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지식과 태도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students majoring in health-related field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1 no.3, 2017년, pp.17 - 33  

정현숙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홍선우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attitudes of students majoring in health-related fields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knowledge and attitudes in AED use among the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AED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최초반응자의 AED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시행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AED에 대한 세부 지식에서 특히 모르는 부분은 무엇인가? 또한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AED에 대한 세부 지식정도를 부적으로 파악한 결과, 중요성을 잘 알고 있으나 사용방법을 잘 모르고 있었다. 특히 AED 사용방법 중에서 72.1%가 제세동 직후 호흡을 확인해야 한다고 모르고 있거나 잘못 알고 있었다. 환자에게 전기충격 직후에 가슴압박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나 대부분 보건계열 대학생들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28.
자동제세동기란?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잔떨림을 제거하는 기기 즉,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의 비정상적인 박동을 전기 충격으로 제거해서 심장의 정상 리듬을 가져오게 해주는 기기이다. 제세동의 적절한 시기를 놓치면 심정지 리듬은 전기적 치료를 요하지 않는 무수축이나 무맥성 전기활동 상태가 되어 병원도착 후에도 생존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다.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초반응자인 현장의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과 조기 제세동이 매우 중요하다며, 보건계열 학생들은 특히 병원 내외에서 심정지 환자의 최초 반응자가 될 확률이 높다. 이에 보건계열 대학생의 AED 사용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고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 최초 반응자의 AED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프로그램 보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 Available at: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99940&page1 2014.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cute cardiac arrest survey: standardized incidence rate. Available at: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88N_001&vw_cdMT_ZTITLE&list_idD1_11788&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016. 

  3. Cobb LA, Fahrenbruch CE, Olsufka M, Copass MK. Changing incidence of out of hospital ventricular fibrillation, 1980-2000. JAMA 2002;288(23):3008-13. https://doi.org/10.1001/archinte.1993.00410110070011 

  4. Cho BJ, Kim SR. The effect factors of survival rate in the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2):760-6. https://doi.org/10.5762/KAIS.2014.15.2.760 

  5. Caffrey SL, Willoughby PJ, Pepe PE, Becker LB. Public use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N Engl J Med 2002;347(16):1242-7. https://doi.org/10.1056/NEJMoa020932 

  6. White MJ, Loccoh EC, Goble MM, Yu SK, Duquette D, Davis MM et al. Availa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in public high schools. J Pediatrics 2016;172:142-6e1. https://doi.org/10.1016/j.jpeds.2016.02.010 

  7. Lee HB.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Retrieved August 17, 2017 from http://www.dsi.re.kr/board.es?mida10101000000&bid0001&actview&list_no4600 

  8. Colquhoun MC. Chamberlain DA. Newcombe RG. Harris R. Harris S. Peel K et al. A national scheme for public access defibrillation in England and Wales. Resuscitation 2008;78(3):275-80.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8.03.226 

  9. Valenzuela TD, Roe DJ, Shan Cretin, Spaite DW, Larsen MP. Estimating effectiveness of cardiac arrest interventions: a logistic regression survival model. Circulation 1997;96:3308-13. https://doi.org/10.1161/01.CIR.96.10.3308 

  10. Leem SH. South Korea and Japanese intention to us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situations. Korean J Emerg Med Ser 2014;15(1):17-27. https://doi.org/10.14408/KJEMS.2014.18.1.017 

  11. Park SG, Park CH, Chae MJ. Knowledge and current status about AED in the public facilities. Korean J Emerg Med Ser 2010;14(3):13-28. 

  12. Kwon P, Kim MJ, Lee YM, Yu Ky, Huh Y. Locating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in a complicated urban environment considering a pedestrian-accessible network that focuses o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ISPRS Int J Geo-Inf 2017:6(2):39. http://www.mdpi.com/2220-9964/6/2/39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 Available at: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9011&page1 2017.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 Available at: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287690&page1. 2013 

  15. Park SS, Lee CH, An JY. Comparison of educational effects between VSI (video self-instruction) and lecturer-centered learning on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some undergraduates. J Korea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10;11(2):129-40. 

  16. Yoon JM, Hwang SO, Cha YS, Kim OH, Kim TH, Jung WJ et al. 'Push Hard and Fast' voice prompt from AED can improv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performed by untrained lay people. J Korean Soc Emerg Med 2014;25(4):435-9. 

  17. Park HJ. The investigation into the use and management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in multiple public facilities : focusing on randomly chosen area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13, Seoul, Korea. 

  18. Park CM.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sport facilities-focused on health/fitness facilit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2013;16(4):165-89. https://doi.org/10.19051/kasel.2013.16.4.165 

  19. Gang BR, Yang HM, Lee IS. Analysis of contents of website information about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3;7(3):29-44. https:/doi.org/10.12811/kshsm.2013.7.3.029 

  20. Koh CY, Kim CH. Comparing the fully-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semi-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ed by laypersons: a simulation study. J Korean Soc Emerg Med 2013;24(4):362-9. 

  21. Park JM.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ior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2):29-41. https://doi.org/10.14408/KJEMS.2013.17.2.029 

  22. Shin JH. Performance ability after CPR education of the ground workers in an airport.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3):29-40. 

  23. Bae HA. Public access defibrill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Medicine and Law 2008;16(1):7-22. 

  24. Lee GH, Kim HT, Choi KH. Research on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CPR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2009;13:14-52. 

  25. Kim HS, Uhm DC, Hong SW. Factors influen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erformance on a stranger.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0;16(2):339-46.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2.339 

  26. Taniguchi T, Omi W, Inaba H. Attitudes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e in Japan. Resuscitation 2008;79(2):288-91.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8.05.011 

  27. Lee JH, Sung MH.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ility of CPR of hospital staff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3;19(2):96-103.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2.96 

  28. Lubin J, Chung SS, Williams K. An assessment of public attitudes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Resuscitation 2004;62.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4.02.006 

  29. Woollard M, Whitfield R, Smith A, Colquhoun M, Newcombe RG, Vetter N et al. Skill acquisition and retention i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use and CPR by lay responders: a prospective study. Resuscitation 2004;60:17-28.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3.09.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