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의 성교육에 대한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f Sex Education for School Age Children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3, 2017년, pp.251 - 265  

이재영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제민지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n integrative review to analyze articles about sex education for school age children in Korean journals. This study explored the year, methods, major variables and key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Methods: Five electronic databases and eleven journals of nursing in Korean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교육은 사회 ․ 환경적 변화를 반영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4], 효율적 교육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성교육 및 성건강과 관련된 개념을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분석한 통합적 고찰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16,17].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학령기 아동 대상 성교육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추후 학령기 아동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맞춤형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보고된 학령기 아동의 성교육 연구를 분석 및 평가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성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성교육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회 ․ 환경적 변화를 반영한 학령기 아동의 성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학령기 아동 대상 성교육 연구를 고찰하여, 이들에게 시행된 성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결과를 통합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출판된 7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통합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의 성에 대한 인식, 이해 및 요구를 바탕으로 성교육이 구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특히, 아동들의 성적 성숙이 조기화되고 텔레비전이나 인터넷과 같은 매체를 통해 올바르지 못한 성 정보에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올바른 성교육에 대한 요구는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시행된 성교육 관련 국내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는 것을 통하여 추후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건강 증진 간호중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에 대한 국내연구를 Whittemore와 Knafl [16]의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통합적 고찰의 지침에 따라 국내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연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선정된 문헌은 총 75편이었으며, 1990년부터 현재까지 학령기 아동의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두 번째 단계는 문헌검색 단계(literature search stage)로 체계적인 문헌 검색전략을 수립하여 첫 단계에서 규명한 연구문제에 알맞은 자료를 찾아내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확한 문헌검색 전략을 수립한 후에 불완전하고 편향된 검색을 지양하고자, 사전 조사를 통하여[12,13] 포괄적인 개념을 도출할 수 있는 주요용어(key word)를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주제에 대한 모든 관련 문헌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다양한 학술검색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고 학술지를 수기검색(hand searching)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부합한 자료의 질평가를 시행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이전에 수차례 연구진 회의를 통해 엄격한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심도 깊은 논의를 하여 이를 자료에 적용하였고 일정한 심사를 거쳐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 학령기 아동을 위한 올바른 성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를 취합하여 포괄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까지 수행된 학령기 아동 성교육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통하여 장기간 연구의 추이를 파악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기존의 학령기 아동 성교육 중재의 내용과 방법을 파악하고, 그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기 아동의 나이는? 학령기 아동은 6세부터 12세이며[1] 학령기 아동에게 제공되는 보건교육은 건강에 대한 올바른 지식, 태도 및 행위를 형성하도록 이끌어준다[2]. 이를 통하여 생애 건강관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개인을 비롯한 가족과 사회에 큰 파급효과를 가진다[3].
학령기 아동에게 제공되는 보건교육 중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교육은? 이를 통하여 생애 건강관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개인을 비롯한 가족과 사회에 큰 파급효과를 가진다[3]. 성교육은 학령기 아동에게 제공되는 보건교육 중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데[4] 학령기 아동은 이차 성징과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이성과 신체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나, 인지적 발달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각종 성 관련 범죄나 학대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5]. 또한 최근 아동의 성적 성숙은 조기화되고 있으나[6] 스마트폰이나 인터넷과 같은 대중 매체의 발달로 무분별하면서도 자극적인 성에 대한 정보가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어[7] 성에 관련된 교육적 관심이 더욱더 요구된다.
성에 대한 교육이 보건교육 중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이유는? 이를 통하여 생애 건강관리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개인을 비롯한 가족과 사회에 큰 파급효과를 가진다[3]. 성교육은 학령기 아동에게 제공되는 보건교육 중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데[4] 학령기 아동은 이차 성징과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이성과 신체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나, 인지적 발달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각종 성 관련 범죄나 학대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5]. 또한 최근 아동의 성적 성숙은 조기화되고 있으나[6] 스마트폰이나 인터넷과 같은 대중 매체의 발달로 무분별하면서도 자극적인 성에 대한 정보가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어[7] 성에 관련된 교육적 관심이 더욱더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ockenberry MJ, Wilson D, Rodgers CC.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E-book. 10th ed. USA: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 p. 429-500. 

