effects of quantity and type of drink and time relation with meal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9(12), 1436-1444. https://doi.org/10.1038/sj.ijo.0803034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9. Yeomans, M. R. (2010). Alcohol, appetite and energy balance: is alcohol intake a risk factor for obesity? Physiology & Behavior, 100(1), 82-89. https://doi.org/10.1016/j.physbeh.2010.01.012 

  30. Yoon, Y. S., Oh, S. W., Baik, H. W., Park, H. S., & Kim, W. Y. (2004). Alcohol consump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199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0(1), 217-2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