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를 매개로
The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on a Child's Sleeping Hours: The Mediation of a Child's Smart Media Us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6, 2017년, pp.163 - 179  

이종은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지윤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박은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est a direct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mart media use on a child's sleeping hours. Methods: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data of 1,494 children from the $6^{th}$ panel study of Kor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수면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그림 1] 참고). 이를 위해 우선 모-자녀 상호작용이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가 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모-자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를 매개로 유아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집한 한국아동 패널(PSKC)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모-자녀의 상호작용과 유아 수면시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유아의 수면 문제는 인간의 생물적 요인과 심리 및 정서적인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김숙희 등, 2016). 본 연구는 이러한 수면 문제의 원인과 수면 문제가 발생되는 과정들을 단순한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유아의 모-자녀 상호작용이라는 가족환경과 스마트미디어라는 생활환경 측면에서 그 원인을 다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즉, 모자녀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면 유아의 심리적 불안이나 부정적 정서형성으로 인해 수면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으나, 모-자녀의 부족한 상호작용은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를 증가시켜 유아가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게 만드는 과정에 이른다는 것이다.
  • 셋째, 본 연구는 모-자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유아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였다. 유아의 수면 문제는 인간의 생물적 요인과 심리 및 정서적인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관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김숙희 등, 2016).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수면시간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으로는 모의 우울과 아동의 성별 등이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는 모-자녀의 상호작용과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수면시간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한 아동복지에 대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의 수면연구가 아직 미흡한 우리나라의 연구실정에서 유아의 부족한 수면시간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파악하였다. 즉, 유아의 권장 수면시간에 모- 자녀의 상호작용과 스마트미디어의 이용 정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모-자녀 상호작용은 수면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미디어의 사용도 수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각 변수들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9>에 제시하였다.
  • 연구문제 1. 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성장기 발달문제를 유발시키는 수면부족 및 수면문제의 내적 요인 및 외적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유아의 성장기 발달문제를 유발시키는 수면부족 및 수면문제는 아동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가정 및 사회 환경 등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된다(최용락 등, 2009; Owens,2005). 유아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으로는 발달 단계적 유아의 기질, 성별, 건강상태 등이 있으며(차병호, 2007), 이 외에도 몽유병, 분리불안, 악몽 등의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이 유아 수면부족 및 수면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차병호, 2007; 최용락 등, 2009; Lozoff, Askew, & Wolf,1996; Rona, Li, Gulliford, & Chinn, 1998; Stores, 1999). 외적 요인으로는 물리적 수면환경(공간․소음․수면 공간 공유 등), 가족구성(가족원의 수․연령․형제들의 건강상태), 부모의 갈등, 우울,생활양식, 사회경제적 지위 등이 유아의 수면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려된다(최용락 등 2009; El-Sheikh, Buckhalt, Mize, & Acebo, 2006).
수면이란 무엇인가? 수면은 인간의 삶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생체활동으로, 에너지의 균형, 생리적인 욕구,체중유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Lumeng et al., 2007; 김유라, 이경숙에서 재인용, 2011), 신체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에너지와 건강 유지를 위한 필수적인 생리 과정이다(Foreman & Wykle, 1995).
수면의 역할을 무엇인가? 수면은 인간의 삶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생체활동으로, 에너지의 균형, 생리적인 욕구,체중유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Lumeng et al., 2007; 김유라, 이경숙에서 재인용, 2011), 신체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에너지와 건강 유지를 위한 필수적인 생리 과정이다(Foreman & Wykle,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권미경, 박현숙, 유주희, 한경옥 (2016). 유아기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4), 121-138. doi:10.15284/kjhd.2016.23.4.121 

  2. 김경중, 김진숙, 임경진 (2016). 영유아기 스마트폰 사용 실태 관련 연구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6), 423-432. doi:10.14257/AJMAHS.2016.06.15 

  3. 김선미 (2010).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증상과 수면의 질이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수정 (2015). 유아의 수면 습관이 인지,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9(3), 319-341. 

  5. 김수정, 정익중 (2016). 초중고생의 수면 시간이 부모양육태도의 매개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3), 13-26. doi:10.5723/kjcs.2016.37.3.13 

  6. 김숙희, 조민규, 김춘경 (2016).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유아의 수면간의 관계에서 모아 간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5(1), 69-82. doi:10.17643/KJCE.2016.25.1.04 

  7. 김유라, 이경숙 (2011).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수면실태, 수면문제행동, 비만과의 관련성 연구. 재활심리연구, 18(2), 87-109. 

