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wild yeast isolated from non-sterilized Makgeolli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7, 2017년, pp.1043 - 1051  

정수지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여수환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문지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최한석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백성열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각 지역의 생막걸리에서 분리된 야생 효모의 다앙한 발효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34종을 수집하고 효모를 분리, 동정하였다. 야생효모는 62 균주로 분리되었고, 2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와 Pichia kudriavzevii로 동정 되었다. 62개의 균주들 중 발효학적 특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선발하기 위해 황화수소와 $CO_2$ 생성능, 알코올 내성, 응집성 및 향기 성분 생성능을 분석하였다. 알코올 내성과 $CO_2$ 생성능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하였다. PC1 양의 방향에 강하게 부하되는 균주는 YM37, YM31, YM32, YM22로 분석되었으며, 총 0.14-0.18 g/72 h의 $CO_2$ 생성으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발효능을 보였고, 이들 중 YM22를 제외하고 불쾌취인 황화수소를 생성하지 않았다. 또한 이 4개의 균주들은 알코올 내성 15% 이상을 보유하며, 응집성은 0.5-1.0 mL 사이인 flocculation type으로 확인되었다. API 분석 및 cerulenin, TFL 저항성을 실험한 결과, 향기성분 생성능이 좋은 효모는 황화수소와 알코올 내성, 응집성 실험에서 우수한 발효학적 특성을 보인 YM37, YM31, YM32, YM22를 포함한 총 33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의 알코올 발효향미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분리된 야생 효모는 주류 제조의 종균 효모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d yeasts were isolated from domestic non-sterilized Makgeolli and thei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select the best fermentation seed culture. A total of 65 yeast strains isolated yeasts from non-sterilized Makgeolli and Nuruk. In order to select fermentable strains, hydrogen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에 개최된 우리 술 품평회에서 입상한 다양한 지역의 생막걸리를 수집하여 야생 효모를 분리 동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배양특성, 생리특성 및 발효 특성을 조사하여 고부가가치 발효 스타터 개발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막걸리 및 청주, 약주 등 한국의 전통주는 찹쌀, 멥쌀의 전분질을 원료로 하고, 발효제로써 누룩을 첨가하여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것으로(1) 당화와 발효가 동시에 일어 나는 병행복발효주이다(2). 막걸리의 원료인 누룩은 자연에서 유래한 미생물로 곰팡이, 효모, 젖산균 등 미생물의 종류와 그 비율이 다양하다(3).
막걸리 및 청주, 약주의 등 전통주가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지는 이유는? 막걸리의 원료인 누룩은 자연에서 유래한 미생물로 곰팡이, 효모, 젖산균 등 미생물의 종류와 그 비율이 다양하다(3). 전통주는 양조시 젖산균, 곰팡이 등으로 인한 효소작용으로 원료 성분이 분해되면서 당, 아미노산, 유기산 등이 생성되고(4) 효모의 유리 아미노산과 핵산 물질이 분해되어 알코올 발효 시 정미성분 형성으로 품질의 조화를 이룬다(4,5). 이러한 미생물의 다양성은 효소 활성, 알코올 발효력, 유기산과 유리 아미노산 함량 등에서 차이를 나타나게 되고 이는 우리 술의 맛, 향기, 색 등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6).
막걸리의 원료는? 막걸리 및 청주, 약주 등 한국의 전통주는 찹쌀, 멥쌀의 전분질을 원료로 하고, 발효제로써 누룩을 첨가하여 술덧을 혼탁하게 제성한 것으로(1) 당화와 발효가 동시에 일어 나는 병행복발효주이다(2). 막걸리의 원료인 누룩은 자연에서 유래한 미생물로 곰팡이, 효모, 젖산균 등 미생물의 종류와 그 비율이 다양하다(3). 전통주는 양조시 젖산균, 곰팡이 등으로 인한 효소작용으로 원료 성분이 분해되면서 당, 아미노산, 유기산 등이 생성되고(4) 효모의 유리 아미노산과 핵산 물질이 분해되어 알코올 발효 시 정미성분 형성으로 품질의 조화를 이룬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 391-396 