  2. Im YL, Park KM. Effects of sexuality education coaching program on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Nursing. 2014;44(1):31-40. https://doi.org/10.4040/jkan.2014.44.1.31 

  3. Parker R, Wellings K, Lazarus JV. Sexuality education in Europe: An overview of current policies. Sex Education. 2009;9(3):227-242. https://doi.org/ 10.1080/14681810903059060 

  4. An HS, Kim KL, Lim YM. An analysis on the requirements of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in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013;18(4):51-61. 

  5. Zwi K, Woolfenden S, Wheeler DM, O'brien T, Tait P, Williams K. School-based education programmes for the prevention of child sexual abus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7;18(3):1-180. https://doi.org/10.4073/csr.2007.5 

  6. Toppari J, Juul A. Trends in puberty timing in humans and environmental modifiers.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2010;324(1):39-44. https://doi.org/10.1016/j.mce.2010.03.011 

  7. Sabina C, Wolak J, Finkelhor D. The nature and dynamics of internet pornography exposure for youth. Cyberpsychology & Behavior. 2008;11(6):691-693. https://doi.org/10.1089/cpb.2007.0179 

  8. Lee JH. An analysis of school sex education across school grades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4;14(7):49-75. 

  9. Lee IS, Kim HS, Cho JY. Viewing internet obscenity and sexuality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al of School Health. 2007;20(2):35-46. 

  10. Oh E-S, Choi J-A.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the effect upon levels of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5;36(3):93-113. https://doi.org/10.5723/kjcs.2015.36.3.93. 

  11. Lee JH, Yu HK, Cho YS. The development of a parents-involved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exual-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11;19(2):47-64. 

  12. Bae JA, Kang SJ, Park H. Evaluating the sex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Health & Nursing. 2017;29(1):53-64. 

  13. Woo MJ.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1;31(3):83-99. https://doi.org/10.18023/kjece.2011.31.3.004 

  14. Song EY, Pruitt B, McNamara J, Colwell B. A meta analysis examining effects of school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on adolescents' sexual knowledge, 1960-1997. Journal of School Health. 2000;70(10):413-416.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0.tb07230.x 

  15. Silva M.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sex education programs in the promotion of abstinent behavior: A meta-analysis.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2;17(4):471-481. https://doi.org/10.1093/her/17.4.471 

  16.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7. Son H, Je M, Lee B. Integrative review on cultural competence of nurs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2014;9(4):25-47. https://doi.org/10.15815/kjcaes.2014.9.4.25 

  18. Benzies K, Mychasiuk R. Fostering family resiliency: A review of the key protective factors. Child & Family Social Work. 2009;14(1):103-114. https://doi.org/10.1111/j.1365-2206.2008.00586.x 

  19. Lee J. Effect of early menarche on sexual experience among Korean high school girl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2):137-146. https://doi.org/10.4094/chnr.2017.23.2.137 

  20.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sex education standard. 1st ed.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015. p. 1-33. 

  21. Korea Teachers & Education worker's Union. 2017 Report of gender equality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and teacher discussion in Korea. Sexual Perception Report. Seoul: Korea Teachers & Education Worker's Union; 2017 July. Report No.: none. 

  22.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twelf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6 report. Youth Risk Behavior Repor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December. Report No.: 11-1460736-000038-10. 

  23. 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SIECUS].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3rd ed. NY: National guidelines task force; 2004. p. 1-112. 

  24.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for schools, teachers and health educators. Paris: UNESCO; 2009 December. Report No.: None 

  25. Lee SJ, Ko MJ. A study on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x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er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2004;2(2):207-220. 

  26. Ha MK, Ryu SH. Developing a sexual consciousness of high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sex education project approach applied to the cycles of symboliz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10;18(2):261-289. 

  27. Lopez LM, Bernholc A, Chen M, Tolley EE. School-based interventions for improving contraceptive use in adolescen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6;29(6):1-75. https://doi.org/10.1002/14651858.CD012249 

  28. Lee HY, Park YS. A study on consciousness & value of sexua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01;2(1):53-65. 

  29. Park PS. Fostering healthy sexual valu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Maum meditation. Journal of Human Completion. 2009;1:213-2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