  8. 김윤희 (2015). 만 4세 유아의 야간 수면길이와 문제행동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1), 351-375. 

  9. 김지윤, 강현아 (2017).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의존도를 매개로 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8), 39-52. doi:10.5392/JKCA.2017.17.08.039 

  10. 김환남, 이선애, 이은경, 천재현, 김성희 (2014). 스마트미디어 노출 환경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4), 127-153. 

  11. 나용선 (2013).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이용 유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3), 32-53. 

  12. 문정숙, 김영희 (2007). 어머니의 우울과 수면의 질 및 부부갈등이 아동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가족수입을 조절변인으로. 놀이치료연구, 11(1), 1-19. 

  13.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14. 박성희 (2012).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모아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아동간호학회지, 18(1), 36-42. 

  15. 박성희 (2014).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아동 건강 상태, 건강 관련 삶의 질 및 사회적 발달 간의 관계. 아동간호학회지, 20(4), 255-263. doi:10.4094/chnr.2014.20.4.255 

  16. 박은혜, 강현아 (2014).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6(4), 225-246. 

  17. 박진성 (2012).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5), 253-272. 

  18. 안수빈, 이강이 (2017. 11). 만 0-3세 아동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수면간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9. 안윤영, 이정숙 (2002). 수면장애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9(6), 127-148. 

  20. 이경선, 이정화 (2008). 아동의 컴퓨터게임 이용 실태에 따른 게임몰입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3), 182-189. 

  21. 이경숙, 박미현, 박진아 (2008. 8). 유아의 수면 행동 양상과 성차 및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22.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정유경 (2005). 과도한 영상물 노출양육이 영유아의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상군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2), 75-103. 

  23. 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2015). 0-3세 영상물 과다사용군 부모의 상호작용 기술 증진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4), 109-133. 

  24. 이원석, 성영화 (2012).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6(1), 20-38. 

  25. 이종은 (2015). 어머니의 교육열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계숙, 노진형 (2004).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모-자 상호작용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아동학회지, 25(5), 73-94. 

  27. 정미경, 김영희 (2003).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8), 123-137. 

  28. 차병호 (2007). 소아기 수면 장애. 대한소아과학회지, 50(8), 718-725. 

  29. 채규영 (2007). 수면의 생리. 대한소아과학회지, 50(8), 711-717. 

  30. 최용락, 서완석, 성형모, 구본훈, 김경근, 김소연 등 (2009). 아동 수면 양상과 관련된 지역별 사회, 환경적 요인들. 생물치료정신의학, 15(1), 80-87. 

  31. 하경화 (2010). 어머니-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따른 만3세 유아의 사회적 행동.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홍남희 (2012). 초기 모성수행기 여성들의 스마트폰 이용. 미디어, 젠더 & 문화, 21, 135-164. 

  33. Ahn, Y. M., Williamson, A. A., Seo, H. J., Sadeh, A., & Mindell, J. A. (2016). Sleep patterns among South Korean infants and toddlers: Global comparison.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1(2), 261-269. doi:10.3346/jkms.2016.31.2.261 

  34. Bell, B. G., & Belsky, J. (2008). Parents, parenting, and children's sleep problems: Exploring reciprocal effects. Th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4), 579-593. doi:10.1348/026151008x285651 

  35. Camhi, S. L., Morgan, W. J., Pernisco, N., & Quan, S. F. (2000). Factors affecting sleep disturbanc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leep Medicine, 1(2), 117-123. doi:10.1016/s1389-9457(99)00005-2 

  36. Cespedes, E. M., Gillman, M. W., Kleinman, K., Rifas-Shiman, S. L., Redline, S., & Taveras, E. M. (2014). Television viewing, bedroom television, and sleep duration from infancy to mid-childhood. Pediatrics, 133(5), 1163-1171. doi:10.1542/peds.2013-3998d 

  37. Cheung, C. H. M., Bedford, R., Saez De Urabain, I. R., Smith, A. K., & Smith, T. J. (2017). Daily touchscreen use in infants and toddlers is associated with reduced sleep and delayed sleep onset. Scientific Reports, 7, 1-7. doi:10.1038/srep46104 

  38. Dahl, R. E., Rosen, R. C., & Lewin, D. S. (2002). Preliminary evidence of behavioral and cognitive sequelae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children. Sleep Medicine, 3(1), 5-13. doi:10.1016/s1389-9457(01)00070-3 

  39. De Jong, E., Stocks, T., Visscher, T. L., HiraSing, R. A., Seidell, J. C., & Renzaho, A. (2012).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overweight.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6(10), 1278-1284. doi:10.1038/ijo.2012.119. 

