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성 발성장애와 기능성 발성장애의 감별 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Neurogenic and Functional Dysphonia 원문보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v.28 no.2, 2017년, pp.71 - 78  

김소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이상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ice disorder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tructural, neurogenic and functional dysphonia. Neurogenic dysphonia refers to a disruption in the nerves controlling the larynx. Common examples of this include complete or partial vocal cord paralysis, spasmodic dysphonia. Also it occurs as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신경성 발성장애와 기능성 발성장애의 병태 생리와 특성, 분류 및 치료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와 근긴장성 발성장애의 임상적 차이와 감별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0) 안정 시 떨림(resting tremor), 종종 걸음과 같은 보행 이상(gait disturbance) 등의 운동 증상과 함께 운동 저하성 마비 말장애(hypokinetic dysarthria)가 특징적이다. 입술과 턱 위치의 강직으로 인해 조음 범위가 축소되어 높낮이와 강세가 부족한 단조로운 음조가 발생하고 발음이 불분명해지며 대화를 시작하기 어려운 임상 양상을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음성 장애의 정의는? 기능성 음성 장애(functional dysphonia)는 후두에 뚜렷한 구조적 혹은 신경학적 병변이 없이 음성 발성에 장애가 있는 질환으로 정의되며 대표적으로 과기능성 발성 특징을 보이는 근긴장성 발성장애(muscle tension dysphonia)가 여기에 속한다.2) 또한 기질적인 이상이 없으면서 음성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그 증상의 변이가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 문진을 통해 내재적인 정신과적인 문제점이 발견되어 심인성 발성장애(psychogenic dysphonia)로 진단되는 경우가 있다.
신경성 발성장애의 발생 원인은? 신경성 발성장애(neurogenic dysphonia)는 발성과 호흡근육을 지배하는 신경학적 체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 후두 기능에 대한 조절은 대뇌 피질의 고위 운동 조절기능, 중뇌, 소뇌의 후두 신경 지배와 후두 근육의 조화가 필수적이고 인두와 후두에도 여러 신경이 연접하고 있어 이러한 신경 중 하나에 이상이 생겨도 음성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음성 장애의 대표적인 예시는? 후두 기능에 대한 조절은 대뇌 피질의 고위 운동 조절기능, 중뇌, 소뇌의 후두 신경 지배와 후두 근육의 조화가 필수적이고 인두와 후두에도 여러 신경이 연접하고 있어 이러한 신경 중 하나에 이상이 생겨도 음성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일측성 및 양측성 성대 마비, 후두에 국한적으로 발생한 근긴장 이상(focal dystonia)으로 후두 근육의 불수의적인 수축을 보이는 연축성 발성장애(spasmodic dysphonia)가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earson EJ, Sapienza CM. Historical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Adductor-Type Spasmodic Dysphonia (ADSD): review and tutorial. Neuro Rehabilitation 2003;18(4):325-38. 

  2. Bridger M, Epstein R. Functional voice disorders. The Journal of Laryngology & Otology 1983;97(12):1145-8. 

  3. Ludlow CL. Treatment for spasmodic dysphonia: limitations of current approaches.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2009;17(3):160. 

  4. Leonard R, Kendall K. Differentiation of spasmodic and psychogenic dysphonias with phonoscopic evaluation. The Laryngoscope 1999;109(2):295-300. 

  5. Ludlow CL, Adler CH, Berke GS, Bielamowicz SA, Blitzer A, Bressman SB, et al. Research priorities in spasmodic dysphonia.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8;139(4):495-505. 

  6. Blitzer A, Brin MF, Stewart CF. Botulinum toxin management of spasmodic dysphonia (laryngeal dystonia): a 12-year experience in more than 900 patients. The Laryngoscope 1998;108(10):1435-41. 

  7. Findley LJ. Epidemiology and genetics of essential tremor. Neurology 1999;54(11 Suppl 4):S8-S13. 

  8. Sulica L, Louis 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voice tremor: a study of 34 cases. The Laryngoscope 2010;120(3):516-28. 

  9. Fife T, Iverson D, Lempert T, Furman J, Baloh R, Tusa R, et al. Practice Parameter: Therapies for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an evidence-based review)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 2008;70(22):2067-74. 

  10. Meyer TK. The larynx for neurologists. The Neurologist 2009;15(6):313-8. 

  11. Blumin JH, Pcolinsky DE, Atkins JP. Laryngeal findings in advanced Parkinson's disease. An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2004;113(4):253-8. 

  12. Ramig L, Sapir S, Countryman S, Pawlas A, O'brien C, Hoehn M, et al. Intensive voice treatment (LSVT(R))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 2 year follow up.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2001;71(4):493-8. 

  13. Roy N. Functional dysphonia.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2003;11(3):144-8. 

  14. Van Houtte E, Van Lierde K, Claeys 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muscle tension dysphonia: a review of the current knowledge. Journal of Voice 2011;25(2):202-7. 

  15. Roy N, Bless DM, Heisey D. Personality and voice disorders: a multitrait-multidisorder analysis. Journal of Voice 2000;14(4):521-48. 

  16. Tanabe M, Kitajima K, Gould WJ. Laryngeal phonatory reflex: the effect of anesthetization of the in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acoustic aspects. An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1975;84(2):206-12. 

  17. Koufman JA, Amin MR, Panetti M. Prevalence of reflux in 113 consecutive patients with laryngeal and voice disorder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0;123(4):385-8. 

  18. Roy 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tension in hyperfunctional voice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008;10(4):195-209. 

  19. Morrison M. Pattern recognition in muscle misuse voice disorders: how I do it. Journal of Voice 1997;11(1):108-14. 

  20. Jin SM. Pathophysiology of Functional Dysphonia. J Korean Soc Laryngol Phoniatr Logop 2014;25(2):75-8. 

  21. Kim JW, Choi S-H. Laryngeal Dystonia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J Korean Soc Laryngol Phoniatr Logop 2014;25(2):79-81. 

  22. Niebudek-Bogusz E, Sznurowska-Przygocka B, Fiszer M, Kotylo P, Sinkiewicz A, Modrzewska M, et al. The effectiveness of voice therapy for teachers with dysphonia.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2008;60(3):134-41. 

  23. Association AP.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R)): American Psychiatric Pub;2013. 

  24. Roy N. Differential diagnosis of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spasmodic dysphonia.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2010;18(3):165-70. 

  25. Cannito MP, Kahane JC, Chorna L. Vocal aging and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response to botulinum toxin injection. Clinical In terventions in Aging 2008;3(1):131. 

  26. Rees CJ, Blalock PD, Kemp SE, Halum SL, Koufman JA. Differentiation of adductor-type spasmodic dysphonia from muscle tension dysphonia by spectral analysi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7;137(4):576-81. 

  27. Roy N, Whitchurch M, Merrill RM, Houtz D, Smith ME. Differential diagnosi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using phonatory break analysis. The Laryngoscope 2008;118(12):2245-53. 

  28. Rontal E, Rontal M, Rolnick MI. The use of spectrograms in the evaluation of vocal cord injection. The Laryngoscope 1975;85(1): 47-56. 

  29. Lee HH, Lee SY, Park YH. Characteristics of Adduct Spasmodic Dysphonia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Using Spectrogram.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5;58(7):4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