  2. Jung SJ, Chung CH (2017)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ale beer with Nuruk, a Korean fermentation star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132-140 

  3. Lee YS, Seol JM, Jeong DY, Kim SR (2016) Application of functional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rice wine in Korea. Microbiol Biotechnol Lett, 44, 229-235 

  4. Kim HR, Kwon YH, Jo SJ, Kin JH, Ahn BH (2009) Characterization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glutinous rice wines prepared with different yeasts of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96-301 

  5. Jung SJ (2015) Beer production and properties using Nuruk, a Korean fermentation starter. MS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p 10-14 

  6. Choi DH, Park EH, Kim MD (2014) Characterization of starch-utilizing yeast Saccharomycopsis fibuligera isolated from Nuruk.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 407-412 

  7. Jeong ST, Kwak HJ, Kim S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genic amine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commercial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27-734 

  8. Baek SY, Lee YJ, Kim MD, YI JH, Mun JY Yeo SH (2015) Characterization of ethanol fermentation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227-235 

  9. Baek SY, Lee YJ, Kim JH, Yeo SH (201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for improving liquor flavor and quality.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56-64 

  10. Baek CH, Choi JH, Choi HS, Jeong ST, Kim JH, Jong YJ,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produc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168-175 

  11. Lee JW, Sh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freezing storage. Food Eng Prog, 14, 328-334 

  12. Lee DH, Kim JH,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Nutr, 22, 606-611 

  13. Kim GW, Lee JH, Lee SA, Shim JY (2012) Brewing characteristics of grape-Makgeolli. Food Eng Prog, 16, 263-269 

  14. Park MJ, Kim HK, Choi KK, Koo BY, Lee SK (2016)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containing Aronia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27-35 

  15. Lee HL, Kang KW, Seo DH, Jung JH, Jung DH, Kim GW, Park SY, Shin WC, Shim HS, Park CS (2015) Divers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Makgeolli and their produ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04-210 

  16. Park JH, Chung CH (2014) Characteristics of Takju (a cloudy Korean rice wine) prepared with Nuruk (a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fermentation starter),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153-164 

  17.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18. Saitou N,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s: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19. Comitini F, Gobbi M, Domizio P, Romani D, Lencioni L, Mannazzu I, Ciani M (2011) Selected non-Saccharomyces wine yeasts in controlled multistarter fermentations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Food Microbiol, 28, 873-882 

  20. Tracey R.P, Simpson E (1986) Effect of rehydration temperature of active dried yeast on wine production and quality. S Afr J Enol Vitic, 7, 66-70 

  21. Helm E, Nohr B, Torne RSW (1953) The measurement of yeast flocculation and its significance in brewing. Wallerstein communications, 11, 315-326 

  22. Viana F, Gil JV, Genoves S, Valles S, Manzanares P (2008) Rational selection of non-Saccharomyces wine yeasts for mixed starters based on ester formation and enological traits. Food Microbiol, 25, 778-785 

  23. Kim YR, Moon ST, Park SK (2008) Effects of yeast strain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in production of hydrogen sulfide during beer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38-242 

  24. Verstrepen KJ, Derdelinckx G, Verachtert H, Delvaux FR (2003) Yeast flocculation: what brewers should know. Appl Microbiol Biotechnol, 61, 197-205 

  25. Burns JA (1937) Yeast flocculation. J Inst Brew, 43, 31-43 

  26. Seo DJ, Yeo SH, Mun JY, Jung WJ, Cho YS, Baek SY (2015) Characteristics of yeast with low temperature adaptation for Yakju brewed. Korean J Food Preserv, 22, 908-914 

  27. Verstrepen KJ, Derdelinckx G, Dufour JP, Winderickx J, Thevelein JM, Pretorius IS, Delvaux FR (2003) Flavor-Active Esters: Adding Fruitiness to Beer. J Biosci Bioeng, 96, 110-1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