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y of groundwater level management in Nakdong river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12, 2017년, pp.815 - 825  

양정석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이재범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김일환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PSIS (Techniques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를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21개 시 군을 대상으로 지하수위관리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낙동강 유역 21개 시 군을 대상으로 자연, 인문, 사회적 자료를 수집하여 10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를 스케일 재조정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하고,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반영하여 각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가중치 산정 설문 결과 연평균 지하수위 지표가 0.157으로 가장 큰 가중치를 받았으며, 연평균 강수량 지표가 0.154, 연도별 지하수함양량 지표가 0.152로 얻어졌다. 가장 적은 가중치를 얻은 지표는 인구 밀도로 0.043 의 가중치를 얻었다. 최종적으로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결과, 상주가 연평균 강수량, 연평균 지하수 함양량, 연평균 지하수 이용량 지표에서 높은 순위의 취약성을 보여 낙동강 유역 21개 시 군 단위 행정구역 중 가장 취약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그 뒤로 예천군, 함안군의 순으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 한국의 5대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는 전국 지하수위 관리 정책 수립에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water management vulnerability was assessed using TOPSIS (Techniques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for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akdong river basin. Ten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Nakdong river basin by collecting natural, h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수자원 중 지하수의 수위를 낙동강 유역의 행정구역 별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지하수 관리는 지하수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의 상호 비교 평가를 통하여 지하수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인자를 판단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 낙동강 유역의 행정구역 별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행정구역 별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를 위하여 연구지역으로 낙동강 본류가 흐르는 21개 시 ․ 군을 선정하였고, 행정구역 별 자연, 인문, 사회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 중 결측 일이 10일 이하 이고 1996년부터 2015년까지 연속된 자료에 대해서 지하수위 관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지표로 선정하였다.
  • 또한 지하수위는 가뭄 또는 홍수 같은 재해, 지하수 대수층 오염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한 지표로서 사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한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여 행정구역 별 지하수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지하수위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향후 연구에서 지표의 종류를 더욱 세분화 하고 계층화하여더욱 객관성 있는 지표 및 가중치 선정 과정이 이루어진다면 지하수위 관리, 나아가 지하수자원 측면에서 행정구역 별로 다양한 정책적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이후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행정구역뿐만 아니라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유역의 행정구역에 대해서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수자원이 부족한 행정구 역에서 지하수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취수원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 판단의 근거를 제시하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성이란? IPCC (2013)은 우리나라가 포함된 중위도 지역의 건기와 우기의 강우편차가 증가하고, 지표온도의 상승에 따라 극한강우사상이 더 빈번하게 발생할 것을 경고 하였다.IPCC (2007)에서는 기후변화 취약성은 유역의 자연재해 등에 대응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했는데, 취약성이란 일반적으로 재해로 인해 발생할지 모르는 잠재적 피해량을 의미한다. Chung et al.
지하수 관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본 연구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수자원 중 지하수의 수위를 낙동강 유역의 행정구역 별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지하수 관리는 지하수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의 상호 비교 평가를 통하여 지하수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인자를 판단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하수위에 대한 행정구역별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지하수위에 영향을줄 수 있는 자연, 인문, 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10개의 인자들을 설문 결과를 통하여 지표로 선정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지하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이유는? 이러한 상황에서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오염에 대한 위험이 적고 각종 용수로의 생산 단가가 높지 않아 지표수 보다 안정적인 수원으로서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환경오염 등의 외부적인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현 상황에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자원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Chenini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enini, I., Zghibi, A., and Kouzana, L. (2015). "Hydrogeological investigations and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mapping for groundwater resource protection and management: state of the art and a case study." Journal of African Earth Sciences, Vol. 109, pp. 11-26. 

  2. Chung, I. M., Lee, J. W., and Kim, N. W. (2011). "Estimation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in Musimcheon watershed by using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44, No. 5, pp. 433-442. 

  3. Chung, J. W., Lee, W. K., Choi, G. S., Lee, S. C., Choi, S. H., and Choi, H. A. (2010). "Application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s for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by spatial and watershed scales."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 1, No. 1, pp. 21-30. 

  4. Farjad, B., Zulhaidi, H., Mohamed, T. A., Pirasteh, S., and Wijesekara, N. (2012). "Groundwater intrinsic vulnerability and risk mapping." Water Manage, Vol. 165, pp. 441-450. 

  5. Hwang, C. L., and Yoon, K. (1981). "Multiple attribute decision making an introduction."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London New Delhi, pp. 38-45. 

  6.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synthesis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7.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8. Jose, A. R., Felipe, O. T., Ismael, S. M. (2012). "Analysis of aquifer vulnerability and water quality using SINTACS and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 66, No. 8, pp. 2257-2271. 

  9. Lee, B. J., Ha, G. C., Koo, M. H., Moon, S. H., Cho, M. J., and Cho, S, H. (2006). "Effluent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stream/groundwater interac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62, No. 4, pp. 625-633. 

  10. Lee, H. J., Park, E. G., Kim, K. J., and Park, K. H. (2008). "A joint application of DRASTIC and numerical groundwater flow model for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of Buyeo-eup area."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13, No. 1, pp. 77-91. 

  11. Linstone, H. A., and Turoff, M. (1975). The Delphi method: Techniques and applications, Vol. 29, Reading, MA: Addison-Wesley. 

  12.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 (2007). Groundwater Management Plan Report. Korea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 pp. 13-15.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Statistics of Waterworks. Minitstry of Environment, pp. 262-269.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Groundwater Investigation Annual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Groundwater Observation Annual Re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6. Nardo, M., Saisana, M., Saltelli, A., and Tarantola, S. (2005). "Tools for composite indicators building. European Commission, EUR 21682 EN." Institute for the Protection and Security of the Citizen, Joint Research Centre Ispra, Italy. 

  17. Park, H. S., Kim, J. B., Um, M. J., and Kim, Y. J. (2016). "Assessment of water use vulnerability in the unit watersheds using TOPSIS approach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weigh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8, pp. 392-685. 

  18. Yang, J.-S., and Kim, I.-H. (2013). "Development of drought vulnerability index using Delphi method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trend analysis in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6, pp. 2245-2254. 

  19. Yang, J.-S., Park, J.-H., and Kim, N.-K. (2012). "Development of drought vulnerability index using trend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3, pp. 185-192. 

  20. Yang, J.-S., Son, M.-W., Chung, E.-S., and Kim, I.-H. (2015). "Prioritizing feasible locations for permeable pavement using MODFLOW and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9, No. 12, pp. 4539-45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