  40. El-Sheikh, M., Buckhalt, J. A., Mize, J., & Acebo, C. (2006). Marital conflict and disruption of children's sleep. Child Development, 77(1), 31-43. doi:10.1037/e694662007-001 

  41. Francazio, S. K., Fahrenkamp, A. J., D'Auria, A. L., Sato, A. F., & Flessner, C. A. (2015). Parent psychopathology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leep problems in children. Families, Systems, & Health, 33(2), 146-154. doi:10.1037/fsh0000119 

  42. Fonagy, P. (2001). The human genome and the representational world: The role of early mother-infant interaction in creating an interpersonal interpretive mechanism. Bulletin of the Menninger Clinic, 65(3), 427-448. doi:10.1521/bumc.65.3.427.19844 

  43. Foreman, M. D., & Wykle, M. (1995). Nursing standard-of-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Geriatric Nursing, 16(5), 238-243. doi:10.1016/s0197-4572(05)80173-9 

  44. Hale, L. (2015). Screen time and sleep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leep Medicine Reviews, 21, 50-58. doi:10.1016/j.smrv.2014.07.007 

  45.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L. T., et al. (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 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doi: 10.1017}S0033291702006074 

  46. Killgore, W. D., Kahn-Greene, E. T., Lipizzi, E. L., Newman, R. A., Kamimori, G. H., & Balkin, T. J. (2008). Sleep deprivation reduces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nstructive thinking skills. Sleep Medicine, 9(5), 517-526. doi:10.1016/j.sleep.2007.07.003 

  47. Lozoff, B., Askew, G. L., & Wolf, A. W. (1996). Cosleeping and early childhood sleep problems: effects of ethnicity and socioeconomic status.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17(1), 9-15. 

  48. Lumeng, J. C., Somashekar, D., Appugliese, D., Kaciroti, N., Corwyn, R. F., & Bradley, R. H. (2007). Shorter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being overweight at ages 9 to 12 years. Pediatrics, 120(5), 1020-1029. doi:10.1016/s0084-3954(08)79183-8 

  49. Mindell, J. A., Sadeh, A., Kohyama, J., & How, T. H. (2010). Parental behaviors and sleep outcomes in infants and toddlers: A cross-cultural comparison. Sleep Medicine, 11(4), 393-399. doi:10.1016/j.sleep.2009.11.011 

  50. Owens, J. A. (2005). Introduction: culture and sleep in children. Pediatrics, 115(1), 201-203. 

  51. Ramos, K. D., Youngclarke, D., & Anderson, J. E. (2007). Parental perceptions of sleep problems among co-sleeping and solitary sleeping childre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6(4), 417-431.doi: 10.1002/icd.526 

  52. Rona, R. J., Li, L., Gulliford, M. C., Chinn, S. (1998). Disturbed sleep: effects of sociocultural factors and illness. Arch Dis Child, 78(1), 20-25. 

  53. Short, M. A., Gradisar, M., Wright, H., Lack, L. C., Dohnt, H., & Carskadon, M. A. (2011). Time for bed: Parent-set bedtimes associated with improved sleep and daytime functioning in adolescents. Sleep, 34(6), 797-800. doi:10.5665/sleep.1052 

  54. Stores, G. (1999). Children' sleep disorders: Modern approaches, developmental effects, and children at special risk.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1(8), 568-573. doi: 10.1111/j.1469-8749.1999.tb00657.x 

  55. Thoman, E. B. (2005, August). Sleeping Behaviour and Its Impact on Psychosocial Child Development. Retrieved December 14, 2017 from http://www.child-encyclopedia.com/sleeping-behaviour/according-experts/sleeping-behaviour-and-its-impact-psychosocial-child. 

  56. Touchette, E., Cote, S. M., Petit, D., Liu, X., Boivin, M., Falissard, B., et al. (2009). Short nighttime sleep-duration and hyperactivity trajectories in early childhood. Pediatrics. 124(5), 985-993. doi:10.1542/peds.2008-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